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르족(Avars) ![]() 6~9세기에 동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종족. 아드리아 해와 발트 해 사이, 엘베 강과 드네프르 강 사이 지역에 왕국을 건설(6~8세기)했으나, 그 기원과 언어는 명확하지 않다. 558년 카프카스 지역에 살면서 게르만 부족 전쟁에 개입했으며, 롬바르드족과 동맹하여 게피다이(비잔티움의 동맹국)를 정복한 뒤 도나우 강과 티소 강 사이의 헝가리 평원에 제국(550~575)을 세웠다. 이 지역이 제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6세기말에는 카간 바얀의 지도하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아바르족은 비잔티움에 대항하는 전쟁에 참여하여 626년경에는 거의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했고 메로빙거 왕조에도 대항했다. 이들은 또한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이 남쪽으로 이주하게 된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7세기 후반 내부불화로 인해 아바르 제국에 반대하는 약 9,000명의 아바르족이 추방되었다. 아바르 제국은 발칸 반도의 불가리아인 국가의 생성(680)에서 비롯된 내부의 저항에 의해 점차 약화되어 샤를마뉴에게 정복되었다. 중국에서 말하는 유연(柔然) 또는 연연(蠕蠕:5세기 무렵 몽골에 거점을 두었던 민족)과 동일한 민족이라는 설도 있다. 460년경 남부 러시아에 나타나 6세기에는 도나우강 중·하류 방면에서 지배적 세력을 얻었고 원주민인 슬라브인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이곳에 이동해와 있던 몽골계 훈족·불가르족과 게르만계 여러 부족을 거느렸다. 특히 바얀칸 시대에는 판노니아(지금의 헝가리 서부)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엘베강, 북으로는 발트해, 동으로는 흑해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프랑크왕국, 비잔틴제국과 싸워 승리하였다. 그러나 624년 두 번째 콘스탄티노플 공격에 실패한 이래 점차 쇠퇴하기 시작, 770년 프랑크왕 카를에게 패한 후 그의 아들 피핀에 의해 796년 본거지인 판노니아를 빼앗겼다. 9세기 초에 불가리아족에게 격파되어 그후 완전히 멸망하였다. |
다게스탄 강한 이유
산지로 구성된 동서양의 길목, 지리적 요인
다게스탄이란 나라는 러시아 북캅카스 지역의 자치 공화국이다. 러시아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는 약 300만 명을 웃도는 수준이다. 국가명은 '다게스탄'은 '산의 땅'이라는 뜻으로 국가 영토의 80%가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게스탄의 위치
'지리'는 해당 국가의 정체성이나 거주민 성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자연스레 많은 국가들의 왕래와 침략이 있었고 동서양의 길목의 위치한 다게스탄은 역사적으로도 끊임없는 시련에 부딪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강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정신이 자손 대대로 이어져 다게스탄 인들을 전투민족으로 성장한 것이다.
각종 분쟁으로 얼룩진 다게스탄
토착 민족은 하빕이 속한 아바르인을 포함하여 약 30개의 민족이 거주하며 대부분 이슬람을 믿는다. 여러 민족이 뒤섞여 살며 서로 민족적 충돌이 끊이지 않는데 이 때문인지 혼자서 피해를 봤으면 개인이 스스로 해결하려는 풍습이 아닌 우르르 몰려가서 해결하려는 문화가 발달해있다고. 심지어 러시아 본토인들도 다게스탄 인들과의 충돌을 가급적이면 피하려고 한다.
레슬링으로 다져진 헝그리 정신
구소련 국가들은 복싱이나 레슬링같은 체육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이 때문에 다게스탄 인들은 어릴 때부터 레슬링에 단련되어있고 국제적으로 뛰어난 레슬러들을 많이 배출했다. 국내 유명 격투기 단체인 코리안 탑팀의 전찬열 대표의 말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레슬링 인구는 3000명인데 다게스탄 수도인 마하치칼라의 레슬링 인구는 10배인 3만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