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한국사 사료

신라 말기 6두품 동향, 최치원, 골품제 모순을 극복, 유교적 정치 이념, 최언위(崔彦撝, 868~944)⋅최승로(崔承老, 927~989) 계승

Jobs9 2021. 12. 19. 11:53
반응형

신라 말기 6두품 동향

최치원이 스스로 생각하기를 서학(西學)하여 얻은 바가 많아 앞으로 자신의 뜻을 행하려고 하였으나 (왕조의) 말기여서 의심과 시기가 많아 용납되지 않고, 대산군 태수(大山郡太守)로 나갔다. 당나라 소종(昭宗) 경복(景福) 2년(진성여왕 7, 893)에 납정절사(納旌節使) 병부시랑(兵部侍郎) 김처회(金處誨)가 바다에서 익사하자, 곧 추성군(橻城郡) 태수 김준(金峻)을 고주사(告奏使)로 삼았다. 이때 최치원은 부성군(富城郡) 태수로 있었는데, 마침 불러 하정사(賀正使)로 삼았다. 그러나 해마다 흉년이 들어 기근에 시달렸고, 그로 말미암아 도적이 횡행하여 길이 막혀 가지 못하였다. 그 후에 최치원이 또한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으나 언제 갔는지는 알 수 없다. ……(중략)…… 

최치원이 서쪽에서 당나라를 섬기다가 동쪽의 고국에 돌아온 후부터 계속하여 혼란한 세상을 만나 발이 묶이고 걸핏하면 허물을 뒤집어쓰니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을 스스로 가슴 아파하여 다시 관직에 나갈 뜻이 없었다. 방랑하면서 스스로 위로하였고, 산 아래와 강이나 바닷가에 정자를 짓고 소나무와 대나무를 심었으며, 책을 베개로 삼아 읽고 시를 읊조렸다. 예컨대 경주의 남산, 강주(剛州)의 빙산(冰山), 합주(陜州)의 청량사(淸凉寺), 지리산 쌍계사, 합포현(合浦縣)의 별장[別墅] 등은 모두 그가 노닐던 곳이다. 최후에는 가족을 이끌고 가야산 해인사에 숨어 살면서 친형인 승려 현준(賢俊) 및 정현사(定玄師)와 도우(道友)를 맺고 조용히 살다가 늙어 죽었다. 

『삼국사기』권46, 「열전」6, 최치원

致遠自以西學多所得, 及來將行己志, 而衰季多疑忌, 不能容, 出爲大山郡大守. 唐昭宗景福二年, 納旌節使兵部侍郞金處誨沒於海, 卽差橻城郡大1)守金峻爲告秦使. 時致遠爲富城郡大守, 祗召爲賀正使. 以比歲饑荒, 因之盜賊交午, 道梗不果行. 其後致遠亦嘗奉使如唐, 但不知其歲月耳. ……(中略)……

致遠自西事大唐, 東歸故國, 皆遭亂世, 屯邅蹇連, 動輒得咎, 自傷不遇, 無復仕進意. 逍遙自放, 山林之下, 江海之濱, 營臺榭植松竹, 枕藉書史, 嘯詠風月. 若慶州南山, 剛州氷山, 陜州淸涼寺, 智異山雙溪寺, 合浦縣別墅, 此皆遊焉之所. 最後帶家隱伽耶山海印寺, 與母兄浮圖賢俊及定玄師, 結爲道友, 棲遲偃仰, 以終老焉.

『三國史記』卷46, 「列傳」6 崔致遠

해설 : 신라 하대의 대표적인 6두품 학자인 최치원(崔致遠, 857~?)의 행적을 담은 기록. 최치원이 당에서 신라로 귀국 직후 중앙에서 활동하던 최치원은 이와 같은 혼란 상황에서 진골 중심의 신분 체제에 따른 개혁의 한계를 깨달았다. 이에 그는 중앙 정계를 떠나 지방으로 나가, 890년(진성여왕 4년)에 대산군(大山郡, 전라북도 태인)을 시작으로, 천령군(天嶺郡, 경상남도 함양), 부성군(富城郡, 충청남도 서산) 등지의 태수를 역임하였다. 

894년(진성여왕 8년) 최치원은 중앙과 지방 관직을 역임하면서 느낀 경험을 토대로 개혁의 방안을 제시한 시무책(時務策)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올렸다. 최치원이 올린 시무책은 현재 전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지만,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고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혁안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무능한 왕권과 부패한 진골 귀족 중심의 중앙 정계에서 6두품 출신인 그의 개혁안이 받아들여질 리 만무했다. 이에 최치원은 때를 잘못 만나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함을 한탄하고 은퇴하여 다시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리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승려나 도사들과 벗하며 일생을 마쳤다. 

신라 하대 사회에서 최치원과 같이 당나라 유학을 통하여 유학적 소양을 가진 6두품 인물들은 귀국 후 근시(近侍) 및 문한(文翰) 기구에 진출하여 국왕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왕권 강화에 도움을 주었다. 특히 그들은 유교적 정치 이념에 입각하여 골품제의 신분적 모순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전개하였다. 최치원의 경우 이러한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의 유교적 정치 이념은 최언위(崔彦撝, 868~944)⋅최승로(崔承老, 927~989) 등에게 계승되어 새로이 건국한 고려 왕조의 체제 정비에 크게 기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