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조선

조선 후기 문화, 서민 문화, 건축, 두문자

Jobs 9 2024. 12. 12. 16:34
반응형

조선 후기 사회

봉건적인(또는 성리학적인) 사회질서가 무너지고 새로운 사회질서가 형성되어 가는 과도기

사회, 경제적인 측면
- 농업 생산력의 증대, 상공업의 발달로 상품화폐경제 발전- 교육의 확대와 서민의 사회적 지위, 의식의 성장 - 전통적인 신분질서가 퇴색

문화적인 측면
- 중국과 서양으로부터 새로운 문물이 유입되면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대두- 성리학 중심에서 탈피하여 실용적인 학문의 발달- 서민층의 성장은 서민 문화 발달을 결과


조선 후기 문화 두문자


●  18C 건축물 - '18씨 쌍개남 화대대'

쌍계사, 개암사, 석남사. 화성, 불국사 대웅전, 평양 대동문


● 조선후기 건축(乾縮) - '금미 화각 법팔 논쌍 부개 안석'

금 금산사
미 미륵전
화 화엄사
각 각황전
법 법주사
팔 팔상전
논 논산
쌍 쌍계사
부 부안
개 개암사
안 안성
석 석남사


●  조선 후기 문화의 특징 - 서민

  역 사 화풍, 화가 건 축
15세기 1) 성리학적 - 고려국사, 동국사략
2) 자주적 -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1) 인물, 산수 (진취적)
2) 도화서 - 안견 몽유도원도, 최경
3) 문인 - 강희안(고사관수도). 강희맹
궁궐, 관아, 성곽, 성문, 학교(숭례문,
돈화문, 개성 남대문,  해인사 장경판전,
무위사 극락전, 원각사지 10층 석탑,
평양 보통문)
16세기 존화주의 사관
 - 기자실기, 동사찬요, 동국사략(박상)
1) 사군자 - 선비 정신
2) 이상좌 - 송하보월도
3) 이암, 심사임당, 어몽룡(매화),
   황집중(포도), 이정 (대)
4) 자연의 아름다움
 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17세기  산수화 (김명국)  사원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성전)
18세기 1) 반도 중심 탈피 - 동사, 발해고
2) 고증 사학의 토대 - 동사강목
1) 윤두서, 심상정, 정선(진경산수화)
2) 김홍도, 신윤복 (풍속화)
3) 강세황, 심수철 (서양화)
 수원성, 평양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안성 석남사,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19세기 1) 실증적, 객관적 - 연려실기술
2) 국사 인식의 폭 - 해동역사
1) 복고적 문인화풍 (실학적 쇠퇴)
2) 신위(대), 김정희(세한도).
   장승업(군마도, 수상서금도)
 경복궁 근정전, 경회루

 

 

조선 후기 문화

 

문학과 예술의 새경향

 

1) 서민 문화의 발달

①  발달 배경- 상공업의 발달과 농업 생산력의 증대로 서민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 서당에서의 기초 교육 --- 일반 양민들도 기본적인 교육- 그 결과 양반 중심의 문화 활동에 중인층과 서민층이 참여하기 시작② 내용- 중인, 서얼 출신들의 시사(詩社)가 결성되었는데 이들의 문학을 여항 문학(위항 문학, 이항 문학)이라고 칭함 --- ‘여항, 위항, 이항’은 모두 ‘꼬불꼬불한 골목’이라는 의미로 중인, 서민들이 사는 지역을 지칭하는 말- 감정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거나 양반들의 위선을 비판하며 사회풍자나 비리를 고발- 한글소설 --- 영웅이 아닌 평범한 인물이 주인공이며, 현실의 세계가 배경인 점이 특징- 판소리와 탈춤 --- 춤과 노래, 사설로 서민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 회화 --- 풍속화나 민화* 청구영언 --- 영조 때 김천택이 편찬한 시조집으로 사대부들의 고상하고 단아한 시조가 아닌 서민들의 일상생활과 감정을 노래한 시조들을 정리 

 

