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해방 공간의 문학, 전후문학(1950년대 문학), 한국 문학의 흐름(3)

Jobs9 2024. 11. 12. 11:38
반응형

한국 문학의 흐름(3) : 해방공간과 전후의 문학

 

 

1. 시대적 배경 및 문학적 상황

 

⑴ 8. 15 해방
→ 역사적 전환점인 동시에, 좌 · 우익의 이념적 갈등이 첨예화되는 시기
⑵ 6. 25 전쟁
→ 우리 민족의 삶의 황폐화를 가져왔으며, 냉전 체제 강화로 냉전의식이 점차 확산되어 감.
⑶ 문학적 상황
㈀ 문단의 양분 현상 : 좌익 성향의 '조선 문학가 동맹'과 우익 측의 '전국 문화 단체 총 연합회'가 결성되어 이론적 논쟁을 통한 갈등이 심화됨.
㈁ 일제하의 체험과 귀향의식귀향 의식 : 해방 후 일제하의 절박한 삶의 체험을 회상하고, 고향을 잃은 자들의 귀향 의식을 표현하려는 주제 의식이 나타남.
㈂ 참여문학과 순수문학의 정립 : 6. 25 전쟁 후 현실참여적인 주지주의 문학과 전통 지향적인 순수 문학의 맥이 형성됨.
㈃ 전후문학과 서구 실존주의의 영향 : 전쟁 체험과 전후의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문학이 등장했으며, 인간 존재의 해명을 담은 작품이 등장함.

 

 

2. 해방 공간의 문학

 

⑴ 시
① 배경 : 8. 15 해방의 감격과 역사적 의미에 대한 시적 인식의 보편화 및 이념적 갈등의 반영
② 특징
㉠ 해방의 현실에 대한 시대적 소명 의식을 예언자적 목소리로 표출
㉡ 직접적 체험에 의한 열정적 정서 표출과 급박한 호흡의 언어 구사
㉢ 해방 전사를 추모하는 헌사(獻詞)나 찬가(讚歌)의 성격을 띤 대중적인 시형
㉣ 인생에 대한 관조와 전통 정서의 추구
㉤ 창작의 집단화 경향이 두드러져 합동 시집이 간행되기도 함. <해방 기념 시집> <횃불> 등.
③ 작품 경향
㉠ 좌익 진영의 시
- 인민 민주주의 노선에 의거하여 강렬한 투쟁의식과 선전 · 선동의 정치성 짙은 이념적 작품
- 문학의 적극적 현실 참여를 강조하려는 목적 아래, 혁명적 낭만주의를 계기로 한 진보적 리얼리즘 문학 노선을 따름.
- 대표시집 : 오장환 <병든 서울>,  임화 <찬가>,   이용악 <오랑캐꽃>,  박아지 <심화> 등.
㉡ 우익 진영의 시
- 이념적 · 정치적 색채를 동반하지 않은 순수 서정시 계열의 작품 및 민족의 전통적 문화유산과 가치관을 옹호하려는 입장
- 인생에 대한 관조와 전통 정서의 탐구로 집약되는 순수 서정시의 성격은 분단 이후 시단의 주도적 흐름을 형성함.
- 대표시집 : 청록파 시인의 <청록집>, 김상옥 <초적>, 유치환 <생명의 서>, 신석정 <슬픈 목가>

 

⑵ 소설
① 특징
㉠ 식민지적 삶의 극복 : 일제시대를 반성하고 그 체험을 승화시켜 해방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함.   예) 채만식 <논 이야기>,    김동인 <반역자> 등.
㉡ 귀향 의식과 현실적 삶의 인식 : 해방 직후의 삶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식인 문제와 귀향 의식을 묘사함.  예) 김동리 <혈거부족>, 이무영 <굉장 소전> 등.
㉢ 분단의식 : 분단 문제 및 미 · 소 양군의 진주와 군정을 그림.   예) 염상섭 <삼팔선>, <이합> 등.
㉣ 순수소설과 역사소설의 부각 : 순수 문학적 입장에서 보편적인 삶을 다룬 순수 소설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역사소설이 창작됨.     예) 염상섭 <임종> <두파산>,  박종화 <홍경래> 등.
② 작품 경향
㉠ 식민지 체험의 비판적 논리화
㉡ 해방 공간의 소설적 형상화

 

 

3. 전후문학(1950년대 문학)

 

