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십이곡 발(陶山十二曲跋)
이 황
이 ‘도산십이곡'은 도산 노인(陶山老人)이 지은 것이다. 노인이 이 시조를 지은 까닭은 무엇 때문인가. 우리 동방의 가곡은 대체로 음와(음탕)하여 족히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저 ‘한림별곡'과 같은 류는 문인의 구기(口氣)에서 나왔지만 긍호(矜豪)와 방탕에다 설만(褻慢)과 희압(戱狎)을 겸하여 더욱이 군자로서 숭상할 바 못 되고, 다만 근세에 이별(李鼈)이 지은 ‘육가(六歌)'란 것이 있어서 세상에 많이들 전한다. 오히려 저것(육가)이 이것(한림별곡)보다 나을 듯하나, 역시 그 중에는 완세 불공(玩世不恭)의 뜻이 있고 온유 돈후 (溫柔敦厚)의 실(實)이 적은 것이 애석한 일이다. ▶ ‘도산십이곡'을 짓게 된 이유
노인이 본디 음률을 잘 모르기는 하나, 오히려 세속적인 음악을 듣기에는 싫어하였으므로, 한가한 곳에서 병을 수양하는 나머지에 무릇 느낀 바 있으면 문득 시로써 표현을 하였다. 그러나 오늘의 시는 옛날의 시와는 달라서 을을 수는 있겠으나, 노래하기에는 어렵게 되었다. 이제 만일에 노래를 부른다면 반드시 이속(俚俗)의 말로써 지어야 할 것이니, 이는 대체로 우리 국속(國俗)의 음절이 그렇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 ‘도산십이곡'이 국문인 까닭
그러기에 내가 일찍이 이별의 노래를 대략 모방하여 ‘도산 육곡'을 지은 것이 둘이니, 기 일(其一)에는 ‘지(志)'를 말하였고, 기 이(其二)에는 ‘학(學)'을 말하였다. 아이들로 하여금 조석(朝夕)으로 이를 연습하여 노래를 부르게 하고는 궤(几)를 비겨 듣기도 하려니와, 또한 아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노래를 부르는 한편 스스로 무도(舞蹈)를 한다면 거의 비린(鄙吝)을 씻고 감발(感發)하고 응통(融通)할 바 있어서, 가자(歌者)와 청자(聽者)가 서로 자익(資益)이 없지 않을 것이다. ▶ ‘도산십이곡'의 내용과 교훈적 가치
돌이켜 생각컨대, 나의 종적이 약간 이 세속과 맞지 않는 점이 있으므로 만일 이러한 한사(閑事)로 인하여 요단(鬧端)을 일으킬 는지도 알 수 없거니와, 또 이것이 능히 강조(腔調)와 음절에 알맞을는지도 모르겠다. 아직 일건(一件)을 써서 서협(書 ) 속에 간직하였다가, 때때로 내어 완상(玩賞)하여 스스로 반성하고, 또 다른 날 이를 읽는 자의 거취(去取)의 여하(如何)를 기다리기로 한다. 가정(嘉靖) 44년(1565) 을축년 3월 16일 도산 노인은 쓴다. ▶ ‘도산십이곡'에 대한 감회
핵심정리
* 갈래: ‘도산십이곡'의 발문으로 고전 비평
* 연대: 가정(慕端) 44년(1565) 을축년 3월 16일
* 표현: 작자 자신을 제삼자의 위치에 놓고 객관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의도가 보임. 간접 서술적 표현이다.
* 제재: 도산십이곡
* 주제: 도산십이곡에 대한 자신의 의의와 감회 출전(퇴계 전서 )
해설 1
발(跋)이란 서(序)와 함께 한문 문장의 한 양식을 말하는데 대체로 책을 다 지은 후에 책을 지은 연유나 감회를 간략하게 적는 것을 이른다.
이 글은 ‘도산십이곡'과 같은 우리말 노래를 짓게 된 연유와 우리나라의 가요를 평하는 글로서, 이 글을 통해 그의 유교적인 문학관을 엿볼 수 있다. 또, 자신이 직접 자신의 작품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비평의 범주에 속한다. 이 글에는 성리학자인 지은이 자신이 지니고 있는 시가와 문학에 관한 태도가 솔직히 드러나, 세속의 음악을 싫어한다는, 세속을 대하는 자신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동방의 가곡)이나 한림별곡과 같은 시가는 음탕하고 완세 불공하여 가치가 없다고 평하고 문학과 시가는 내용상 교육적이어서 스스로 감발하고 자익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문학이란 노래를 불러 감정을 유발하여 마음을 순화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노래를 부를 수 없는 한시보다는 우리말로 되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시조가 더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온유 돈후의 경지를 말하는 것으로 감동의 효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의미이다.
해설 2
이 글은 지은이 자신이 문학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느낌과 의의를 토로한 글이라는 점에서 평문(評文)의 범주 속에 넣을 수 있다. 성리학자로서 지은이 자신이 지니고 있는, 시가와 문학에 관한 태도가 비교적 솔직하게 드러나 있다. 아울러 세속을 대하는 지은이 자신의 모습도 고백되어 있어 재미있다. 이 글 속에 언급된 ‘한림별곡’이나 기타 ‘동방의 가곡’들에 대한 평가를 음미해 보고, 이러한 발문(跋文)류의 글이 가지는 비평적 성격과 문학적 기능을 이해하도록 하자.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