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적응론(active daptationism)
1. 개념
조직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개방체제론(open system theory)에는 적극적 적응론이 있는데, 이는 환경을 조직에 맞게 변경하여 심지어 조직에 적응시키기까지 하는 면을 강조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1) 전략선택론
전략선택론(strategic choice theory)은 조직구조란 관리자의 전략에 달려 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는 이론으로서, 차일드(J. Child) 등이 주장하였다.
기본적으로 전략선택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조직이 환경 등에 지배된다는 환경결정론자들의 주장에 반하여 조직의 관리자는 높은 수준의 자율성을 갖고 있는데, 현실의 관리자는 최적의 성과수준만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성과에도 만족할 수 있으며, 이것은 관리자들이 여러 제약조건들과 관련하여 선택할 수 있는 대안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조직은 반드시 환경의 영향을 받아 좌우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조직에 유리하도록 환경을 조정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리자들의 전략적 선택은 환경의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특성과는 상관없이 주관적이고 지각된 환경을 토대로 조직구조의 설계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한편 관리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전략에는 크게 조직의 대내적 전략과 대외적 전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는 환경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하지 않으면서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조직활동의 핵심을 보호하려는 것이고, 후자는 조직과 관련된 환경의 여러 요소들을 통제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조직의 대내적 전략에는 직원의 모집과 훈련․재고의 활용․공급물자의 비축 등 투입․산출 면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조직의 활동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전략, 비수기의 활인판매 등 환경에서 수요의 진폭이 심한 것을 평등화시키려는 평등화전략, 수요변화의 예측에 따른 대처 등 관리자가 환경변화의 진폭을 미리 예측하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예측전략, 그리고 재난시의 응급실 배정, 발렌타인데이의 초코렛 추가생산 등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때 우선순위에 따라 산출물을 할당하는 할당전략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대외적 전략으로는 다른 조직과의 계약체결, 광고, 합병, 그리고 로비활동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을 조정하여 조직을 유리하게 이끄는 것이다.
다만, 본 이론은 일정부분 한계를 노출하고 있는데, 먼저 관리자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환경의 영향을 지나치게 무시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비판은 자원의존론이 등장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본 이론은 전략이 조직구조를 결정한다고 보고 있는데, 오히려 조직구조가 전략을 결정할 수 있다는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조직구조가 특정세력의 이익을 반영하는 체계일 경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전략이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이론은 전략에 따라 조직구조가 바뀔 수 있다고 보는데, 기득권세력의 반발이 높은 수준일 경우 조직구조 자체가 바뀌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2) 자원의존론
자원의존론(resources dependence theory)은 조직이 필요한 자원을 자급자족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조직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환경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이론으로서, 톰슨과 맥원(J. D. Thompson & W. J. McEwen), 벤슨(K. J. Benson) 등이 주장하였다.
본 이론은 환경의 영향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상황론 등과 동일하지만 상황론 등과 같이 환경이 조직구조를 결정한다는 결정론의 입장은 아니다. 또한 전략선택론과 마찬가지로 관리자의 인지가 중요하고 관리자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하지만 전략선택론과 달리 상대적으로 환경에 대한 의존성을 인정함으로써,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해주는 다른 조직들의 요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즉 본 이론은 조직과 다른 조직(환경)간의 관계를 자원을 매개로 하는 의존관계로 파악하는데, 조직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원을 확보해야 하고, 이 자원은 환경이 요구하는 대로 순종함으로서 획득할 수 있으나 의존정도에 따라 생존능력이 좌우되기 때문에 의존성을 줄여 조직의 권력을 높이려고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Thompson & McEwen의 전략’과 ‘Benson의 전략’ 등이 그것이다.
먼저 톰슨과 맥원은 조직 간의 관계에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경쟁전략(competitive strategy), 협상전략(bargaining strategy), 흡수전략(cooptative strategy), 그리고 연립전략(coalitional strategy) 등 4가지를 제시했는데, 경쟁전략은 2개 이상의 조직들이 각자 자기생존을 위해서 공통의 대상인 물건이나 사람을 둘러싸고 벌이는 현상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이 서로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벌이는 활동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협상전략은 일부를 양보하고 획득하는 관계로서, 사회복지시설에서 일부의 서비스기법을 다른 사회복지시설에 제공하고 필요한 다른 기법을 획득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한편 흡수전략은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 다른 조직의 대표자를 자기조직의 지도층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서, 복지서비스기법에 능통한 관장 등을 지도층으로 영입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연립전략은 2개 이상의 조직들이 공통목표를 위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높은 수준의 자활기법 등을 개발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사회복지조직들이 결합하여 시너지효과를 내는 것 등이 그것이다.
