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영시, Poem, English poetry

Once by the Pacific, Robert Frost, 어느 날 태평양 가에서, 로버트 프로스트

Jobs 9 2024. 11. 9. 20:42
반응형

 

 

Once By The Pacific


The shattered water made a misty din.
Great waves looked over others coming in,
And thought of doing something to the shore
That water never did to land before.
The clouds were low and hairy in the skies,
Like locks blown forward in the gleam of eyes.
You could not tell, and yet it looked as if
The shore was lucky in being backed by cliff,
The cliff in being backed by continent;
It looked as if a night of dark intent
Was coming, and not only a night, an age.
Someone had better be prepared for rage.
There would be more than ocean-water broken
Before God's last Put out the light was spoken.

 

 

 

 

This poem captures the ominous atmosphere of an impending storm by the Pacific Ocean. The crashing waves, likened to soldiers, prepare for an assault on the shore, while the low clouds resembling locks of hair suggest anticipation and a sense of foreboding.

The elevated perspective of the cliff, backed by the continent, conveys a sense of vulnerability and alludes to the cyclical nature of destruction and renewal. The dark imagery anticipates a "night of dark intent," extending beyond a mere storm to suggest an age of conflict and upheaval.

Compared to Frost's other works, this poem exhibits a departure from pastoral themes and explores the themes of nature's destructive power and human fragility. It reflects the anxieties of the time period, marked by economic depression and the looming threat of war.




어느 날 태평양 가에서

산산이 부서진 물이 희미한 소음을 냈다.
큰 파도들이 들어오는 다른 파도들을 굽어보며,
물이 육지에 저질렀던 전례가 없는
어떤 것을 해안에 저지를 궁리를 했다.
하늘의 구름은 낮게 머리를 산발한 것이,
머리채를 이글거리는 두 눈 앞으로 흩날린 것 같다.
단언할 수 없으되, 해안은 절벽의 뒷받침을 받고,
또 절벽은 대륙의 뒷받침을 받는 것이
정말 행운인 것 같았다.
하지만 음험한 의도의 밤이 오는 것 같았다.
하루 밤이 아니라, 한 시대가 그러는 것 같았다.
누군가 격랑에 대비하는 것이 좋겠다.
바닷물 이상의 것이 깨져버리고 마침내
불을 꺼라!’는 신의 마지막 말씀이 있을 것이다.




이 시는 1차 대전 전인 1880년쯤에 쓰였다. 일촉즉발의 전쟁 위기 앞에서, 폭풍우가 몰아치는 태평양은 이를 바라보는 이에게 곧 닥쳐올 문명의 위기를 상징하기에 충분하다.

지리적 재난을 위협하는 태평양의 격랑은 화자의 의식에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심판의 징조로 투영된다. “음험한 의도의 밤이 오는 것 같았다”는 화자의 공상적 비전이 “하루 밤”에서 “한 시대”로 확장되면서 단순한 지리적 변화에서 역사적 변화 즉 또 다른 어두운 시대의 도래를 경고한다.

그러나 격랑에 대비해야 할 모두(everyone)대신에 “누군가(someone)”로, 깨져버릴 모든 것(everything) 대신 “바닷물 이상의 것”으로 완화하여 표현함으로써 “빛이 생겨라”(“Let there be light.”『창세기』1:3)는 하느님의 말씀을 번복한 이 시의 결론의 의미도 완화시키고 있다.

신이 불을 끄심은 노여움의 복수라기보다 보고 싶지 않은 것을 외면하기 위해 잠시 불을 끄시는 슬픈 사랑임을 감지할 수 있다. 자연의 사실들은 정신적 또는 도덕적 원칙을 담고 있는 호수 같은 것이다. 그 호수의 밑바닥을 투시할 수 있는 눈을 가진 자는 자연의 사실과 개인적 또는 사회적 일상과의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어떤 비전을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