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음운 변동 정리,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동화, 음운(자음•모음)의 축약과 탈락, 두음 법칙, 된소리되기

Jobs 9 2023. 7. 6. 10:11
반응형

● 음운 변동

 

: 어떤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그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

- 발생 이유 : 편하고 자연스럽게 발음할 수 있기 때문에

- 종류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동화, 구개음화, 음운(자음•모음)의 축약과 탈락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우리말에서 음절의 끝소리가 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자음, 이 중의 하나로 바뀌어서 발음되는 현상

① 음절의 끝소리의 발음

‘ㄱ, ㄲ, ㅋ’ → ‘ㄱ’ 박[박], 밖[박], 낚시[낙시], 부엌[부억], 서녘[서녁]
‘ㄷ, ㅅ, ㅆ, ㅈ, ㅊ, ㅌ, ㅎ’ → ‘ㄷ’ 낟[낟], 낫[낟], 났다[낟따], 낮[낟], 낯[낟], 낱[낟], 히읗[히읃]
‘ㅂ, ㅍ’ → ‘ㅂ’ 밥[밥], 법[법], 잎[입], 숲[숩]

※ 겹받침의 발음

첫째 자음 넋[넉], 앉다[안따],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둘째 자음 삶[삼], 옮기다[옴기다], 읊다[읖다→읍따]
불규칙적으로 발음 읽다[익따], 읽고[일꼬]
맑다[막따], 맑고[말꼬]
늙다[늑따], 늙게[늘께]
넓다(널따), 넓죽하다[넙쭈카다]

 


2) 자음동화

: 자음과 자음이 만났을 때,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한쪽이나 양쪽 모두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음운의 변동 현상

비음화(ㄴ, ㅁ, ㅇ) 국물[궁물], 맏며느리[만며느리], 잡는[잠는], 앞날[압날→암날], 백로[백노→뱅노], 몇 리[멷리→멷니→면니], 급류[급뉴→금뉴], 담력[담녁], 종로[종노], 강릉[강능], 왕릉[왕능], 독립[동닙], 속리산[송니산]
유음화(ㄹ) 대관령[대괄령], 전라도[절라도], 신라[실라], 칼날[칼랄], 난로[날로]

 

① 동화의 방향에 따라

순행 동화 뒤의 자음 강릉[강능], 궁리[궁니], 찰나[찰라], 종로[종노]
역행 동화 앞의 자음 신라[실라], 국물[궁물], 밥물[밤물], 입는[임는], 전라도[절라도]
상호 동화 앞뒤의 자음 백로[뱅노], 왕십리[왕심니], 독립[동닙], 협력[혐녁]

 

② 동화의 정도에 따라

완전 동화 두 자음이 서로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것 신라[실라], 칼날[칼랄]
불완전 동화 두 자음이 서로 비슷한 소리로 발음되는 것 백로[뱅노], 종로[종노]

 

 

3) 구개음화

: 끝소리 ‘ㄷ, ㅌ’이 ‘ㅣ’ 모음을 만나 구개음인 ‘ㅈ, ㅊ’으로 소리 나는 음운 현상

ㄷ + ㅣ→ㅈ 굳이[구디→구지], 맏이[마디→마지], 미닫이[미다디→미다지], 해돋이 [해도디→해도지]
ㅌ + ㅣ→ㅊ 같이[가티→가치], 겉이[거티→거치], 피붙이[피부티→피부치], 붙이다[부티다→부치다], 끝이[끄티→끄치]

 

 

4) 음운(자음•모음)의 축약과 탈락

① 음운(자음•모음)의 축약

: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 소리나는 음운의 변동 현상

㉠ 자음 축약 : ‘ㄱ, ㄷ, ㅂ, ㅈ’이 ‘ㅎ’을 만나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됨(거센소리)

(+) ㅎ 먹히다[머키다], 놓고[노코], 축하[추카]
놓다[노타], 좋다[조타], 하얗다[하야타]
잡히다[자피다], 굽히다[구피다], 씹히면[씨피면]
젖히다[저치다], 꽂히다[꼬치다], 낳지[나치]

 

㉡ 모음 축약 : 두 개의 모음이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이 됨.

