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이 설화
일명 ‘금추설화(金錐說話)'라고도 한다. “내 코가 석자" 라는 속담도 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신라시대에 방이형제가 살았는데 형인 방이는 몹시 가난하여 구걸을 하며 살았고, 동생은 부자였다. 어느 해인가 방이가 동생에게 누에와 곡식 종자를 구걸했는데 심술이 사납고 포악한 아우는 누에알과 종자를 삶아서 주었다. 이를 모르는 형은 누에를 열심히 치고 씨앗도 뿌려 잘 가꾸었다. 알 중에서 누에 한 마리가 생겨나더니 황소만큼 커졌다. 질투가 난 동생이 와서 누에를 죽였지만 사방의 누에가 모두 모여들어 실을 켜 주어서 형은 누에 왕이 되었다. 또한 종자에서도 이삭이 하나만 나와 한 자가 넘게 자랐는데 어느 날 새 한 마리가 날아와 이삭을 물고 달아나자 방이는 새를 쫓아 산으로 들어갔다. 그 곳에는 밤을 맞은 방이는 난데없는 아이들이 나타나 금방망이를 꺼내어 돌을 두드리니 원하는 대로 음식이 쏟아져 나왔다. 그는 숨어 있다가 아이들이 헤어진 후 놓고 간 방망이를 주워서 돌아와 아우보다 더 큰 부자가 되었다. 심술이 난 아우도 형처럼 행동하여 새를 쫓아가 아이들을 만나게 되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금방망이를 훔쳐간 도둑으로 몰려 연못을 파는 벌을 받고 코끼리처럼 코를 뽑힌 후에 돌아왔다. 집으로 돌아와 그는 부끄러움을 참지 못하고 속을 태우다가 죽고 말았다.(다른 책에 의하면 거의 죽게 되었을 때 방이가 이 소식을 듣고 달려와 병구완을 하여 병이 나았다.) 그리고 방망이는 후손에게 전해졌는데, 어느 후손이 “이리 똥 내놓아라."고 희롱했더니 갑자기 벼락이 치며 어디론지 사라지고 말았다.
신라 사람 방이에 대한 설화. 형과 동생 사이의 갈등을 통하여 권선징악(勸善懲惡)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설화는 ‘흥부전'의 배경 설화이다.
【출전】 당나라의 단성식(段成式)이 지은 <유양잡조(酉陽雜俎)> 권 1과 <태평어람> 권 481
해설
착한 방이는 보물 방망이를 얻어 잘되고, 악한 동생은 형을 본뜨다 망했다는 설화. 신이담(神異談) 중 응보담(應報談)과 주보담(呪寶談)의 성격을 지녔고, ‘잘될만한데 못 되기'로 분류할 수도 있다. 9세기 중국문헌인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에 신라의 이야기로 소개되어 전하며, 그 뒤 <유양잡조속집> 권 1, <태평어람> 권 481 등에 거듭 수록되었고, 우리 문헌으로는 안정복(安鼎福)의 <동사강목(東史綱目)>에 인용되어 있다. 이와 비슷한 이야기는 국내 여러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가난한 방이는 부자인 아우에게 씨앗을 얻으려 했는데, 심술궂은 아우는 쪄서 못쓰게 된 씨앗을 준다. 방이는 그 씨앗을 심었는데, 얼마 후에 생긴 큰 누에마저도 동생이 먼저 보고 죽여버렸다. 밭에서는 겨우 이삭이 하나 패어 크게 자랐는데, 어느 날 새가 그 이삭을 물고 산 속으로 날아갔다. 새를 쫓아간 방이는 숲 속에서 붉은 옷을 입은 아이들을 만나 무엇이나 원하는 대로 나오는 방망이를 훔쳐와 큰 부자가 되었다. 이 이야기를 전해들은 아우는 산에 갔다가 그 아이들에게 잡혀 코만 뽑히고 돌아왔다. <유양잡조속집>에 실린 이야기는 주인공 방이가 신라 귀족 김가로 한정되고, 큰 누에에게서 마을 사람들이 덕을 보고, 아우는 형이 겪었던 일을 그대로 되풀이하고, 코를 뽑힌 아우는 죽고, 방이의 보물 방망이는 그 자손들이 잃어버렸다는 등의 변이(變異)가 일어나고 있다. 구전되는 설화에서는 가난한 형이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도중에 주운 개암나무 열매를 깨물어 호랑이를 놀라게 하고는 방망이를 얻는다고 설정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설화는 <흥부전>의 근원 설화로 관심을 끌어왔는데, 형제의 선악이 반대로 나타나나 성공한 쪽의 행동을 그대로 모방한다는 구조는 동일하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