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 2 2성
- 6 6부
- 12 12목 지방관파견
- 의 의창義倉
-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한국은행
- 비 비서성(도서관)
- 수 수서원(도서관)
- 건 건원중보
-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 분 분사제도정비
- 유 유교정치
- 향 향교설치
- 노 노비환천법
- 문 문신월과법
- 국 국자감
● 고려 숙종 - 화난 숙종은 벌써 3회독
- 화 화폐발행 주전도감
- 난 (남)경개창도감
- 숙종
- 은 은병활구
- 벌 별무반
- 써 서적포
- 삼 삼한통보
- 회 해동통보, 중보
- 독 동국통보, 중보
고려 조선 화폐 제도
● 고조선
- 명도전(중국 춘추전국시대의 화폐, 중국과의 교류관계 증명, 평안도에서 발견)
● 삼 국
- 오수전(무령왕릉 발견, 중국 양나라 동전)
● 고려
- 성종 - 건원중보(최초화폐, 철전)(구리✕)
- 숙종 - 활구(은병), 해동통보ㆍ삼한통보(의천, 주전도감), 귀족중심
- 충렬 - 쇄은
- 공양 - 저화(최초지폐, 닥나무 껍질)
- 유통에 실패: 화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일반 거래에는 여전히 미곡ㆍ삼베 사용, 국가가 화폐발행을 독점하는 강제적 유통방식에 대한 귀족들의 반발
● 조선
- 태종 - 저화
- 세종 - 조선통보
- 세조 - 팔방통보(전폐, 유엽전, 화살촉으로 사용)
- 인조 - 상평통보(17세기 후, 숙종 때 전국적 유통)
- 숙종 - 상평통보 (허적의 건의로 3차 발행시 전국적 유통)
- 고종 - 당백전(경복궁) 당오전(임오군란)
화폐는 여러 기관에서 주조(호조, 5군영, 진휼청등), 화폐의 단위는 동일
- 화폐를 유통하면 이익금을 재정에 보탤 수 있고(국가수입증가), 정부가 경제활동을 장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화폐를 유통시키고자 하였다(왕권강화)
* 조선시대 화폐
1. 어음, 환 등 신용화폐의 등장
2. 부정적 유통
1) 고리대의 성행
2)“전황”발생: 동전부족현상. 화폐가치 상승ㆍ물가하락, 이자율 상승, 통화량의 감소, 투자의욕의 저하, 고용기회감소 ☞ 디플레이션 현상 ⇔ 조선후기 당백전의 발행은 반대현상 초래 ☞ 인플레이션 현상
① 대상인, 지주가 동전을 독점하여 동전의 부족
② 농민생활이 악화되었으나 동전은 계속 유통
③ 정부에서 동광을 적극 개발하여 많은 양의 동전을 주조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소
3. 화폐에 대한 평가
1) 폐전론 : 이이(중농학파)
2) 용전론 : 박지원(중상학파)
* 빈부의 격차 원인 * 1~4까지는 계층분화의 원인, 1~5까지는 빈부의 격차 원인
1. 광작ㆍ도조법: 농민
2. 도고: 상인
3. 납포장: 장인
4. 덕대: 광부
5. 전황: 대상인, 지주 ↔ 농민
기출 지문
1. 고려의 화폐 유통 정책은 자급자족 위주의 경제 활동 때문에 실패하였다.
2. 고려 숙종 때 만들어진 은병은 고액 화폐로 사용되었다.
3. 고려의 화폐는 건원중보은병지원보초 순으로 유통되었다.
4. 상평통보 이전에 팔분체 조선통보가 주조·유통되었다.
5. 이익은 화폐의 사용이 백성들의 삶에 크게 유익하다고 주장하였다.
6. 숙종 때 주조한 동전은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7. 18세기 전반, 동전 공급 부족으로 전황이 발생하였다.
8. 18세기 후반, 동전으로 세금이나 소작료를 납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1. ( ◯ ) 고려는 다양한 금속 화폐를 유통시키려고 했지만, 자급자족적 경제 구조였기 때문에 실패하였다. 농민들 대부분은 곡식과 삼베로 물건을 거래하였고, 일부 도시에 사는 귀족들만 화폐를 사용하였을 뿐이다.
2. ( ◯ ) 은병은 은 1근으로 만든 고가의 화폐로 은병 하나의 값은 포 100여 필이나 되었다. 은병은 주로 귀족들의 대규모 거래나 뇌물로 사용되었다.
3. ( ◯ ) 건원중보는 고려에서 최초로 주조한 금속 화폐이고, 은병은 숙종 때 만들어졌다. 지원보초는 원에서 사용한 지폐로, 고려에서도 유통되었다. 원 간섭기 때의 충혜왕은 기존의 은병보다 크기가 작은 소은병을 주조하였다.
4. ( ◯ ) 조선 정부는 인조 때인 1633년에 동전, 즉 조선통보를 법화로 주조하여 유통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세종 때 주조·유통되었던 조선통보와 구별하기 위해서 동전의 이름이 팔분체(예서체에서 2분, 소전에서 8분을 취하여 만든 서체)로 새겨 주조하였다. 팔분체 조선통보의 주조 경험은 이후 상평통보의 주조와 유통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 X ) 이익은 전황(화폐를 재산 축적의 수단으로 삼아 비축하면서 유통되는 화폐가 줄어들어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자 그 폐단을 지적하며 화폐를 없애자는 폐전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6. ( ○ ) 1678년(조선 숙종 4) 상평통보를 주조하여 법화로 채택하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세금과 소작료를 동전으로 대납할 정도로 널리 유통되었다.
7. ( ○ ) 화폐 유통은 상품 유통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 측면도 있지만, 지주나 대상인들이 화폐를 재산 축적의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발행량이 늘어나도 유통되는 화폐가 부족한 전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8. ( ○ ) 화폐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18세기 후반에는 세금과 소작료를 동전으로 납부하는 조세의 금납화가 진행되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