예) ㅣ+ㅓ→ㅕ : 가리+어→가려, 그리+어→그려, 먹이+어→먹여

예) ㅡ+ㅣ→ㅢ : 뜨+이다→띄다

예) ㅗ+ㅣ→ㅚ : 보+이다→뵈다

예) ㅗ+ㅏ→ㅘ : 오+아서→와서, 보+아라→봐라

예) ㅜ+ㅓ→ㅝ : 맞추+어→맞춰, 두+어→둬

예) ㅚ+ㅓ→ㅙ : 되+어→돼

 

② 음운(자음•모음)의 탈락

: 두 음운이 만나면서 한 음운이 아예 사라져 소리나지 않는 음운의 변동 현상

㉠ 유형

- 자음 탈락 : 동음 탈락, ‘ㄹ, ㅅ, ㅇ, ㅎ’ 등의 탈락

동음 탈락 간+난→가난(동음 ‘ㄴ’ 탈락), 목+과→모과(동음 ‘ㄱ’ 탈락)
‘ㄹ’ 탈락 솔+ 나무→소나무, 울(다)+짖다→우짖다, 열(다)+닫다→여닫다, 아들+님→아드님, 바늘+질→바느질, 불+니→부니, 어질+니→어지니
‘ㅅ’ 탈락 낫+아→나아, 긋+어→그어, 짓+어→지어

 

- 모음 탈락 : 동음 탈락, ‘ㅡ, ㅜ, ㅏ, ㅓ’ 등의 탈락

동음 탈락 가+아→가(동음 ‘ㅏ’ 탈락), 서+어서→서서(동음 ‘ㅓ’ 탈락)
‘ㅡ’ 탈락 담그+아→담가, 쓰+어→써
‘ㅜ’ 탈락 푸+어→퍼

 

 

5) 두음 법칙

​: 낱말의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나 유음 ‘ㄹ’, ‘ㅣ’ 모음 앞에서의 ‘ㄴ’(‘냐, 녀, 뇨, 뉴, 니’ 등)의 소리가 오지 않는 현상

예) 녀자(女子)→여자, 래일(來日)→내일, 량심(良心)→양심, 년세(年歲)→연세

 

 

6) 된소리되기

: 두 개의 안울림소리가 만날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예) 먹지→[먹찌], 약국→[약꾹]

예사소리 ㄷ, ㅅ
된소리 ㄸ, ㅆ

 

 

7) 사잇소리 현상
​: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낱말이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예) 등+불→[등뿔], 초+불(촛불)→[초뿔]

 

8) 모음 조화

: ‘ㅏ, ㅗ’ 등의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어울리고, ‘ㅓ, ㅜ’ 등의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음운 형상
예) 퐁당퐁당 / 풍덩풍덩, 알록달록 / 얼룩덜룩, 살랑살랑 / 설렁설렁

 

 

기출 문제

 

 Q  <보기>의 ㄱ~ㄷ에 해당하는 예가 모두 올바른 것은? 

<보기> 
ㄱ. 없던 음소가 새로이 첨가되는 현상.  
ㄴ, 두 음소나 두 음절이 하나의 음소나 하나의 음절로 줄어드는 현상.  
ㄷ. 인접한 두 음소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 


              ㄱ                      ㄴ                    
①  안방[안빵]         보-+-아→[봐]          더럽다[드럽따] 
②  금융[금늉]         좋-+-은→[조은]      해돋이[해도지] 
③  식용유[시굥뉴]  이기-+-어→[이겨]  국민[궁민] 
④  오리알[오리얄]  살-+-으니→[사니]  감기[강기] 


【해설】 정답 ③ 
ㄱ. 없던 음소가 새로이 첨가되는 현상. → 첨가 현상 
ㄴ, 두 음소나 두 음절이 하나의 음소나 하나의 음절로 줄어드는 현상. → 축약 현상 
ㄷ. 인접한 두 음소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 → 동화 현상 :구개음화, 모음동화
[음운 현상] 
안방[안빵]: 사잇소리 현상(교체) 식용유[시굥뉴]: ㄴ첨가(첨가) 
보-+-아→[봐]: 모음 축약(축약) 이기-+-어→[이겨]: 모음 축약(축약) 
더럽다[드럽따]: 된소리되기(교체) 국민[궁민]: 자음동화(동화) 
금융[금늉]: ㄴ첨가(첨가) 오리알[오리얄]: 틀린 발음 모음동화(동화) 
좋-+-은→[조은]: ㅎ탈락(탈락) 살-+-으니→[사니]: ㄹ탈락(탈락) 
해돋이[해도지]: 구개음화(동화) 감기[강기]: 틀린 발음 자음동화(동화) 

 

 

 

 Q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음운 변동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음운 변동은 그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交替),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脫落),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첨가(添加),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로 되는 축약(縮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교체-부엌[부억] 
② 탈락-굳이[구지] 
③ 첨가-솜이불[솜니불] 
④ 축약-법학[버팍] 

【해설】 정답  ② 
‘굳이’는 ‘이’모음의 영향으로 ‘ㄷ’이 ‘ㅈ’으로 되는 구개음화 현상으로 음운동화 현상에 해당한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