양반가의 자제인 심생과 중인 신분인 소녀의 사랑을 그린 짤막한 형식의 전(傳)으로,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한 두 젊은이의 안타까운 사랑을 그리고 있다.
* 갈래 : 애정 소설, 전(傳)
* 성격 : 비극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① 시간 - 조선 시대
② 공간 - 종로
* 제재 : 신분이 다른 두 남녀의 사랑
* 주제 : 신분제의 속박으로 인한 남녀의 비극적 사랑
* 특징
① 이야기에 대한 작가의 논평이 덧붙음.
② 혼사 장애 화소가 나타남.
* 연대 : 조선 정조 때
* 출전 : “담정총서(潭庭叢書)” 중 ‘매화외사(梅花外史)’
어휘 풀이
* 풍치(風致) : 시원스럽게 격에 맞는 멋.
* 행차(行次) : 웃어른이 길 가는 것을 높여 이르는 말.
* 소광통교(小廣通橋) : 서울 을지로 1가와 3가 사이에 있던 다리.
* 초립(草笠) : 예전에, 주로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
* 홍살문(紅-門) : 능(陵), 원(園), 묘(廟), 대궐, 관아(官衙) 따위의 정면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문(門).
* 선방(禪房) : 참선하는 방.
* 박명(薄命) : 복이 없고 팔자가 사나움.
* 무남독녀(無男獨女) : 아들이 없는 집안의 외동딸.
* 데릴사위 : 처가에서 데리고 사는 사위.
* 금오랑(金吾郞) : 조선 시대에, 의금부에 속한 도사(都事)를 이르던 말.
전체 줄거리
어느 날 심생이 종로에서 임금의 행차를 구경하고 돌아오다가 계집종에게 업혀 가는 한 소녀를 본다. 심생은 소녀의 아름다움에 반해 뒤를 따라가고, 그 소녀가 중인의 딸임을 알게 된다. 심생은 소녀를 사랑하는 마음을 억누를 수가 없어, 밤마다 그녀의 집 담을 넘어가기를 20일 동안 계속했으나 좀처럼 만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심생의 진실된 사랑을 안 소녀는 심생이 자신을 기다린지 30일이 되는 날 심생을 불러들이고 자신의 부모를 설득한다.
그 뒤 심생은 밤마다 그녀를 찾았고 이를 눈치챈 심생의 부모는 심생에게 북한산성으로 올라가 공부하도록 한다. 부모의 명을 거스를 수가 없어 산사에 들어간 심생은 그녀가 보낸 유서(遺書)를 받는다.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 유서를 읽고 난 뒤, 심생도 슬픔에 싸여 일찍 죽고 만다.
이에 대해 매화외사는 이 이야기가 스승에게 직접 들은 실제 이야기라고 밝히면서,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서든 반드시 이루겠다는 뜻이 있으면 못 이룰 게 없다는 평을 하며 심생의 일을 적어 "정사"에 빠진 것을 보충한다고 말한다.
심생전(沈生傳)(이옥)의 인물 소개
* 심생 : 용모가 준수하고 풍치가 넘치는 양반 자제로, 시대의 관습을 거부하고 중인층의 소녀에게 적극적으로 구애하나 결국 사랑이 좌절되자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일찍 죽게 된다.
* 소녀 : 미인인 중인층 소녀로, 사려 깊은 품성으로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밝히며 사랑을 성취하나 신분제의 장벽 때문에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이해와 감상
‘심생전’은 양반가 자제인 심생과 중인 계층인 소녀, 즉 신분이 다른 두 남녀의 비극적인 사랑을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크게 심생과 소녀의 비극적인 사랑을 다룬 부분과 심생의 사랑에 대한 매화외사(작가)의 평이 담긴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심생과 소녀의 사랑,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한 데서 오는 이별, 이에 따른 소녀의 죽음을 통해 신분의 장벽에 따른 두 남녀의 비극적인 결말을 보여 줌으로써 당시 신분 제도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매화외사의 평에서는 심생의 태도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밝히고 있는데, 신분 제도라는 사회적 장벽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사랑의 성취’라는 적극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일이든지 노력이 있으면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한편 ‘심생전’에 드러난 인물의 태도와 모습을 통해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데, 자유연애 사상, 여성 의식의 성장, 신분 질서의 동요, 중인층의 성장이 이에 해당한다.
작품 연구
‘심생전’의 등장인물을 통해 본 사회상
① 자유연애 사상
양반 자제인 심생이 자신의 마음에 따라 소녀를 사랑하고, 소녀도 자기 의지에 따라 부모를 설득하는 주체적인 모습을 통해 자유연애 사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음.
