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와 신라의 경쟁
북국(北國)이 윗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불허함을 사례하는 표(謝不許北國居上表)
신 모는 아뢰나이다. 신이 본국 숙위원(宿衛院) 장보(狀報)를 보니, 지난 건녕(乾寧) 4년(효공왕 1, 897년) 7월 중에 발해 하정사(賀正使)인 왕자 대봉예(大封裔)가 장(狀)을 올려, 발해가 신라 위에 있도록 허락해 주기를 청하였습니다. 삼가 이에 대한 칙지(勅旨)를 받들건대, “국명(國名)의 선후는 본래 강약에 의해서 따져 칭하는 것이 아니다. 조제(朝制)의 등위(等威)를 어찌 성쇠(盛衰)로 고칠 수가 있겠는가. 마땅히 구례(舊例)대로 할 것이니 이에 선시(宣示)를 따르도록 하라”는 것이었습니다. 황제 폐하께서 조칙을 내려 조정의 반열을 바로잡아 주심에 적신(積薪)의 근심이 이미 사라졌지만 집목(集木)의 근심은 도리어 절실해지기만 합니다. 생각건대 하늘만은 심정을 아실 것이니 어느 곳에 몸을 두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중사(中謝)
신이 듣건대, 『예기(禮記)』에서 근본을 잊지 않는 것을 귀하게 여긴 것은 바로 부허(浮虛)를 경계하기 위함이요, 『서경(書經)』에서 그 법도를 조심하면 행할 수 있다고 칭한 것은 오직 참월(僭越)을 막기 위함이라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진실로 그 분수를 좇지 않으면 끝내 스스로 후회를 자초하는 일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신이 삼가 살피건대, 발해의 원류는 고구려가 망하기 전에는 본디 쓸데없는 부락으로 앙갈(鞅鞨)의 족속이었는데, 이들이 번성하여 무리가 이루어지자 이에 속말(粟末)이라는 작은 나라의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일찍이 (이들은) 고구려 유민을 따라 강제로 내지(內地)로 옮겨졌는데, 그 수령 걸사우(乞四羽, 걸사비우)⋅대조영(大祚榮) 등은 무후(武后)께서 다스리실 때 영주(營州)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도주하여 문득 황구(荒丘)를 점거하고는 비로소 진국(振國)이라 칭하였습니다. 당시에는 고구려의 유신(遺燼)과 물길(勿吉)의 잡류(雜流)가 있었는데, 백산(白山)에서 악명을 떨치며 떼로 강도짓을 하는가 하면 흑수(黑水)에서 사납게 구는 것을 의리처럼 여기며 기승을 부리고는 하였습니다. 처음에는 거란과 합쳐 악행을 조장하다가 이어 돌궐과 공모하였는데, 평안한 세상에서 여러 번 요수(遼水)를 건너는 사신을 막았으며, 10년 동안 반기를 들고서야 뒤늦게 중국에 항복하는 깃발을 들었습니다.
처음 그들이 거처할 고을을 세울 적에 와서 의지하며 도움을 청하였는데, 그때 추장(酋長) 대조영이 신의 나라로부터 제5품(品) 벼슬인 대아찬(大阿餐)을 처음 받았습니다. 이후 선천(先天) 2년(신라 성덕왕 12, 713)에 이르러서 비로소 대조(大朝)의 총명(寵命)을 받아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봉해졌습니다. (그런데) 이후 점차 황은(皇恩)을 입게 되자 어느새 신의 나라와 대등한 예로 대하게 되었다는 말을 듣게 되었습니다. 강후(絳侯)⋅관영(灌嬰)과 같은 줄에 서게 된 것을 어찌 차마 말할 수 있겠습니까. (하지만) 염파(廉頗)⋅인상여(藺相如)가 서로 화목했던 것을 경계(警戒)로 삼았습니다. 