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사회, 문화 Social, Culture

24절기, 태음력 단점 보완, 태양력

Jobs 9 2025. 4. 25. 12:13
반응형

 

 

 

24절기

 

二十四節氣

 

태양의 움직임(황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들.

 

 

역사

 

절기의 개념은 전 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개수와 명칭, 그리고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의 화북(허베이)지방에서 처음 고안되었다. 태음력이 이미 있었음에도 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했던 이유는,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었던 문제점 때문이었다.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하여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는 어려웠다.

 

그러므로, 고대 사회부터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운 괴리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고,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고 느낄 수 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보통 동아시아권에서 쓰인 역법은 태음력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24절기를 같이 부속 단위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태음태양력으로 불러야 된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는 아마도 조선 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는다.

 

다만 24절기의 명칭은 중국, 그것도 베이징과 화북 지방의 기후에 맞춰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한반도의 날씨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세종 집권기에 농사직설 등의 도서를 편찬하게 된다.

 

 

 

구성

사계 월건 24절기 명칭 황경(黃經) 절입일2 설명
한국어
(대한민국 표준어)
중국어
(표준중국어)
일본어
입춘() 대륙: 立春 lìchūn
대만: 立ㄌㄧˋ春ㄔㄨㄣ
立りっ春しゅん 315° 2월 4일 의 시작
우수() 대륙: 雨水 yǔshuǐ
대만: 雨ㄩˇ水ㄕㄨㄟˇ
雨う水すい 330° 2월 19일 이 녹기 시작하는 날
경칩()3 대륙: 惊蛰 jīngzhé
대만: 驚ㄐㄧㄥ蟄ㄓㄜˊ
啓けい蟄ちつ 345° 3월 5일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는 날
춘분() 대륙: 春分 chūnfēn
대만: 春ㄔㄨㄣ分ㄈㄣ
春しゅん分ぶん 3월 20일 의 길이가 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청명() 대륙: 清明 qīngmíng
대만: 清ㄑㄧㄥ明ㄇㄧㄥˊ
清せい明めい 15° 4월 5일 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
곡우() 대륙: 谷雨 gǔyǔ
대만: 穀ㄍㄨˇ雨ㄩˇ
穀こく雨う 30° 4월 20일 봄비가 내리는 날
여름 입하() 대륙: 立夏 lìxià
대만: 立ㄌㄧˋ夏ㄒㄧㄚˋ
立りっ夏か 45° 5월 5일 여름의 시작
소만(滿) 대륙: 小满 xiǎomán
대만: 小ㄒㄧㄠˇ滿ㄇㄢˇ
小しょう満まん 60° 5월 21일 볕이 잘 드는 날
망종() 대륙: 芒种 mángzhòng
대만: 芒ㄇㄤˊ種ㄓㄨㄥˋ
芒ぼう種しゅ 75° 6월 6일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날
하지() 대륙: 夏至 xiàzhì
대만: 夏ㄒㄧㄚˋ至ㄓˋ
夏げ至し 90° 6월 21일 1년 중 이 가장 긴 날
소서() 대륙: 小暑 xiǎoshǔ
대만: 小ㄒㄧㄠˇ暑ㄕㄨˇ
小しょう暑しょ 105° 7월 7일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
대서() 대륙: 大暑 dàshǔ
대만: 大ㄉㄚˋ暑ㄕㄨˇ
大たい暑しょ 120° 7월 22일 1년 중 가장 더운 날
가을 입추() 대륙: 立秋 lìqiū
대만: 立ㄌㄧˋ秋ㄑㄧㄡ
立りっ秋しゅう 135° 8월 7일 가을의 시작
처서() 대륙: 处暑 chǔshǔ
대만: 處ㄔㄨˇ暑ㄕㄨˇ
処しょ暑しょ 150° 8월 23일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
백로() 대륙: 白露 báilù
대만: 白ㄅㄞˊ露ㄌㄨˋ
白はく露ろ 165° 9월 7일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추분() 대륙: 秋分 qiūfēn
대만: 秋ㄑㄧㄡ分ㄈㄣ
秋しゅう分ぶん 180° 9월 23일 의 길이가 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한로() 대륙: 寒露 hánlù
대만: 寒ㄏㄢˊ露ㄌㄨˋ
寒かん露ろ 195°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상강() 대륙: 霜降 shuāngjiàng
대만: 霜ㄕㄨㄤ降ㄐㄧㄤˋ
霜そう降こう 210°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겨울 입동() 대륙: 立冬 lìdōng
대만: 立ㄌㄧˋ冬ㄉㄨㄥ
立りっ冬とう 225° 11월 7일 겨울의 시작
소설() 대륙: 小雪 xiǎoxuě
대만: 小ㄒㄧㄠˇ雪ㄒㄩㄝˇ
小しょう雪せつ 240° 11월 22일 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대설() 대륙: 大雪 dàxuě
대만: 大ㄉㄚˋ雪ㄒㄩㄝˇ
大たい雪せつ 255° 12월 7일 1년 중 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
동지() 대륙: 冬至 dōngzhì
대만: 冬ㄉㄨㄥ至ㄓˋ
冬とう至じ 270° 12월 22일 1년 중 이 가장 짧은 날
소한() 대륙: 小寒 xiǎohán
대만: 小ㄒㄧㄠˇ寒ㄏㄢˊ
小しょう寒かん 285° 1월 5일 1년 중 가장 추운 날
대한() 대륙: 大寒 dàhán
대만: 大ㄉㄚˋ寒ㄏㄢˊ
大だい寒かん 300° 1월 20일 1년 중 큰 추위



