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문법, 언어의 특성,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분절성, 창조성, 기호성, 규칙성

Jobs 9 2021. 10. 10. 13:17
반응형

제1장 언어와 국어의 특성

01 언어의 특성

 

1. 언어와 인간

 

- 호모 로퀜스(Homo loquence) : 인간과 동물을 언어의 유무로 구별할 때.

- 호모 그라마티쿠스(Homo grammaticus) : 인간 중에서도 언어를 문법적 틀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구별할 때.

 

- 광의의 언어 : 음성언어, 문자 언어, 몸짓, 손짓, 표정, 신호 등 사람의 의사를 표현하는 모든 수단을 일컫는다.

- 협의의 언어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며 분절음으로 구성된 언어만 일컫는다.

 

 

2. 언어와 국어

 

1) 언어

언어  →  음성(), 문자(),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문법)

① 언어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② 언어 사용의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③ 의사소통에는 물리적인 수단(음성, 문자)이 필요하다. 

④ 음성: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내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자음, 모음)
    예) [bap] = [b] + [a] + [p]
⑤ 문자: 인간이 음성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한글)
    예) 밥 = ㅂ + ㅏ + ㅂ

 

2) 국어
①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② 한국인에게 국어는 한국어 / 일본인에게 국어는 일본어
③ 국어는 모국어와 외국어로 나뉜다.
    (한국 사람 기준) 모국어 = 한국어 / 외국어 = 한국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

 

 

3. 언어의 특성

 

1) 언어의 자의성 <‘恣(마음대로 자)’ + ‘意(뜻 의)’>
①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이지 않은 특성을 말한다. 

② 언어와 사물(의미) 또는 언어와 어떤 실체(의미)의 관계는 정해진 것이 없다.
    예) 각 언어의 ‘사과’ 단어
        한국어 - 사과[sagwa] / 영어 - apple[æpl] / 중국어 - 苹果 [píngguǒ]

 

2) 언어의 사회성
① 사회성은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사회적으로 약속된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특성을
말한다.
    예) ‘스마트폰’을 들었을 때 생각나는 것은 인터넷을 할 수 있고 전화도 할 수 있는 작은 기계
②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기 때문에 개인이 혼자 사회적인 약속을 바꿀 수 없다. 

 

3) 언어의 역사성
① 역사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어의 소리와 의미가 변하거나 문법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을 말한다. 

②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단어나 문법이 생기고, 변하고, 사라져 없어진다.
    예) 새로운 단어 - 핸드폰 / 변한 단어 - ‘짜장면’ / 사라진 단어 - 온(100), 즈믄(1000)

 

4) 언어의 분절성
① 분절성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으로 끊어서 표현하는 특성을 말한다.
    예) 색 - 빨, 주, 노, 초, 파, 남, 보 / 시간 - 시, 분, 초 / 계절 - 봄, 여름, 가을, 겨울
② 색, 시간, 계절은 정확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분절해야 한다.

 

5) 언어의 창조성
① 창조성은 한정된 소리와 글자로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모든 언어에는 자음과 모음이 있고 자음 모음을 표현하는 기호가 있는데 한정된 기호로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 한국어의 경우 자음 19개, 모음 21개로 40개의 자음 모음이 있지만 매일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반응형

6) 언어의 기호성
① 기호성은 언어가 음성·문자 기호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언어는 그 언어를 표현해 주는 기호를 가지고 있다.
    예) ‘봄’ = 음성 기호 ‘b + o + m’ / 글자 기호 ‘ㅂ + ㅗ + ㅁ’ 

③ 이 기호는 사회 구성원과 약속되어 정해진 표현 전달 도구이다. 

 

7) 언어의 규칙성
① 규칙성은 언어가 문법적·의미적 규칙을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한국어의 문장은 기본적으로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 ㄱ. 나는 밥을 먹는다.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  오류 없음
        ㄴ. 밥을 나는 먹는다. (목적어 - 주어 ­ 서술어)  /  문법 규칙 오류
        ㄷ. 는나 을밥 먹는다.  /  문법 규칙 오류
        ㄹ. 사과가 사람을 먹고 있다.  /  의미 규칙 오류
        ㅁ. 나는 어제 학교에 갈 것이다.  /  의미 규칙 오류

 

 

 

4. 언어의 기능

 

언어행위는 대단히 복잡한 ‘나’에 대한 표현기능은 물론 모든 인간 정신활동과 뒤얽혀서 사용되는 복잡한 정신활동으로서 매우 다양한 기능을 한다.
언어의 기능에 대한 견해는 아주 다양한데, 커뮤니케이션 기능 하나만을 드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여섯 가지로 분류하는 견해도 있다.