발해는 도태한 사력(沙礫)과 같은 존재로 (본국과는) 구름과 진흙처럼 현격하게 구분됩니다. (하지만) 삼가 본분을 지킬 줄을 모르고 오직 위를 범하기만 도모하였습니다. (그들은) 소꼬리가 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용의 머리가 되고자 망령되이 이야기를 늘어놓았습니다. 어찌 격좌(隔座)의 의례에 얽매여 그런 것이겠습니까. 실로 그들이 강계(降階)의 예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서는) 높은 데 계시면서도 매사에 주의하시어 분명히 주위를 내다보고 계십니다. 신의 나라의 천리마가 혹 여위었어도 일컬을 만하여, 소가 비록 수척해졌어도 겁을 줄 만하지 않느냐고 생각하셨습니다. (반면에) 저 오랑캐의 매는 배가 부르면 높이 날아가고, 쥐는 몸집이 있으되 방자히 탐욕만 낸다고 여기시어 함께 중국에 와서 조회하는 것은 허락하시되, 등위가 바뀌는 것은 허락지 않으셨습니다.노부(魯府)를 예전 그대로 쓰게 된 것을 듣게 됨에 주(周)나라의 천명이 다시 새롭게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명위(名位)가 같지 않으매 등급이 엄연히 있다고 여겨집니다. 신의 나라는 진관(秦官)의 극품(極品)을 받은 데 비해, 저 번국(蕃國)은 『주례(周禮)』의 하경(夏卿)을 임시로 받았을 뿐인데, 근래 선조(先朝)에 이르러 갑자기 우대의 은총을 받기에 이른 것입니다. (하지만) 융적(戎狄)은 만족시킬 수 없으므로 요(堯)⋅순(舜)도 오히려 이에는 골치를 앓으셨던 것입니다. 끝내 등국(滕國)이 쟁장(爭長)했던 일을 끄집어내어 갈왕(葛王)의 웃음거리를 스스로 취하였으니, 만일 황제 폐하께서 홀로 결단을 내려 신필(神筆)로 거부하는 비답을 내리시지 않았던들 근화향(槿花鄕)의 염치와 겸양은 스스로 시들해지고 호시국(楛矢國)의 독기가 더욱 성할 뻔하였습니다.
이제 멀리 남월(南越)을 평안케 한 한(漢) 문제(文帝)의 깊은 뜻이 봄같이 무르녹고, 동조(東曹)를 없애라는 요청에 대한 위(魏) 태조(太祖)의 아름다운 답변을 똑같이 일러 주시었으니, 이로부터 먼 변방에 조급히 구하는 희망을 끊어 버리고 만방(萬邦)에 망동(妄動)하는 무리가 없어져 확실히 성립된 규정을 지키며 조용히 분쟁이 사라질 것입니다.
신은 삼가 바다 한쪽에서 군대를 통솔하고 있는 몸이어서 달려가 천조(天朝)를 배알하지 못합니다.
『최문창후문집』권1, 사불허북국거상표
謝不許北國居上表
臣某言. 臣得當番宿衛院狀報, 去乾寧四年七月(內), 渤海賀正王子大封裔, 進狀請許渤海居新羅之上. 伏奉勑旨, 國名先後, 比不引強弱而稱. 朝制等威, 今豈以盛衰而改. 宜仍舊貫, 準此宣示者. 綸飛漢詔, 繩擧周班, 積薪之愁歎旣銷, 集木之憂兢轉竊. 惟天照瞻, 何地容身. 中謝.
臣聞禮貴不忘其本, 是戒浮虛, 書稱克愼厥猷, 惟防僭越. 苟不循其涯分, 乃自掇其悔尤.
臣謹按渤海之源流也, 句驪未滅之時, 本爲疣贅部落靺羯之屬, 寔繁有徒, 是名栗末小蕃. 甞逐句驪, 內徙其首領乞四羽及大祚榮等, 至武后臨朝之際, 自營州作孼而逃, 輒據荒丘, 始稱振國. 時有句驪遺燼勿吉雜流, 梟音則嘯聚白山, 鴟義則喧張黑水. 姶與契丹濟惡, 旋於突厥通謀, 萬里耨苗, 累拒渡遼之轍, 十年食葚, 晚陳降漢之旗.
初建邑居, 來憑隣援, 其酋長大祚榮, 始受臣藩第五品大阿餐之秩. 後至先天二年, 方受大朝寵命, 封爲渤海郡王. 邇來漸見倖恩, 遽聞抗禮臣藩. 絳灌同列, 所不忍言. 廉藺用和, 以爲前誡. 而渤海汏之沙礫, 區以雲泥. 莫愼守中, 惟圖犯上. 恥爲牛後, 覬作龍頭, 妄有陳論, 初無畏忌. 豈拘儀於隔座, 寔昧禮於降階.
伏惟陛下, 居高劼毖, 視遠孔昭. 念臣蕃之驥或羸而可稱, 牛雖瘠而非怯. 察彼虜之鷹, 飽腹而高颺, 鼠有體而恣貪, 永許同事梯航, 不令倒置冠屨. 聞魯府之仍舊, 驗周命之惟新.