24절기는 해(태양)의 겉보기 움직임을 보고 만들어졌으므로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양력 날짜가 거의 고정되었다. 앞서 말했듯이 농사를 위해 제정되었기 때문에 24절기 명칭을 보면 기후, 그중에서도 농사에 필요한 강수(降水)와 기온, 일조량과 관련된 어휘가 많이 들어가 있다.

 

 

오해

 

전문가들 중에서도 24절기를 음력 기준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다 . 하지만, 24절기는 양력 기준이지, 절대로 음력 기준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따라서 입추에도 한여름 더위가 이어지는 이유는 음력과 관계가 없다 . 사실 달력만 자세히 봐도 24절기가 양력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음력 기준인 다른 명절(설날, 추석, 단오, 복날 등)은 양력 날짜가 매년 바뀌는 반면 24절기는 매년 동일한 날짜로 고정되었으며, 4년에 한 번 윤년의 영향을 받아 날짜가 바뀐다 해도 하루 정도만 앞으로 당겨지거나 뒤로 밀리는 것이 전부다.

 

24절기가 음력을 주로 사용하는 전근대 시기에 정해진 것이라 이러한 착각이 발생하는데, 애초에 우리가 원래 '음력'이라고 말하는 동아시아 달력은 실제로는 '태음태양력'이며,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요소도 있었다. 태음태양력의 '태양'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 24절기이다. 음력의 일(날짜)은 달의 모양(=태양-지구-달의 각도)이 정하지만, 음력의 월을 정할 때는 24절기를 고려해서 정했다.4 이는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태양의 위치를 아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했기 때문이었다.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했으니 당연히 기후/계절과 관련이 깊지만, 기후에는 태양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대기의 흐름 등 여러 가지 요소가 관여하므로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애초에 24절기의 명칭은 중국 화북 지방, 그것도 2500년 전5인 주나라(周) 당시의 기후를 기준으로 정했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현상과는 별개로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명칭과 기후가 애초에 잘 맞지 않았으며, 그러한 사실은 이미 과거에도 충분히 알려져 있었다. 괜히 농사직설 같은 책이 나온 것이 아니다.

 

 

간격

 

당초 중국에서 쓰던 태음태양력인 대통력에서는 태양이 황도상 가장 남쪽(황경 270˚ 지점)에 있는 날을 동지로 하고, 동지로부터 다음 동지까지의 간을 24등분하여 계산했다. 이렇게 계산하면 각 절기별 시간 간격이 같아진다. 하지만 청나라 때 중국에 들어온 아담 샬(탕약망)을 비롯한 예수회 선교사들이 당시 황제의 명을 받들어 만든 새로운 태음태양력 체계인 시헌력에서는 동지를 기준으로 황도를 15˚ 간격으로 나누어 해당 기준점에 태양의 중심이 맞물리는 날을 24절기로 규정했다.

 

지구는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한쪽 초점에 태양이 위치한 타원 궤도로 공전하고 있고 공전 속도도 일정하지 않아서, 24절기별 시간 간격이 계절별로 다르다. 근일점(近日點)에 도달하는 1월경에는 공전 속도가 가장 빨라서 절기 간 간격도 짧으며, 원일점(遠日點)에 도달하는 7월 경에는 공전 속도가 가장 느려서 절기간 간격도 길다. 현재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시헌력의 기준에 따라 24절기를 계산하고 있다.

 

윤달은 절기 중 12개를 뽑은 중기(中氣)가 들어가지 않은 달에 넣는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겨울에 공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윤달은 주로 여름 즈음에 들어간다.