한편 벤슨 역시 상대 조직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협조전략(cooperative strategy), 방해전략(disruptive strategy), 조종전략(manipulative strategy), 그리고 권위전략(authoritative strategy) 등 4가지를 제시했는데, 협조전략은 모든 조직들이 거의 대등한 위치에 있는 경우, 또는 현재 조직의 힘이 아무리 약하다 하더라도 최소한 다른 조직이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어 상호 협력할 수 있는 경우로서, 클라이언트 등에 대한 정보를 상호 공유하며 협조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방해전략은 한 조직이 다른 조직의 자원공급능력을 위협하는 행위로서, 상대 사회복지시설에 갈 보조금을 자기 시설로 전환시키는 것 등이 그것이다. 또한 조종전략은 환경의 제약조건들을 의도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보조금 등을 조정함으로써 규제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권위전략은 조직이 다른 조직과의 사이에서 그 관계를 일방적으로 규율하는 것으로서, 보건복지가족부가 사회복지시설을 지시하고 감독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3) 공동체생태학론
공동체생태학론(committee ecology theory)은 어떤 지역에서 함께 생활하는 모든 개체군들의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이론으로서, 조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관계를 맺고 있는 조직군의 한 구성원으로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이론으로서, 애스틀리와 폼번(W. G. Astley & C. J. Fomburn) 등이 주장하였다.
전술한 조직군생태학론이 환경변화에 대해 능동적이며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는데 반해, 본 이론은 조직상호간 호혜적 상호전략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강조하는 것이다.
한편 조직 상호간에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는 근거로는 정부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직 간에 교환관계나 연합을 형성하는 필요성차원, 주요자원이 산재된 경우에 이의 획득을 위해 조직 간에 관계를 형성하는 불균형차원, 공동목표나 이익추구를 위해 조직 간에 관계를 형성하는 호혜성차원, 조직 내부의 투입 대 산출의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간에 관계를 형성하는 효율성차원, 환경변화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의 불확실성을 감소하기 위해 조직 간에 관계를 형성하는 안정성차원, 그리고 조직의 명성이나 이미지를 제고하고 기존의 사회적 규범․신념․외부기관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조직 간에 관계를 형성하는 정당성차원 등이 그것이다.
<표> 수정한 Astley & Fomburn의 공동체조직의 공생전략 유형
구 분 |
상호의존의 강도 |
||
낮은 수준 |
높은 수준 |
||
상호작용의 지속성 |
사안별 |
I 전략 |
III 전략 |
일상적 |
II 전략 |
IV 전략 |
한편 ‘Astley & Fomburn의 공동체조직의 공생전략 유형’을 근거로 수정한 공동체조직의 공생전략을 살펴보면, 조직간 상호의존의 강도를 낮은 수준과 높은 수준의 구분하고, 조직간 상호작용의 지속성을 사안별과 일상적으로 대별하여 이들의 조합을 통해 4가지 유형을 도출할 수 있는데, 먼저 I 전략은 조직간 상호의존의 강도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사안별로 상호작용을 하는 공생전략이고, II 전략은 상호의존의 강도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일상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협력전략이다. 그리고 III 전략은 상호의존의 강도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사안별로 상호작용을 하는 공생전략이고, IV 전략은 상호의존의 강도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일상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협력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중 IV 전략이 환경에 대한 높은 단계의 응집력 있는 공생전략으로, 종합사회복지관간에 클라이언트에 대한 각종 기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일상적으로 그들이 가진 자원에 대해 높은 수준으로 상호 의존하며 다른 조직 등 환경에 대응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반면 I 전략은 상대적으로 환경에 대해 낮은 단계의 응집력을 보이는 공생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표> 참조).
2. 평가
적극적 적응론은 환경에 대한 조직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부분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전략선택론, 자원의존론, 공동체생태학론 등 적극적 적응론이 환경의 영향보다는 조직의 영향이 높은 수준이라는 가설을 사례적용 등을 통해 검증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본 이론은 일정부분 한계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