抑且名位不同, 等衰斯在. 臣國受秦官極品, 彼蕃假周禮夏卿, 而乃近至先朝, 驟霑優寵. 戎狄不可厭也, 堯舜其猶病諸. 遂攀滕國之爭, 自取葛王之誚, 向非皇帝陛下英襟獨斷, 神筆橫批, 則必槿花鄕廉讓自沈, 楛矢國毒痡愈盛.
今者遠綏南越, 漢文之深意融春, 罷省東曹, 魏祖之嘉言同曉, 自此八裔絶躁求之望, 萬邦無妄動之徒, 確守成規, 靜銷紛競.
臣伏限統戎海徼, 不獲奔詣天朝.
『崔文昌侯文集』卷1, 謝不許北國居上表
신라 최치원(崔致遠, 857~?)이 발해 사신을 신라보다 위에 앉히지 않은 일에 대해 당 소종(昭宗, 재위 888~904)에게 감사하는 글이다. 발해의 영토 확장과 문화적 성세는 급속도로 쇠약해지는 신라에게는 위협적이었다. 두 나라는 당나라를 무대로 국제 관계상 우위를 점하고자 경쟁하였다. 이러한 대립 관계는 외교 사신으로서의 순위와 당나라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 시험인 빈공과(賓貢科)의 합격자 순위 경쟁에서도 잘 나타난다.
한편 이 글에서 보이는 신라와 발해 사신의 자리다툼 사건[席次爭長事件]도 그 한 예이다. 897년(발해 대위해 4년)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된 발해 왕자 대봉예(大封裔, ?~?)는 발해의 국세가 신라보다 강성함을 들어 발해가 신라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당 소종에게 요구하였다. 그런데 소종은 이를 거절하고 신라 우선의 옛 관습대로 하였고, 이러한 소식을 접한 신라에서 당 소종에게 감사의 글을 보냈던 것이다.
발해와 신라의 대립은 당나라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빈공과 시험에서도 나타났다. 872년(발해 대현석 2년, 신라 경문왕 12년) 발해의 오소도(烏昭度, 또는 烏炤度)가 신라의 이동(李同)을 제치고 빈공과에서 수석의 영광을 차지하였다. 이 사건은 신라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과거 시험에서 발해와 신라의 고시 합격자 순위는 문화 우위를 말해 주었으므로, 자존심 강한 신라인은 이를 커다란 수치로 느꼈다. 이에 최치원은 “이미 사방 이웃 나라에 웃음거리가 되었으며, 일국의 수치로 영원히 남을 것”이라고 하여, 치욕스럽게 여겼다.
최치원은 874년(경문왕 14년) 빈공과에서 합격함으로써 그 수치를 씻을 수 있었다. 그리하여 자신을 뽑아 준 당나라 예부상서 배찬(裵瓚)에게 보낸 감사의 편지[與禮部裵尙書瓚狀]에서 “덕분에 이전의 치욕을 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는 혹시라도 바뀌는 일이 없게 될 것입니다.”라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합격에 대해 “온 나라가 당(唐)의 은혜로 생각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신라가 발해보다 앞서야 한다는 명분을 장황하게 설명하는 등 대립 의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빈공과를 둘러싼 신라와 발해의 순위 싸움은 그 후에도 계속되었다. 877년(신라 헌강왕 3년, 발해 대현석 7년) 빈공과에서 발해 유학생은 한 명도 뽑히지 못한 반면에 신라의 박인범(朴仁範)과 김악(金渥) 두 사람이 합격하였다. 이에 최치원은 당나라 고상(高湘)에게 감사의 편지[新羅王與唐江西高大夫湘狀]를 보내 “추한 오랑캐(발해인)는 합격시키지 않아 과거에 흠집을 내지 못하도록 했다.”라고 칭송하였다.
이 글에서 보면, 당 소종은 발해가 신라보다 윗자리에 앉아야 한다는 요구를 “나라 이름의 선후는 본래 강약으로 따지는 것이 아니니 조제(朝制)의 순서를 지금 어찌 성쇠를 근거로 바꿀 수 있겠는가. 마땅히 과거의 관례에 따를 것이다.”라고 하며 거절하였다. 이 글을 통해서 이미 발해의 국력이 신라보다 앞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해 왕자 대봉예는 자신 있게 당나라에 서열의 변경을 요구할 수 있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