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강(江) 2, 박두진 [현대시]

Jobs 9 2022. 4. 15. 19:31
반응형

강(江) 2

박두진

나는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그 날 강물은 숲에서 나와 흐르리.

 

비로소 채색되는 유유(悠悠)한 침묵

꽃으로 수장(水葬)하는 내일에의 날개짓

 

아, 흥건하게 강물은 꽃에 젖어 흐르리

무지개 피에 젖은 아침 숲 짐승 울음

 

일체의 죽은 것은 떠내려 가리

얼룽대는 배암 비눌 피발톱 독수리의,

 

이리 떼 비둘기 떼 깃죽지와 울대뼈의

피로 물든 일체는 바다로 가리.

 

비로소 햇살 아래 옷을 벗는 너의 전신(全身)

강이여. 강이여. 내일에의 피 몸짓

 

네가 하는 손짓을 잊을 수가 없어

강 흐름 핏무늬길 바다로 간다

 
개관
- 성격 : 의지적, 관념적, 상징적, 주지적
- 표현
* 비장한 어조
* 동물적 이미지를 대조적으로 표현하여 부정적 현실과 미래에 대한 기대를 남김.
- 상징적 시어
  * 강 → 도도한 역사의 흐름, 동족상잔의 비극을 딛고 밝은 미래로 나아가는 민족의 생명력
  * 바다 → 여사가 도달해야 할 화해와 합일, 평화와 사랑의 공간
  * 숲 → 민족의 현실, 대립과 반목, 폭력과 파괴로 얼룩진 비극적 역사
- 화자 : 밝은 미래를 소망하는 이
- 주제 : 비극적 현실 극복과 새 역사 창조에 대한 전망

중요시어 및 시구 풀이
   * 그날 → 시련의 현실에서 벗어나는 미래의 순간
   * 강물 → 역사의 흐름
   * 숲 → 격동의 세월(동족상잔의 비극)
   * 흐르리 → 예언적 어조
   * 비로소 채색되는 유유한 침묵 → 평온을 찾는

   * 꽃으로 수장하는 내일에의 날개짓

     →(꽃): 전쟁에 희생된 소중한 생명을 자양분으로 자란 겨레의 밝은 소망

     →(내일에의 날개짓): 희망의 손짓처럼 흘러가는 강물
   * 흥건하게 → 흥겨움에 벅찬 감격
   * 무지개 피 → 새로운 역사를 위한 고귀한 희생
   * 아침 숲 짐승 울음 → 희생된 이들의 울부짖음
   * 일체의 죽은 것 → 부정적인 것(살육, 증오, 고통)
   * 얼룽대는 → 줄이나 점이 규칙적으로 무너져 어른거리는
   * 울대뼈 → 새의 목에 있는 발성 기관에 붙은 뼈
   * 얼룽대는 배암 비늘 ~ 피로 물든 일체
     → 폭력적인 자들과 그 폭력으로 희생된 약자들의 슬픔까지 포함한 모든 부정적인 것들
   * 바다 → 갈등과 분열이 극복된 화해와 평화의 세계
   * 햇살 아래 옷을 벗는 너의 전신 → 암울한 역사의 굴레를 벗어던진 밝은 역사의 진면목
   * 내일에의 피 몸짓 → 새 역사 창조를 위한 처절한 몸부림
   * 네 → 바다 = 역사
   * 피무늬길 바다로 간다. → 고통과 희생을 감수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겠다는 의지(주체:강, 화자)
   

 

