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화, 탈사회화, 예기(예비) 사회화, 재사회화

Jobs 9 2020. 5. 16. 17:19
반응형

1. 사회화의 의미

▶ 인간이 사회 속에서 성장하면서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고자 그 사회의 행동 방식과 사고방식을 배워 나가는 과정

1920년 10월 17일, 인도 동부 미도나포레 정글에 있는 늑대 동굴에서 늑대와 함께 생활하고 있던 두 소녀가 발견되었다. 두 소녀는 생물학적으로는 분명히 사람이었지만 네 발로 기고 동물과 같은 울음 소리를 내며 생고기를 뜯어 먹는 등 생활하는 모습은 늑대와 같았다. 이후 '아말라'와 '카말라'라는 이름이 붙여지고 고아원에 보내졌지만, 아말라는 안타깝게도 두 발로 걷거나 말하는 것을 배우지 못한 채 1년 후인 1921년에 죽었다. 카말라는 16살까지 살면서 바로 서서 걷기도 하고, 약 30개의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익힌 음식을 좋아하게 되었지만, 그녀의 정서는 3~4세 수준이었다고 한다.

 

2. 사회화의 종류

▶ 탈사회화

  • 새로운 문화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이미 배웠던 것을 버리는 과정 예) 군대 훈련소 등

▶ 예기(예비) 사회화

  • 지위 변화에 따른 역할을 미리 배우고 준비하는 과정 예) 신입생을 위한 예비 교육, 이민 전 그 나라 언어 습득 등

▶ 재사회화

  • 사회의 변화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자 새로운 규범과 가치, 지식 등을 내면화하는 과정 예) 직업 훈련, 각종 사회 교육 단체에 의한 평생 교육 등

 

3. 사회화 과정

▶ 1차적 사회화

  • 유아기에 가족과 주변의 가까운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시기에 습득되는 사회화 내용은 인성의 기본 틀을 형성함

▶ 2차적 사회화

  • 아동기 이후부터 의도적인 교육과 훈련, 일상의 경험을 통해 평생 이루어짐

 

사회화를 바라보는 관점

1. 거시적 관점

구분

기능론

갈등론

사회화의 의미

  • 다양한 개인들의 행동을 원만하게 조정, 통합하는 과정
  • 지배 계급의 문화를 전수하여 기존의 사회 계층 구조를 재생산함으로써 지배층의 지배를 정당화시키는 과정

사회화의 기능

  • 개인을 사회에 적응, 통합시켜 사회를 유지함
  • 사회 구조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시킴
  • 기득권을 가진 집단의 이익이 지켜지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 강화하기 위한 내용을 전달함

사회화의 내용

  • 사회의 안정과 질서 유지 및 통합에 필수적인 것으로 개인과 사회의 필요에 따라 합의된 것
  • 권력과 자원을 가진 기득권층의 이익이나 의사를 대변하여 기득권층에 유리한 이데올로기 전파

 

2. 미시적 관점(상징적 상호 작용론)

  • 사회화란 타인들의 반응에 따라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내면화하는 과정

  • 사회화에서 인간의 자아 형성과 상징적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함

1. 쿨리는 사회화를 설명하는 데 `거울 자아(looking - glass self)'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세 가지 차원을 통해 자아를 형성한다. 첫째, 내가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비춰지고 있는가를 상상한다. 둘째, 나의 비춰지는 모습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인식한다. 셋째, 다른 사람들의 판단에 대한 느낌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아이에게 주변 사람들이 예쁘다고 계속 반응을 하면 그 아이는 자신이 예쁘다고 인식하고 그에 맞춰 행동한다는 것이다.

2. 미드는 자아 형성 과정에서 '특정의 타자들(specific others)'과 '일반화된 타자들(generalized others)'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어렸을 때는 부모와 같은 '특정의 타자들'의 기대를 내면화하지만, 점차 성장하면서 `일반화된 타자들'의 기대를 내면화한다고 하였다.

 

  • 상징적 상호 작용론은 사회화 과정에서 인간의 자아 형성 과정과 상징적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강조

  • 미국의 사회학자 쿨리는 `거울 자아'라는 말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상호 관계에서 다른 사람에게 비추어진 자아의 상, 혹은 다른 사람의 반응 속에서 형성되는 자아상을 중심으로 자아가 형성된다고 하였음

  • 아이들이 자라나면서 이렇게 거울에 비친 자아의 모습을 보며 자신을 깨닫고 가치나 규범을 내면화하는데, 이것이 사회화 과정인 것임

  • 미드는 한 사회의 가치와 문화에 따라 행동하는 다른 사람의 모습, 즉 '일반화된 타자'의 시선을 염두에 두고 반응하는 과정에서 자아가 형성된다고 보았음

  • 처음에는 주위 사람들의 행동을 단순히 모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다른 사람들의 역할을 하면서 노는 단계를 거쳐 일반화된 타자의 역할을 습득하여 자아 관념을 형성해 간다는 것임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