⑴ 시
① 배경
㉠ 전쟁으로 인한 정치적 · 문화적 불모성이 심화됨.
㉡ 역사와 현실, 개인과 사회, 시대와 공간 사이의 역학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적 인식의 필요성
② 특징
㉠ 전쟁 체험과 전후의 사회 인식을 바탕으로 한 시적 소재의 영역 확산
㉡ 현실 참여적인 주지시와 전통 지향적인 순수시의 대립
㉢ 실존주의의 영향에 따른,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통찰 및 휴머니즘의 회복 강조
㉣ 풍자와 역설의 기법과 현실에 대한 지적 인식을 통한 비판 정신의 첨예화
③ 작품 경향
㉠ 전쟁 체험의 시
- 동족 상잔의 비극적 체험을 시인의 내면적 인식으로 수용하여, 시대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식을 모색함.
- 절망적 인식을 개인적 비극에 국한시키지 않고 민족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시적 보편성 획득.
 예> 신석정의 <산의 서곡>,  유치환의 <보병과 더불어>,  구상의 <초토의 시> 등   
㉡ 모더니즘 시
- 문명 비판 : <후반기> 동인을 중심으로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방법과 정신을 계승 · 발전시켜, 현대 도시 문명의 메커니즘과 그 어두운 의식적 단면을 감각적 이미지와 실험적 형태, 이국적 정서를 통해 표현함.
    예> 김경린의 <국제 열차는 타자기처럼>, 조향의 <바다의 층계>,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 등
- 지적인 내면 의식 : 사회 현상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려는 주지적 성향과 형이상학적인 존재 인식을 통해, 전후의 허무 의식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질서를 회복하려는 내면적 의지를 표현함.
     예> 송욱의 <하여지향>,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 김수영의 <공자의 생활난> 등.
㉢ 전통적 서정시
- 휴머니즘 지향 : 전쟁으로 인한 인간성 상실을 반성하고, 삶의 본질에 대한 사색과 소생의 의지를 안정된 언어로 표현함.
     예> 이형기의 <비>, 박남수의 <새>, 정한모의 <가을에> 등
- 고전주의 지향 : 전통적인 정서와 한의 가락이 결합되어 전아하면서도 정적인 깊이를 지닌 순수 서정을 표현함.
      예> 박재삼의 <울음의 타는 가을 강>, 이동주의 <강강술래>, 박용래의 <저녁 눈> 등.

 

⑵ 소설
① 배경
㉠ 6. 25 전쟁 체험으로 인한 민족의 비극적 현실상
㉡ 전후 사회의 혼란된 가치관과 정신적 상처
㉢ 서구식 교육을 받은 신진 작가들에 의한 새로운 문학관 형성
② 특징
㉠ 전후의 다양한 현실 인식 : 전후 사회와 현실에 대한 다양한 인식으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
         예>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장용학의 <요한시집> 등
 ㉡ 현실 참여 의식 : 개인과 사회의 갈등 문제를 다루면서 소외된 삶의 문제, 삶의 내부에 자리한 부조리한 현실 인식, 행동을 통한 참여 문제를 다루어 참여 문학의 전통을 수립함.
         예> 김성한의 <바비도>, 선우휘의 <불꽃> 등.
㉢ 순수 소설 : 인간의 본질적인 삶의 문제를 서정적 필치로 다룸.
         예> 오영수의 <갯마을>,  강신재의 <절벽> 등.
㉣ 서구 실존주의 문학의 영향 : 인간의 본질 문제, 인간 존재의 해명 등을 다룬 작품들이 등장함.
         예> 김성한의 <오분간> 등.
③ 작품 경향
㉠ 전쟁 체험과 민족 현실의 자각
- 전쟁 체험의 작품화 : 오상원의 <유예>, 선우휘의 <불꽃> 등.
- 전쟁 속의 삶과 그 방향 : 안수길의 <제3 인간형>, 김동리의 <밀다원 시대>, 염상섭의 <취우> 등.
㉡ 전후의 소외된 삶과 실존적 상황 인식
- 전후 실존적 삶의 현실과 허무의식 : 이범선의 <오발탄>, 손창섭의 <비 오는 날><잉여인간> 등.
- 전쟁의 후유증과 그 극복 : 전쟁으로 인한 육체적 · 정신적 파멸.  현실의 인식과 극복 의지 등. 하근찬의 <수난이대>, 황순원의 <학> 등.

 

⑶ 기타 문학 동향
① 희곡, 시나리오 : 전후 문학의 성격을 띤 것과 현실 참여적인 성격의 희 곡이 중심이고, 기타 개인과 사회의 갈등, 문명 비판을 다룸.  
       예> 유치진의 <나도 인간이 되련다>, 차범석의 <불모지>, 하유상의 <젊은 세대의 백서> 등
② 수필 : 예술적 향기가 짙은 작품들이 많이 나옴.
      예> 조지훈의 <지조론>, 마해송의 <사회와 인생>, 이희승의 <벙어리 냉가슴>, 노천명의 <나의 생활 백서>, 계용묵의 <상아탑> 등.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