시상의 흐름(짜임)
- 1 ~ 3연 : 밝은 미래에 대한 지향
- 4 ~ 5연 : 비극적인 현실의 소멸 소망
- 6 ~ 7연 : 희망적인 미래에 대한 전망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우리의 어두운 과거 역사를 청산하고 밝은 미래로 힘차게 나아가고자 하는 염원을 부정적 요소를 담고 정화의 '바다'로 가는 '강물'의 흐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 작품은 1연의 1행은 '잊을 수가 없다'는 고백을 먼저 하고 있다. 그러나 뒤따라 나오는 2행은 '그 날 강물은 숲에서 나와 흐르리.'라 하여 '그날'을 잊을 수 없다고 생각하게 만들면서 동시에 '나와 흐르리'라고 하여 미래의 어떤 일을 추측하는 '-리'로 마무리를 하여 시제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킨다. 이로 인하여 이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는 대략적인 주제를 말하는 데에 머무르고 말았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여 이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지니고 있다.
박두진의 <강2>는 1연을 구성하고 있는 1행과 2행은 시제가 다르다. 1행은 현제 시제이고 2행은 미래 시제이다. 따라서 1행에서 '잊을 수가 없다.'는 목적어는 2행의 '그날'이 아니다. 잊을 수 없는 것은 과거에 일어난 일이고 시의 다른 연에 제시되어 있다. 1연은 잊을 수가 없는 어떤 것과 강물이 서정적 자아가 오기를 고대하는 미래의 어떤 날에 숲에서 나와 흐를 것을 추측하고 믿는 내용이다. 
서정적 자아가 '잊을 수 없다'는 것은 마지막 연인 7연 1행에 제시되어 있다. 그것은 '네가 하는 손짓'이다. 이때의 '네'는 '강'이다. 그리고 '네가 하는 손짓'은 2연의 2행에 제시된 '내일에의 날개짓'이며, 6연 2행에 제시된 '내일에의 피 몸짓이다. '손짓'은 단순한 손짓이 아니고 '내일'을 향한 것이며 '내일'을 위한 것이다. 이 '내일'은 1연의 '그날'이다. 그러면 '과거'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으며, '내일'에는 어떤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인가? 
서정적 자아가 말하는 과거에 '잊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공간적 배경은 '숲속'이다. 그 숲속에는 '짐승'(3연 2행)이 살고 있고 '얼룽대는 배암 비늘 피발톱(을 지닌) 독수리의' '일체의 죽은 것'(4연)과 '이리 떼 비둘기 떼(의) 깃죽지와 울대뼈의' '피로 물든 일체'(5연)가 있는 곳이다. 죽음과 피로 물들었다는 것은 숲속의 짐승간의 목숨을 건 싸움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현대사에 대입하면 6 · 25전쟁에 해당할 것이다. '강'은 이러한 숲속의 짐승 간의 목숨을 건 싸움의 모든 흔적을 없애고 '숲'으로 상징되는 '한반도'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려는 어떤 거대한 존재이다. 이 존재는 구체적일 수도 있고 추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숲속을 정화하기 위하여 '일체의 죽은 것'과 '피로 물든 일체'를 바다로 가져가는 데는 강 혼자의 힘으로 할 수 없다. 정화시키는 데에는 '꽃으로 수장하는'(2연) 일이 필요하다. '흥건하게 강물'이 '꽃에 젖어' 흘러 '채색'될 때(3연)에 숲은 정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이 일어나는 '그날(내일)'의 '아침 숲'은 '무지개 피에 젖'어 있을 것이고, '짐승의 울음'이 들릴 것이다.(3연 2행) '무지개'는 '희망, 꿈'을 나타내므로 '희망 또는 꿈을 가지고 있는 이 땅'을 의미한다. (이 부분은 '무지개 피에 젖은' 것이 '짐승 울음'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때는 희망 또는 꿈을 가진 주체가 숲에 사는 생명체, 즉 이 땅에 사는 민중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늘 서정적 자아가 따라 '바다로' 가는 '강물'은 '핏무늬'를 띠고 있지만 '그날(내일)'은 꽃의 수장으로 모든 것이 정화된 '강물'이 숲속에서 나와 흘러 '햇살 아래 옷을 벗'고 '강'의 '전신'을 보여 주는 날이다. 
'강'이 '꽃'에 '채색되'어 '일체의 죽은 것'과 '피로 물든 일체'를 바다로 가져가기 위하여 '햇살 아래 옷을 벗'는 날이 오게 하기 위하여 서정적 자아는 자신이 '수장'되는 '꽃'이 되기 위하여 현재는 '핏무늿길'인 '바다'로 향하는 '강'을 따라 가고 있다. '꽃'은 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숲을 정화시키기 위하여 강물에 자신을 '수장'시킨 존재이다. 그리고 '강'은 이러한 '꽃'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숲'을 정화시키는 존재이다. 이 둘은 모두 상징이어서 정확하게 그 존재를 규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역사적인 면에서 바라보면 '꽃'은 동족상잔의 싸움으로 얼룩진 이 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이라도 희생하여 정화시키고 평화를 정착시키려는 존재이다. '강'은 이러한 존재의 희생과 열망을 모아 그들의 목적을 실현시키는 어떤 거대한 흐름이다. 이 흐름은 추상적인 흐름일 수도 있고 구체저인 존재일 수도 있다. 상지으로 쓰였기 때문에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다. 
이 시에서 시인이 전하는 것을 요약하면 '동족상잔으로 더럽혀진 민족의 터전을 회복하려는 바람과 이를 위한 희생정신'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