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하숙, 장정일 [현대시]

Jobs 9 2022. 5. 30. 14:52
반응형

하숙

장정일

녀석의 하숙방 벽에는 리바이스 청바지 정장이 걸려 있고
책상 위에는 쓰다만 사립대 영문과 리포트가 있고 영한사전이 있고
재떨이엔 필터만 남은 켄트 꽁초가 있고 씹다 버린 셀렘이 있고
서랍 안에는 묶은 플레이보이가 숨겨져 있고
방 모서리에는 파이오니아 앰프가 모셔져 있고
레코드 꽂이에는 레오나드 코헨, 존 레논, 에릭 클랩튼이 꽂혀 있고
방바닥엔 음악 감상실에서 얻은 최신 빌보드 챠트가 팽개쳐 있고
쓰레기통엔 코카콜라와 조니워커 빈 병이 쑤셔 박혀 있고
그 하숙방에, 녀석은 혼곤히 취해 대자로 누워 있고

죽었는지 살았는지, 꼼짝도 않고
 

 

개관

- 성격 : 세태고발적, 비판적
- 표현 : 담담하면서도 냉소적인 어조 / 화자의 주관과 판단을 배제하고 독자로 하여금 비판의식을 갖게 함.

- 화자 :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사물을 나열하여 보여주는 담담한 목소리
- 주제 : 서양 문화에 빠져 있는 현대인과 사회에 대한 비판 / 서구문화에 경도된 젊은이의 의식 비판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녀석 → 시적 대상으로, 이 사람이 좋아하는 대상이 모두 외국것임을 보아 외래의 것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녀석의 성향을 알 수 있다.
* 혼곤히 취해 대자로 누워 있고 → 녀석이 서구물질문화에 취해 빠져 있는 상태를 나타냄.
* 꼼짝도 않고 → 서구문명에 찌들고 의식마저 잠식당하여 비판의식을 완전히 상실한 오늘날의 젊은이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임.
  
시상의 흐름(짜임)
- 1~8행 : 방 안에 널려 있는 서구 문물들
- 9~10행 : 비판의식 없이 서구 문명에 경도된 젊은이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어느 개인이 겪은 지극히 일상적인 생활 체험 속에 화자가 처한 사회, 문화적 배경이 잘 반영되어 있는 작품이다. 화자는 이 시에서 '녀석'이라고 불리는 어떤 인물의 하숙방을 눈으로 훑듯이 소개하고 있다. 화자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녀석의 의복, 사전과 담배, 음악, 주류와 기호품들을 하나 하나 늘어 놓는다. 그리고 녀석이 꼼짝하지 않고 누워 있는 모습을 지극히 담담한 어조로 말하고 있다. 
이 시는 녀석이 일상적 삶 속에서 소비하는 여러 물품들의 공통점과 녀석이 잠들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시인의 창작 의도를 밝혀낼 수 있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물들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서구식 물품으로, 순간적이고 감각적인 즐거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녀석은 이것들을 매일 매일 소비하며 하루의 삶을 영위한다. 따라서 녀석은 여러 물품들의 집합적 총체인 서구 물질 문명에 휩싸여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녀석은 혼곤히 취해 대자로 잠이 들어 있다. 반성적인 거리감을 갖고 자신의 삶이나 자신을 둘러싼 서구 외래 문물을 돌아볼 수 있는 상태가 아닌 것이다. 결국 녀석은 이러한 문물, 또는 생활양식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 증발되어 있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그러한 의식이 내재되어 있지 못했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외래문화에 젖어 주체성과 정체성을 상실한 젊은이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시는 젊은이들의 경박한 세태와 풍조를 비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무런 '걸러내기의 장치'도 없이 서구의 물질문명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젊은이들의 서양 문화에의 경도 또는 종속성을 비판하고 고발하는 이 시는 특이한 방법으로 한 시대의 사회 문화적 속성을 시의 배경 속에 끌어들이고 있다. 
이 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는 것을 자세히 살펴보면, 광복 이후 미군이 주둔한 이래 우리나라에는 서구문물이 밀물처럼 밀려 들어왔다. 봉건적 사고에 물들어 살던 사람들에게 이 서구 문물은 우리의 것보다 우월한 것으로, 우리의 삶을 크게 변화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것으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우리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 가치 없는 것, 따라서 버려야 할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무비판적이고 무차별적으로 외래 문물을 받아들였다. 더구나 과학 문명과 결합된 서구 문물은 우리의 삶과 가치관까지 크게 흔들어 놓았다. 영어를 한두 마디라도 할 줄 알고 외제 물품을 가지고 다니면 마치 특권층이라도 되는 줄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생겼다. 이 시는 이렇게 무비판적으로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고 이를 사용하는 의식 없는 젊은이를 비판하고 있다. 이렇게 서구 문물에 무비판적으로 경도되었던 삶으로부터 다시 주체성을 각성하고 우리의 전통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이다. 우리 것에 대한 반성과 자각이 싹트기 시작했으나, 그 자각은 밀려드는 서구 문명 앞에 미약하기만 했다. 그러나 80년대 이후에는 이런 반성이 좀더 깊이 있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