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운의 변동, 교체, 대치, 겹받침 발음법-넋[넉] 앉고[안꼬] 여덟[여덜]

Jobs 9 2020. 3. 28. 09:50
반응형

음운의 변동 : 

ㅇ 한 음운이 일정 환경에서 변화   
   솥+하고 ⇨ [솓하고] ⇨ [소타고]
ㅇ 교체(대치) 탈락 첨가 축약    
   음절끝소리(대치)   거센소리(축약)

⊙교체 ①음절의 끝소리 규칙   낫[낟]

★겹받침 발음법 
넋[넉] 앉고[안꼬] 여덟[여덜] 

ㄺ ㄻ ㄿ 뒤 그외 앞  밟다 [밥따] 
예외) ㄺ - ㄱ 앞 
읽고[일꼬]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우리말에서'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겹받침의 발음

 

  • 규칙적인 겹받침 발음의 예

 

앞 자음이 발음되는 경우

뒷 자음이 발음되는 경우

표기

발음

표기

발음

넋[넉]

닭[닥]

앉다[안따]

삶[삼]

여덟[여덜]

ㅍ[ㅂ]

읊다[읍따]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않고[안코]

 

 

 

싫다[실타]

 

 

 

  • 불규칙한 겹받침 발음의 예

 

  • 원칙적으로는 ㄱ으로 발음 예)맑다[막따]
  • 'ㄺ'뒤에'ㄱ'이 오면 [ㄹ]로 발음 예)맑고[말꼬], 맑게[말께]

  • 원칙적으로는'ㄹ'로 발음 예)넓다[널따]
  • '밟'어간 뒤에 자음이 오면 [ㅂ]으로 발음 예)밟다[밥따], 밟고[밥꼬]
  • '넓'은 넓죽하다[넙쭈카다], 넓적하다[넙쩌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의 예에서만 [넙]으로 발음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