 

 

공휴일

 

대한민국에서는 24절기라고 공휴일이 되는 날은 없지만, 일본과 중화권(중국, 대만 등)에서는 24절기의 특정 날짜를 공휴일로 삼기도 한다. 일본은 춘분과 추분, 중화권은 청명을 공휴일로 삼고 있다.6 이란도 춘분이 공휴일인데, 이란 달력은 춘분을 노루즈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새해 첫날로 삼기 때문이다.7

 

2005년까지 공휴일이었던 식목일은 청명과 날짜가 거의 겹친다. 그 외 일부 공휴일이 절기와 우연히 겹치곤 한다. 보통 어린이날과 입하, 현충일과 망종이 자주 겹친다.8

 

 

72후

 

72후(七十二後) 또는 72절후(七十二節候)는 고대 중국에서 고안된 계절을 나타내는 방식 중 하나로, 각 절기를 초후(初後), 중후(中後), 말후(末後)로 3등분하여 총 72개로 나눈 것이다. 한 절기가 약 15일이므로 한 후(後)는 곧 5일을 의미한다.

 

초후, 중후, 말후에 각 시기의 특색을 나타내는 설명인 '물후(物候)'를 붙였는데, 예를 들어 입춘의 초후는 동풍해동(東風解凍), 중후는 칩충시진(蟄蟲始振), 말후는 어섭부빙(魚涉負氷) 등으로 부르는 따위이다. 또한, 해당 시기의 물후가 발생하지 않으면 생기는 징후인 '건후(愆候)'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도 72후가 전해졌는데 에도시대 때 일본의 기후에 맞게 물후를 수정하여 중국의 물후와는 차이가 있다. 

 

72후의 명칭은 여러 번 변경되었는데 아래의 명칭은 조선시대 때 기록된 『칠정산』에 실린 기록이다



24절기는 절기(節氣)9 12개와 중기(中氣) 12개로 나뉜다. 입춘을 1번이라고 할 때 홀수 번째는 절기, 짝수 번째는 중기에 해당한다. 즉, 절기에는 입춘ㆍ경칩ㆍ청명ㆍ입하ㆍ망종ㆍ소서ㆍ입추ㆍ백로ㆍ한로ㆍ입동ㆍ대설ㆍ소한, 중기에는 우수ㆍ춘분ㆍ곡우ㆍ소만ㆍ하지ㆍ대서ㆍ처서ㆍ추분ㆍ상강ㆍ소설ㆍ동지ㆍ대한이 있다.

 

명리학과 서양점성술에서도 24절기가 사용된다. 명리학에서는 12절기를 기준으로 월지를 나누고, 서양점성술에서는 12중기를 기준으로 황도 12궁을 나눈다. 명리학에서 한 해의 기준은 입춘이다. 양력으로 2월 4일 경이 지나야 띠가 바뀐다. 양력 1월 1일 ~ 2월 4일생은 지난 해에 태어난 사람들과 띠가 같다. 서양점성술에서 한 해의 기준은 춘분이다.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雜節)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다만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조선 시대에는 24절기에 사형을 집행하지 못했다.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에는 TV 뉴스에 날씨를 소개할 때 "절기상 ○○인 오늘은 전국이~"라는 멘트가 자주 등장한다.11

오늘날에도 백화점, 아울렛, 쇼핑몰 등 패션, 의류 가게는 계절 상품을 미리 입고하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24절기와 타이밍이 잘 맞는다. 즉, 날씨로는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봄/여름/가을/겨울의 시작이라고 보기 어려운 날씨지만 쇼핑몰에서는 실제로 입춘 즈음에 봄 옷을 판매하고 입추 즈음에 가을 옷을 판매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우스갯소리로 '입춘(立春)'의 '입(立)'이 '(의류) 입고'(入庫)의 '입(入)'이 아니냐는 농담이 있다.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개막식이 열리는 카운트다운을 할 때 24절기를 소개하는 영상을 보여줬다. 마침 개막식이 절기상으로 입춘이었다.

 

신카이 마코토의 애니메이션 속 장면들을 하여 일본의 72후를 소개한 영상이 있다. 

 

<딜리셔스 파티♡프리큐어>의 2023년 새해 첫 날이 알리는 카운트다운을 할 때 24절기를 소개하는 영상을 보여줬다. 첫 번째 에피소드의 날이 절기상으로 입춘에 첫 방영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국인들은 24절기가 자국 문화라는 데 강한 집착을 보인다. 예를 들어, 로레알이 대한민국의 호텔 신라와 협업하여 "24절기는 동양(아시아)의 문화"라고 표기하자 난리가 나서 사과문을 올린 바 있다. 그런데 24절기는 중국에서 고안한 것은 맞지만 동아시아권에서도 대부분 사용하는 것도 맞다. 장위안도 2024년에 관련 발언을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