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문화 Art, Culture/맛, 음식 Taste, Food

아질산염, 햄, 소시지 첨가물, NaNO2, 아질산나트륨, Sodium Nitrite

Jobs 9 2023. 5. 12. 21:20
반응형

1) 식약청 제공

식품첨가물명 아질산나트륨
식품첨가물영문명 Sodium Nitrite
일일허용섭취량
(ADI)
0.0-0.06

대사
(Metabolism)
아질산염은 위에서 잘 흡수되어서 마우스에게 경구투여한 NaNO2
는 10분후 85%가 위에서 소실됨 [Fredman, M. A., et al. : J.
Pharmacent. Sci. 61, 92 (1972)].
흰쥐에게 있어서도 위에서 흡수됨 [Mirvish, S. S., et al. :
J. Natl. Cancer Inst. 54, 869 (1975)].
소장에서도 흡수되고, 모르모트의 위에서의 흡수가 2차 지수곡선
을 나타내며 소장에서는 1차 지수곡선을 나타냄 [石綿肇 :食衛誌
18, 524 (1977)].
흡수된 아질산은 헤모글로빈을 메트헤모글로빈으로 전환시켜 질산이 됨 [Kosaka, H., et al. : Biochem. Biophys. Acta 581, 184 (1979)].
아질산염의 아급성독성은 체내에서 메트헤모글로빈의 생성량과
이것을 헤모글로빈으로 환원하는 능력에 관계함 [Lehman, A.
J. : Quart. Bull. Ass. Fd. Drug Off. 22, 136(1958)].
최근 아질산과 2급 아미노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한 N 니트로소아
민의 발암성이 문제시되고 있음. 아질산염은 간 또는 신장의 호모
디네이트에 의해 질산염에 산화됨. 이 반응은 카탈라아제 함량에
의존하여, D-아미노산 산화효소 또는 카탈라아제에 연결한 키산틴
옥시다아제(EC 1, 2, 3, 2)에 의해 촉매됨
[Heppel, L. A., Porterfield, V. T. : J. Biol. Chem. 178, 549
(1949)].
급성독성
(Acute toxicity)
아질산 화합물의 대량섭취는 혈관확장과 메트헤모글로빈 형성을
일으키고, 혈액의 효소운반능력을 저하시킴. 그 양이 적을 경우는
메트헤모글로빈 환원효소에 의해 헤모글로빈이 되어 정규의 기능
을 회복하지만, 다량의 경우는 혈구를 붕괴하여 혈색소는 혈장 중,
그리고 소변 중에 출현하고 또 뇨세관을 폐색함. 유아는 메트헤모
글로빈 환원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종의 혈액독에 특히 예민하
게 반응함. 아질산나트륨 1g은 헤모글로빈 1.855g을 메트헤모글로
빈화한다고 함.
급성중독증상으로서 구역질, 구토, 티아노제, 동계(動悸, 가슴이
두근거리는 병), 혈압하강을 보이며, 헤모글로빈의 대량(70% 이상)
이 메트헤모글로빈화하면 치명적 중독을 일으켜 운동실조, 현저한
혈압하강, 허탈, 혼수, 호흡마비를 일으킴.


각종 동물에 대한 NaNO2의 치사량은 다음 표에 나타냄.
-----------------------------------------
토끼 피하 MLD 60 1)
토끼 〃 LD100 170 1)
개 경구 MLD 330 1)
마우스 경구 LD50 220 2)
마우스(♀) 경구 LD50 175 3)
흰쥐 경구 LD50 85 3)
-----------------------------------------


더구나 Druckrey [Druckrey : Arzneimittel Forsch. 13, 320
(1963)]에 의하면 NaNO2의 급성독성은 표 2와 같이 동물의 연령
및 경구투여의 경우는 사료섭취량, 위 속 산 함량에 크게 관계한다
고 함.


표 2
-----------------------------------------------------
동물종 연령 상태 치사량 MLD ㎎/㎏
경구 정맥 피하
-----------------------------------------------------
흰 쥐 1년 절식 77 65
흰 쥐 1년 절식 130 65
흰 쥐 3개월 절식 110 105
흰 쥐 신생아 200
-----------------------------------------------------
급성중독 예에서 산정하면 사람의 경구치사량은 0.18~2.5g이라
고 함.


변이원성실험
아질산나트륨의 변이원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8을 이용하여, S-9를 첨가 또는 무첨가로
실험을 한 결과, S-0에는 관계없이 TA1535는 양성, TA100은 약양
성을 나타냈음
[Gida Katki Maddelerinden. et al. : Mikrobiyol Bul. 25, 94~107
(1991)].
아급성독성
(Short-term exposure)
흰쥐에게 121일에 걸쳐 총량 167㎎을, 고양이에게 105일에 걸쳐 총
량 4,100㎎을 경구투여했지만,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음 [Tarr. H.
L. A., et al. : J. Fisheries Res. Board Can. 6, 63 (1947)].
마우스 : 경구 (drinking water) : 1, 0.5, 0.25, 0.125, 0.06 % 6W.,
1% necrosis of hepatocytes [Gann 80,203 (1979)]
만성독성
(Long-term exposure)
흰쥐에게 음료수로 녹인 100㎎/㎏의 아질산나트륨을 매일, 평생 혹
은 3세대에 걸쳐 투여하여 가벼운 정도의 성장저해와 생존기간의
단축이 확인되었지만, 혈액상, 생식기관 및 그 외 기관에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축적, 독성도 보이지 않았음
[Druckrey : Arzneimittel Forsch. 13, 320 (1963)].
발암성
(Carcinogenicity)
1981년도에 종료한 후생성 암연구 조성금에 의한 연구에 따르면 음
료수 중 농도 0.125%, 0.25%의 아질산나트륨을 F-344 흰쥐에게 2년
간 투여했지만, 투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종양발생에 관해서는 유의
한 차이를 볼 수 없었음
[Maekawa, A., et al. : Fd&Chem. Toxic. 210, 25~33 (1982)]. 또


