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한계, 천양희 [현대시]

Jobs 9 2022. 3. 3. 19:47
반응형

한계

천양희

한밤중에 혼자
깨어 있으면
세상의
온도가 내려간다.

간간이
늑골 사이로
추위가 몰려 온다.

등산도 하지 않고
땀 한 번 안 흘리고
내 속에서 마주치는
한계령 바람소리.

다 불어 버려
갈 곳이 없다.
머물지도 떠나지도 못한다.
언 몸 그대로 눈보라 속에 놓인다.

 

개관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운율 : 내재율

- 어조 : 독백적인 어조

- 성격 : 고백적, 관념적

- 특징 : ① 설악산의 ‘차가운 계곡이 흐르는 고개’란 뜻의 ‘한계령(寒溪嶺)’을 동음 이의어인 ‘한계(限界)’로 바꾸어 인간의 실존적, 극한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② 인간의 극한적 내면 세계를 ‘한계령’에 비유하고 있다.

③ 존재에 대한 성찰을 독백적이고 관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④ 일상적인 자연을 소재로 선택하여 간단하면서도 적절한 비유로 자신의 내면 세계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⑤ 내면의 한계를 느낀 화자가 눈보라 속의 한계령에 서 있다는 가정을 통해 인간의 절박한 존재론적 고통을 노래하고 있다.

-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화자는 자신의 내면을 응시하며 자신이 한계 상황에 처해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견디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 구성 : 1연 - 실존적 고독의 자각

        2연 - 고독의 형상화

        3연 - 실존 한계 상황의 자각

        4연 - 한계 상황의 형상화

- 제재 : 한계령

- 주제 : 인간 존재의 한계에 대한 인식 / 존재의 한계점에서 느끼는 절망감

         존재의 한계에 부딪혀 느끼는 절망감과 인내에의 의지

         존재의 한계와 마주친 인간의 서늘한 내면 풍경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의 기본적인 발상은 ‘강원도 인제군(麟蹄郡)북면(北面)과 양양군(襄陽郡) 서면(西面)의 경계에 있는, 해발 고도 1004m의 고개’인 한계령의 이름에 포함되어 있는 한계(寒溪)라는 말에서 소리가 같은 다른 단어 한계(限界)를 떠올린 것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시인은 이 발상에서 출발하여, 인간이 부딪히게 되는 존재의 한계를 가파른 고개인 한계령에 비유하면서 시상을 전개해 나간다. 

 

‘한밤중에 혼자 깨어 있’는 화자는 외로움 혹은 고독감에 빠져 든다. 시인은 이 감정을 ‘서늘함, 추움’이라는 촉각적 감각으로 전이시켜서, ‘세상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으로, 또 ‘늑골 사이로 추위가 몰려’오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1~2연). 그 외로움과 고독감은 마치 추운 한계령 고개를 넘어가는 일과 흡사하다는 것이다(3연). 그러나 화자는 그 상황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한다. 화자의 심리적 상황이 한계령 고개에서 있는 듯한 절박한 상황이지만, 화자는 자신의 감정적 상태를 고개를 넘듯 그렇게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 화자가 느끼는 감정은 일시적이고 사소한 것이 아니라 한밤 중에 홀로 깨어 있을 때 우리가 느끼게 되는 인간의 본원적인 고독과 외로움이기 때문에, 화자는 스스로 넘어갈 수 없는 어떤 ‘한계’에 부딪힌 것과 같은 상태에 처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3연에서 화자는 자신의 내면에서 한계령의 바람 소리를 듣고 있다고 말했는데, 4연에 이르면 이제는 화자 자신이 한계령을 넘어가는 바람과 동일시된다. 화자가 존재의 한계에 부딪힌 것은 바람이 한계령을 넘어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과 흡사한 것이다. 그래서 ‘바람=화자’는 ‘다 불어버려 갈곳이 없’으며, ‘머물지도 떠나지도 못’하면서 그저 한계령에 머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절박한 한계 상황에서 화자가 택하는 길은 그 상황을 견디고 인내하는 길이다(5연). ‘언 몸 그대로 눈보라 속에 녹인다’는 역설적 표현이 그것이다. 눈보라속에서 언 몸을 녹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회피할 수도 없고 극복할 수도 없는 어떤 상황에 처할 때가 있으며, 그땐 그저 인내할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는 때 역시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 작품의 제목인 ‘한계’인 것이다. 

이 시를 감상할 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가 겪은 유사한 상황을 생각해 보면서 시인의 감각적인 표현들이 과연 그 상황과 그 감정을 얼마나 생생하게 살려 내고 있는지를 음미해 보는 일일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