② 여성 의식의 성장
소녀가 자신의 의도를 부모에게 정확히 말하는 장면과 언문 소설을 읽는 모습을 통해 여성 의식의 성장을 엿볼 수 있음.
③ 신분 질서의 동요
양반가 자제인 심생이 소녀가 중인층임을 알고도 사랑을 하는 것과 신분 차이 때문에 혼사 장애가 발생했다는 것에서 당시에 신분 질서가 동요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음.
④ 중인층의 성장
소녀의 아버지가 호조에서 회계 일을 맡은 중인으로서 많은 부를 축적한 사실을 통해 경제력이 뛰어난 중인층이 성장하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음.
‘심생전’의 사건에 따른 인물의 심리 변화
‘심생전’에 드러난 인물의 태도 변화
‘자물쇠를 잠그는 행위’가 지니는 의미
소녀는 심생에게 마음을 허락한 것처럼 말한 뒤, 계집종에게 자물쇠를 가져오라고 해서 뒷문을 자물쇠로 걸어 잠근다. 이러한 행동은 심생의 마음을 단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두 사람의 사랑이 실현될 수 없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한편 심생의 입장에서 자물쇠로 뒷문을 잠그는 것은 소녀의 사랑을 얻는 데 또 다른 장벽이 생긴 것을 의미하고, 이를 극복해야 소녀와의 사랑을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작품에서 ‘유서’의 역할
‘유서’는 심생과 소녀의 사랑이 비극적으로 끝났음을 알려 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소녀의 한을 통해 당시 신분제 사회를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기도 하다. 즉, ‘일찍 죽어 늙으신 부모님을 봉양하지 못하는 한(恨), 며느리로서 심생의 집안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한, 심생과 부부로서 함께 살지 못하는 한’이 제시된 ‘유서’의 내용을 통해 이러한 소녀의 한이 신분 차이에 의한 것임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문체반정(文體反正)에 반기를 들었던 이옥
정조는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보는 바와 같은 참신한 문장에 대하여 그것을 잡문체라 규정하여 정통적 고문(古文)을 모범으로 삼게 하였다. 이 방침을 실행하기 위하여, 첫째 규장각을 설치하고, 둘째 패관 소설과 잡서 등의 수입을 금하고, 셋째 주자의 시문을 비롯하여 당·송 8대가의 문(文)과 '오경발초(五經拔抄)'및 두보의 '육유시(陸游詩)'등을 신간(新刊)하였다.
이와 같은 관권의 개입은 모처럼 싹트려하던 조선 후기 문학의 발전을 저해하였다. 이옥은 이러한 정조의 문체반정에 반기를 들었다가 벼슬길에 나서지 못하게 되었는데, 당대의 폐쇄적인 가치관 때문에 꿈을 펴지 못하게 된 이옥의 생애는 '심생전'에 드러난 심생과 소녀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혼사 장애 화소
대부분의 고전 소설에서는 정혼에 의한 혼인이 설정되어 있다. 정혼은 혼인의 전단계일 뿐이지 그 자체로 혼인이 이루어졌다고는 할 수 없다. 정혼이 있은 연후에 혼인이 이루어지고 그 혼인이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기까지의 과정에는 상당히 많은 갈등과 장애가 있기 마련이다. 이것이 바로 고전 소설에 등장하는 ‘혼사 장애 화소’이다.
혼사 장애 화소는 일차적으로는 일종의 통과 제의적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혼인은 성인이 되었음을 공식적으로 인증받는 계기이다. 그런 까닭에 고전 소설에서는 순조로운 혼인을 허락하지 않는다. 미성년에서 성인으로 탈바꿈하는 단계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시련과 고통이 통과 제의라면, 혼사 장애는 그러한 의미를 담기에 좋은 기제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혼사 장애 화소가 통과 제의적 의미만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고전 소설에서 주인공은 개인이 아니라 항상 한 가문의 일원으로 존재한다. 가문을 중요시하는 당시의 일반적인 의식을 고려할 때, 고전 소설에서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중대하다고 볼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사회적 인식이 혼사 장애에 담겨 있는 것이다.
작가 소개 - 이옥(李鈺, 1760 ~ 1815)
조선 후기 정조 때의 문신으로 호는 문무자(文無子) · 매암(梅庵) · 매화외사(梅花外史) 등이 있다. 문체 반정에 연루되어 벼슬길에 나서지 못했으나, 자신의 문체를 고치지 않고 신념을 지켰다. 이후 문학 창작에 몰두하여 ‘문무자문초(文無子文鈔)’, ‘매화외사(梅花外史)’, ‘화석자문초(花石子文鈔)’ 등의 글을 남겼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