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성묘(省墓), 고은 [현대시]

Jobs9 2022. 3. 16. 15:20
반응형

성묘(省墓)

고은

아버지, 아직 남북 통일이 되지 않았습니다.
일제시대 소금 장수로
이 땅을 떠도신 아버지.
아무리 아버지의 두만강 압록강을 생각해도
눈 안에 선지가 생길 따름입니다.
아버지의 젊은 시절
두만강의 회령 수양버들을 보셨지요.
국경 수비대의 칼날에 비친
저문 압록강의 붉은 물빛을 보셨지요.
그리고 아버지는
모든 남북의 마을을 다니시면서
하얀 소금을 한 되씩 팔았습니다.
때로는 서도(西道) 노래도 흥얼거리고
꽃 피는 남쪽에서는 남쪽이라
밀양 아리랑도 흥얼거리셨지요.
한마디로, 세월은 흘러서
멈추지 않는 물인지라
젊은 아버지의 추억은
이 땅에 남지도 않고
아버지는 하얀 소금이 떨어져서 돌아가셨습니다.
아버지, 남북 통일이 되면
또다시 이 땅에 태어나서
남북을 떠도는 청청한 소금 장수가 되십시오.
"소금이여", "소금이여"
그 소리, 멀어져 가는 그 소리를 듣게 하십시오.
 

 

개관

- 제재 : 소금 → 그 자체가 부패하지 않을뿐더러 다른 것이 썩지 않게 하는 힘을 가진 것으로, 시련의 시대를 살아가는 아버지를 지탱해 주던 힘이나 정신적 가치를 의미함.  남과 북을 연결해주고 하나로 만들어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함. 
- 화자 : 아버지 산소에 성묘 간 아들
- 주제 : 망국과 분단의 현실에 대한 한, 민족의 화합과 통일에 대한 염원

- 성격 : 참여적, 민족적, 기원적, 서사적, 회상적, 추모적
- 특성 * 비감어린 탄식의 어조
* 상징적 소재를 통해 주제의식을 드러냄.
* 그리움이 느껴지는 회상과 추모의 어조
* 기원적이고 독백적인 어조를 통해 통일에 대한 염원을 표현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아직 남북 통일이 되지 않았습니다. → 분단의 현실
일제 시대 소금 장수 → 남과 북을 연결하는 매개체
아버지의 두만강 압록강 → 분단으로 인해 가볼 수 없는 아버지의 삶의 공간
눈 안에 선지가 생길 따름입니다. → 눈에 핏발이 설 정도로 분단의 현실이 원통하고 한스러움을 의미
두만강의 회령 수양버들 → 평화롭고 생동감 넘치는 이미지
국경 수비대의 칼날에 비친 / 저문 압록강의 붉은 물빛 → 공포스러운 살풍경.  회령 수양버들과 대비되는 모습. / 물빛이 붉은 것은 국경 수비대에 의해 압록강이 피로 물들었기 때문임. / '칼날'의 섬뜩한 이미지와 '붉은 물빛'의 강렬한 색채 대비를 통해 당시의 공포를 잘 표현함.
모든 남북의 마을을 다니시면서 ~ 밀양 아리랑도 흥얼거리셨지요. → 일제 강점기에 남북을 자유롭게 오가며 소금을 팔던 아버지의 모습
서도 → 황해도와 평안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서도 노래(북쪽의 노래) / 밀양 아리랑(남쪽의 노래)
하얀 소금 → 아버지의 삶을 지탱하게 해 준 소중한 정신적 가치 / 이 땅의 민중(백의민족)들과 함께 나누었던 삶의 애환 / 남과 북을 연결시켜주고, 부패하지 않게 해주는 존재의 의미
남북을 떠도는 청청한 소금 장수가 되십시오. → 진정한 민족 동질성의 회복을 염원
소금이여, 소금이여 → 직접 인용과 청각적 심상을 통해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함.

시상의 흐름(짜임)
- 1 ~ 5행 : 분단된 조국 현실에 대한 한탄(현실 인식)
- 6 ~ 20행 : 남북을 오가며 소금을 팔던 아버지의 모습과 분단의 한(과거 회상)
- 21 ~ 25행 : 분단의 극복과 민족 화합에 대한 염원(미래 소망)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죽은 아버지를 추모하는 아들의 마음을 통해 민족의 화합과 통일에 대한 염원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는 성묘를 가서 아버지께 아직도 남북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고드리는 것으로 시작된다.  외형적으로 소금 장사는 아버지의 생계의 수단이지만, '소금'은 어려운 시대를 지탱하게 하는 어떤 정신적 가치로까지 상징된다. '소금'은 통일을 향한 정신적 가치를 품고 살아가려는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며, 또한 화자의 노력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고은이 초기의 '허무'시에서 중기의 '역사'시로의 변신을 보여준 시집 '문의 마을에 가서'(1974)에 수록된 작품이다. 이 시는 시인이 사회적 · 역사적 책무를 절감하고 민중적 각성의 시인으로 변신하면서 내놓은 작품의 하나이다. '아버지'를,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방랑의 길에 올랐던 우리 민족의 총체적인 얼의 상징으로 보고 이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실마리를 찾으면 될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