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황지우 [현대시]

Jobs 9 2022. 11. 8. 08:28
반응형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황지우

나무는 자기 몸으로
나무이다.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영하 십삼 도
영하 이십 도 지상에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무방비의 나목(裸木)으로 서서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아 벌 받은 몸으로, 벌 받는 목숨으로 기립하여, 그러나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온 혼으로 애타면서 속으로 몸 속으로 불타면서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에서
영상으로 영상 오 도 영상 십삼 도 지상으로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간다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터지면서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천천히, 서서히, 문득, 푸른 잎이 되고
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
아아, 마침내, 끝끝내
꽃피는 나무는 자기 몸으로
꽃피는 나무이다.
 

 

개관
- 특성
* 상징적, 대립적 시어로 시대 현실을 반영함.
* 계절의 순환이라는 자연현상을 통해 주제를 형상화함.
* 유사한 형태의 시구를 반복하여 주제의식을 강조함.
- 화자의 태도 : 겨울에 헐벗은 나무가 겨울의 온갖 고통을 이기고 봄에 꽃을 피우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그리고 있다. 겨울이라는 부정적 현실의 시련을 이기고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의 생명력과 굳은 의지를 노래함으로써, 힘든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강인함을 보인다. 
- 주제 : 겨울(부정)을 극복하고 꽃(소망)을 피운 나무의 생명력

중요시어 및 시구 풀이
* 나무 → '고난(억압) 받는 자'의 상징, 강인한 생명력과 굳은 의지를 지닌 존재 상징
*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자신이 되고자 생명력을 실현함.
* 온몸으로 → 나무로서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강조함.
*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영하 십삼 도 / 영하 이십 도 지상에 → 나무가 처한 겨울이라는 고난과 시련의 냉혹한 현실 상황을 나타냄.
*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 겨울을 온몸으로 이겨내면서도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고 있는 듯한 모습
* 무방비의 나목 → 겨울나무의 은유.  시련을 겪으면서도 아무것으로부터도 보호받을 수 없는 상태
*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 시련과 고난을 인내하고 버티는 모습
*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 작용에 대한 반작용의 생성, 냉혹한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의 형성
*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에서 → 어려움 속에서도 현실과의 대결 의지를 지님.
*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간다. → 상승의 이미지로, 상황의 변화를 나타냄. 힘든 현실과 대결하면서 그 결과를 겉으로 표출하려는 모습임.
*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 변화를 위해 겪는 내적 고통의 강도
*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 마음속의 뜨거운 움직임은 외부를 변화시키게 됨. 강렬한 생명력의 발현
* 아아, 마침내, 끝끝내 → 화자의 감동과 경이로움
* 나무는 나무가 된다 → 자신의 몸이 으스러지고 부르터지면서까지 이루고자 했던 것.
* 자기 몸으로 → 자율성, 주체성
* 꽃 피는 나무 → 강인한 생명력과 굳센 의지의 산물. 아름답고 향기로운 성과물, 모두가 공감하고 원하는 것. 나무가 자신의 모든 걸 바쳐서 투쟁한 이유이자 목적에 해당함.

시상의 흐름(짜임)
- 1 ~ 3행 : 나무의 정체성
- 4 ~ 9행 : 겨울나무가 겪는 고난의 상황
- 10~20행 : 생명력을 발현하기 위한 겨울나무의 저항
- 21~23행 : 생명력을 실현한 봄 나무의 아름다움과 감동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서 '겨울나무'와 '봄 나무'의 두 상태는 대립적인 두 가지의 상황을 의미한다. '겨울나무'는 고난과 시련을 겪고 있는 상태이며, '봄 나무'는 이를 극복하고 생명력을 맺고 있는 상태이다. 화자는 '겨울나무'로부터 '봄 나무'로의 변화를 자기가 속한 상황의 부정을 통한 변화로 파악한다. 그리고 그것을 상승의 이미지와 역동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마침내 겨울을 극복하고 봄을 쟁취하는 나무의 모습은 자기 생명력의 확인과 굳은 의지의 산물임을 제시하고 있다. 
80년대를 대표하는 황지우 시인의 시 세계를 염두에 본다면, 이 시에서의 겨울과 영하의 땅은 현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것도 아주 고통스럽고 열악한, 모든 생명들을 죽게 만드는 고난의 현실을 상징한다. 나무라는 생명체의 삶을 억압하고 수고하는 현실을 상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억압을 이기고 꽃을 피우는 나무는 역사 속의 민중이나 민중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이 작품은 자아 정체성의 확립 과정을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즉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부정적 외부 환경에 대해 저항할 뿐 아니라 자기 내면의 상태를 변화시키려는 주체적 노력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이 작품은 정치적 자유가 억압되었던 1980년대의 시대 현실을 반영한 작품으로도 평가된다. 부정적 시대 현실에 순응하며 사는 삶에 대해 반성하고, 현실에 당당히 맞서 자유로운 세상을 쟁취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작품으로도 해석되는 것이다.

 



 Q  다음 시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나무는 자기 몸으로
나무이다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零下 十三度
零下 二十度 地上에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무방비의 裸木으로 서서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아 벌 받은 몸으로, 벌 받는 목숨으로 起立하여, 그러나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온 魂으로 애타면서 속으로 몸속으로 불타면서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零下에서
零上으로 零上 五度 零上 十三度 地上으로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 간다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터지면서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천천히, 서서히, 문득, 푸른 잎이 되고
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
아아, 마침내, 끝끝내
꽃 피는 나무는 자기 몸으로
꽃 피는 나무이다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① 시적 대상을 의인화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② 감탄사를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③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적 대상의 변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④ 공감각적 심상을 활용하여 시적 대상이 처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해설】 정답 

특정 감각을 다른 감각으로 전이하여 표현하는 공감각적 심상을 활용한 부분은 없다

① 나무가 겨울을 견디는 모습을 '벌'을 받는 것으로 표현하여 나무가 이를 버티고 거부하는 능동성이 있는 존재. 나무가 봄에 꽃을 피우는 모습은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  시적 대상을 의인화

② ‘아아, 마침내, 끝끝내’에서 시적 화자는 감탄사 ‘아아’를 사용하여 오랜 노력 끝에 꽃을 피우는  감탄사를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표현

③ 고난과 시련을 겪고 있는 ‘겨울-나무’가 고난과 시련을 극복하여 생명력 넘치는 상태인 ‘봄-나무’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적 대상의 변화 과정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