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고향의 바람, 김혜숙 [현대시]

Jobs 9 2022. 3. 1. 03:29
반응형

고향의 바람

김혜숙

문 열어라, 문 열어라.

내 고향 바다가 일으킨 바람은
대관령 넘어
영서의 옥수수밭을 다 지나서
쏴―쏴
쇳소리 내며 쇳소리 내며
타관(他官)살이 서툴어
문 잠그고 사는
나의 대문을 흔든다.

내 고장의 꽃들을 다 피우고
그래도 직성이 풀리지 않아
서울 사는 나의 집
고향 잊고 사는 나의 집
그래 가끔 거짓말도 잘하는
나의 집
잠근 대문을 흔든다.

문 열어라, 문 열어라.

앞마당 몇 포기 게으른 꽃나무들
내 고향 바람의 푸른 서슬에
놀라서 잠 깨어 꽃을 피운다.

있는 대로 모두 다 꽃을 피운다.

 

 

해설
  각박한 도시의 생활에서 고향을 떠올릴 때는 조금 넉넉해질 수 있다. 이해 타산과 익명성의 도시에서 고향을 상기하게 하는 계기를 만날 때 더욱 반갑고 친근한 것인지 모른다. 
  <고향의 바람>에서는 고향으로부터 불어온 바람이 고향의 넉넉함을, 그리고 도시의 각박함을 일깨워주는 구실을 한다. 1연에서 문 열기를 재촉하는 바람은 고향에서 불어온 것이다. 드넓은 바다에서부터 거칠 것 없는 옥수수 밭을 지나온 바람은 도시에 사는 `나의 대문'을 흔든다. 바람의 개방성과 대조되는 굳게 닫힌 대문은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사는 고단한 삶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바람은 고향의 꽃을 피워낸 훈기를 머금고 있다. 그 훈기를 `나의 집'에 당도하여 풀어놓는 것이다. 고향 바람이 지닌 훈기와 개방성에 비하여 `나의 삶'은 폐쇄적이다. 고향도 잊은 채 도시의 삶에 몰두하는 `나'는 거짓말도 잘하게 되었고 그러한 자기 기만의 아픔은 굳게 닫힌 대문과 울타리로 폐쇄된 집이 상징한다. 그 폐쇄성을 고향의 바람이, 푸근한 자연의 힘이 흔들어댄다. 
  문 열기를 재촉하는 고향의 바람은 앞마당의 꽃나무들을 흔들어 깨워 꽃을 피우게 한다. 개화란 꽃이 외부세계로 열려짐을 뜻한다. 바람의 훈기가 아니라면, 각박하고 폐쇄적인 삶에 대한 서슬 퍼런 각성의 바람이 아니었던들 외부로 향한 그 아름다운 열림이 가능했을 것인가. 있는 대로 모두 다 피어난 꽃을 보는 시인의 눈길은 그래서 예사롭지 않을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