2) 판소리와 탈춤

① 판소리- 이야기를 창과 사설로 엮어 감정 표현이 직접적이고 솔직- 서민 문화의 중심으로 숙종 이전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 초기 열두 마당이었으나 유교적 가치관을 담은 다섯 마당으로 정착 ---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19세기 후반 신채효가 판소리 사설을 정리② 탈춤- 고대 국가 이래로 제천 의식 이후 행해지는 국가 행사- 인조 때 국가에 의해 거행되던 산대극 공연이 중단된 이후 민중오락으로 전환 --- 마을 굿의 일부로 행해지면서 인기- 현실에 대한 민중의식의 성장을 반영 --- 양반이나 파계승 풍자, 신분제와 남성 중심의 사회 비판 

 

3) 문학과 그림

① 한글소설- 판소리 내용을 한글로 소설화 --- 춘향전, 심청전, 별주부전 등- 허균의 홍길동전 --- 서얼철폐와 탐관오리 응징 등의 현실비판② 한문학의 변화- 실학의 등장과 더불어 현실 비판적인 작품들이 등장- 정약용 --- 삼정의 문란을 비판하는 한시- 박지원 --- 양반전, 호질, 민옹전, 허생전 등 양반사회의 위선과 허구 폭로③ 사설시조 --- 격식에 구애됨이 없이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형식으로서 남녀간의 사랑이나 현실 비판 등의 내용④ 진경 산수화- 병자호란 이후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높아졌고 이런 의식은 우리 고유의 정서와 자연을 표현하려는 예술 운동으로 발전 --- 고려 때 원, 조선 때 청의 침입 이후 우리 문화의 독자성, 주체성 등이 강조- 중국의 남종화(수묵화)와 북종화(세밀화)의 화법을 고루 수용하여 우리 고유의 자연과 풍속에 맞는 새로운 화법을 창안 --- 바위산은 선으로 묘사하고(북종화) 흙산은 묵으로 묘사(남종화)하는 등 새로운 기법을 사용하여 산수화의 새로운 경지를 이룩- 기존의 산수화는 작가가 주관적으로 추상화, 이념화 하여 그린 것임에 반해 정선은 산천의 모습을 실재의 경치 그대로 그리는 진경 산수화 개척- 대표작 ---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⑤ 풍속화- 전기에는 삼강행실도 등 유교적인 도덕을 보급하기 위한 작품- 후기에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정경과 일상적인 모습을 생동감 있게 그림으로써 통속적, 사실적, 심미적인 경향- 김홍도 --- 밭갈이, 추수, 씨름, 서당 등 서민들의 특징을 소탈하고 익살스러운 필치로 묘사하여 18세기 후반의 생활상을 보여 줌           - 신윤복 --- 주로 도회지 양반들과 부녀자들의 생활과 유흥, 남녀간 애정 등을 감각적이고 해학적으로 묘사       ⑥ 민화- 생활 공간의 장식 등 주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제작- 작품성은 떨어지나 서민들의 미적 감각, 소박한 정서를 표현- 소재무속, 도교적인 성격 --- 십장생, 십이지신 등장식용 --- 부귀영화 기원(과일이나 닭 등), 소설이나 설화의 장면 등          ⑦ 기타 화가- 강세황 --- 서양의 화법을 활용- 장승업- 김정희 --- 세한도     ⑧ 서예- 실사구시(고증) 위해 금석학 발달 --- 김정희는 고금의 필법을 두루 연구하여 추사체를 창안- 이광사 --- 양명학자로서 서예에도 능하여 동국진체 창안

4) 건축과 공예

① 사원건축- 17세기 양반 지주층의 경제적 성장과 불교의 지위 향상으로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금산사 미륵전 등 --- 규모가 큰 다층 건물- 18세기 부농, 부상 계층의 등장으로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등의 건축을 후원                    ② 수원 화성- 정조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는 상징적 도시로 육성하고자 건립- 전통적인 성곽 양식에 서양식 건축 기술을 도입 --- 정약용은 서양 선교사가 지은 <기기도설>을 참조하여 거중기를 제작하여 화성 건축에 활용- 거주 목적으로 만든 읍성이면서도 전쟁에 대비하여 방어력 강화      

 

5) 공예

백자(청화백자) --- 일반 서민층도 백자를 사용하게 되며 제기와 문방구 등 생활용품이 주류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