음료수에 0.125, 0.25 및 0.5% 농도로 섞은 아질산나트륨을 ICR 마우
스에게 2년간 투여해도 발암성은 확인할 수 없었음 [Inai, K., et
al. : Gann 70, 203 (1979)].
강력한 발암물질이라고 하는 디메틸니트로소아민을 비롯한 N-니트
로소아민류는 아질산염 및 2급 아민을 전구물질로 해서 생성되어 일
부 시판식품에서도 검출되었음 [谷村顯雄 : 食衛誌 12, 192 (1971)
아질산나트륨과 동시투여로 종양을 발생하는 것은 N-메틸벤질아
민, 몰포린, 메틸우레아, 에틸우레아, 1,3-디메틸우레아, 부틸우레
아, 2-이미다조리돈, N-메틸아닐린, 피페라딘 등이 있고, 여기에 대
한 동시첨가로 종양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은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티톨린, 메틸구아니딘, N-메틸 및 N-에틸우레탄, 페닐우레아, 히단트인, 피페리신 등.
변이원성
(Mutagenicity)
-------------------------------------------------------------
돌연변이시험
살모넬라 수복시험 염색체이상시험 자매염색 돌연변이시험
TA100 TA98 red assay 배양 햄스터 세포 분체교환 누에
(S9-) (S9-)
-------------------------------------------------------------
+ - + + +
-------------------------------------------------------------
[Kawachi, T., et al. : IARC Sci. Pub. No. 27, 323 (1980)]
참고문헌
(Reference)
Spector, W. S. : Handbook of Toxicology vol. l (1965)
Lehman, A. J. : Quart. Bull. Assoc. Food Drug Off.
22, 136 (1958)
Sixth Repe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1962)
Druckrey : Arzneimittel Forsch. 13, 320 (1963)
 

 

2) 아질산염 잔존량 검사 결과표(랩프론티어)

제품명 잔존량(mg/1g) 제조사 아질산염 표기여부
주부9단 김밥햄 0.057 목우촌 표기
마포주먹갈비 0.056 CJ 표기
백설스모크햄 0.055 CJ 표기
건국햄윈너 0.052 건국햄 표기
김밥속햄 0.052 롯데 표기
숯불구이김밥햄 0.045 대림 표기
숯불김밥햄 프리미엄 0.044 동원 표기
치즈스테이크 0.037 목우촌 미표기
청정원불고기햄 0.036 대상 표기
베이컨(96.72%) 0.035 CJ 표기
목우촌베이컨 0.034 목우촌 표기
궁중숯불구이 0.032 남부햄 표기
청정원베이컨 0.027 대상 표기
동그랑땡 0.025 CJ 미표기
동원앙코르런천미트 0.024 동원 표기
하이포크팜 0.022 대상 표기
천하장사 0.016 진주 미표기
스팸 0.016 CJ 표기
0.014 하림 표기
농심덴마크햄 0.014 농심 표기
바베큐떡갈비 0.010 건국햄 표기
키스틱 0.0085 롯데 미표기
버섯완자 0.0065 해태 미표기
숯불떡갈비 0.0055 대상 표기
로스팜 0.0055 롯데 표기
날아라슈퍼보드캡스 0.005 동원 미표기
동원동그랑땡 0.0045 동원 미표기

 

3)안전성 판단표

-20kg 어린이 하루 섭취량 1.2mg이 기준임

주부9단 김밥햄 0.057 1.425 2.85 4.275
마포주먹갈비 0.056 1.4 2.8 4.2
백설스모크햄 0.055 1.375 2.75 4.125
건국햄윈너 0.052 1.3 2.6 3.9
김밥속햄 0.052 1.3 2.6 3.9
숯불구이김밥햄 0.045 1.125 2.25 3.375
숯불김밥햄 프리미엄 0.044 1.1 2.2 3.3
치즈스테이크 0.037 0.925 1.85 2.775
청정원불고기햄 0.036 0.9 1.8 2.7
베이컨(96.72%) 0.035 0.875 1.75 2.625
목우촌베이컨 0.034 0.85 1.7 2.55
궁중숯불구이 0.032 0.8 1.6 2.4
청정원베이컨 0.027 0.675 1.35 2.025
동그랑땡 0.025 0.625 1.25 1.875
동원앙코르런천미트 0.024 0.6 1.2 1.8
하이포크팜 0.022 0.55 1.1 1.65
천하장사 0.016 0.4 0.8 1.2
스팸 0.016 0.4 0.8 1.2
0.014 0.35 0.7 1.05
농심덴마크햄 0.014 0.35 0.7 1.05
바베큐떡갈비 0.01 0.25 0.5 0.7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