① 이분법
통달적 기능과 정서적 기능으로 나누고 있음 

② 삼분법
- 언어의 기능을 지 · 정 · 의에 대응시켜 서술, 표출, 호소의 기능으로 구분하며 이것이
실제 문장에서 서술문, 감탄문, 명령문으로 나뉜다고 봄
- 이와는 달리 러셀은 화자, 대상, 청자를 염두에 두고 사실의 지시, 화자의 상태 표출,
청자의 상태 변경의 기능으로 나누기도 하였음 

③ 사분법
- 정보적 기능, 관어적 기능, 지령적 기능, 평가적(표출적 기능)으로 나눔
- 이러한 기능을 좀 더 세분하여 여섯 가지 기능으로 구분하기도 함 

그 여섯 가지 기능은 정서적(표현적 기능), 욕구적 기능, 상황적 기능, 관어적 기능, 시적 기능, 지시적(외연적, 인식적 기능)임


1) 정보 전달 및 보존의 기능
- 어떤 사실, 정보, 지식에 대하여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내용을 알려 주는 기능
- 대상을 가리킨다고 하여 지시적 기능이라고도 함
- 대체로 언어의 이러한 기능은 명제(어떤 문제에 대한 주장이나 의견, 판단 등을 문장으로 나타낸 것)를 형성하고, 그 명제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데에, 혹은 논증을 제시하는 데에 사용됨
- 또한 언어는 어떠한 사실이나 지식, 정보를 여러 형태의 보존방법을 이용하여 먼 훗날에 까지 보존하는 기능이 있음
▶ 유달산은 목포에 있는 산이다.
▶ 페라리는 아주 비싼 스포츠카이니 만큼 잘빠졌다.
▶ 대마도는 우리가 한 때 실제로 경영한 적이 있으니 우리 땅이여. 

2) 표출적 기능
- 놀랐을 때나 감동을 느꼈을 때 부르짖는 외침 등이 이에 해당함
▶ 에궁!!
▶ 으악!! 

3) 감화적(지령적) 기능
- 듣는 이에게 무엇을 하게 하거나, 하지 않게 하는 기능으로, 명령적 기능이라고도 함
- 이 기능이 두드러진 언어형식은 명령이나 청유임
- 어떤 지식을 전달하거나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키려는 것이 아니라, 어떤 특정한 행위나 사건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려는 것이 목적임
▶ 멍청하게 앉아있지 말고 만화책이라도 읽어라. 답답아!
▶ 통행 금지! 다쳐.
▶ 구경만 하지 말고 너도 참여해라.
▶ 아빠 잔소리 끝났으니 이제 라면 먹자. 

4) 친교적(사교적) 기능
- 사람을 만났을 때, 아는 처지인데도 아무 말 없이 말똥말똥 쳐다보기만 하면 어색하고 좀 뭐하니까 그냥 건네는 말임
- 즉, 사교를 위해서 별다른 심각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사용하는 언어를 말함(논리적으로 옳다 그르다 할 수 없다)
▶ 좋은 아침입니다. (아침인사 : 비오는 날 아침이었음)
▶ 옷이 참 예쁘네요. 어디에서 사셨어요? (속으론 별로라고 느끼지만)
▶ 안녕하세요? 

5) 미학적 기능
- 화자에 의하여 쓰인 말은 화자의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에 의해 되도록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함
- 이것을 "미학적 기능"이라 한다.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은 이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음

 6) 관어적 기능
- "영어의 'father'는 우리말의 '아버지'라는 말이다"라고 했을 경우 이는 영어와 한국어가 서로 관계하고 있음을 말한 것
- 이처럼 언어가 언어끼리 관계하고 있다고 해서 이를 '관어적 기능'이라고 함
- 이 기능을 통해 새로운 말을 배움으로써 지식을 증진시키고 체계화함

7) 표현적 기능
- 말하는 사람은 현실 세계에 대한 자신의 판단이라든가 다른 섬세한 감정까지도 언어로 표현하게 됨
- 그래서 이 기능은 말하는 사람의 사실적인 판단이나 듣는 사람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태도, 지시 대상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태도, 자신의 판단에 대한 확신성 여부 등을 표현하는 기능임
- 또한 감정이나 정서를 불러일으키려는 의도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기능을 말하기도 함
- 시에 사용되는 언어는 이 기능을 잘 보여 주는 예이며 이러한 기능의 언어는 참과 거짓
을 문제삼을 수 없으므로, 논리적으로 옳다 그르다 할 수 음
▶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즉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흰 서름에 잠길테요.(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

 

 



 

 Q  다음에서 알 수 있는 언어 기호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 언어는 문장, 단어, 형태소, 음운으로 쪼개어 나눌 수 있다. 특히 한정된 음운을 결합하여서 수많은 형태소, 단어를 만들고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 언어는 외부 세계를 반영할 때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실제로 무지개 색깔 사이의 경계를 찾아볼 수 없는데도 우리는 무지개 색깔이 일곱 가지라고 말한다. 

 

① 추상성 ② 자의성 ③ 분절성 ④ 역사성

 

【해설】 정답 ③

③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 언어의 분절성

① 추상성 : 언어에서, 어떠한 개념이 서로 다른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특성. ‘나무’라는 개념이 소나무, 잣나무 따위의 수많은 종류의 나무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여 형성

② 자의성 : 언어에서, 소리(음성 형식)와 의미(내용)의 관계가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

④ 역사성 : 언어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어의 소리와 의미가 변하거나 문법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