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해, 섬, 강, 산, 산맥, 고원, 인, 족, 어……’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고유어나 한자어에 붙을 때에는 붙여 써 왔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관련 규정을 삭제함에 따라 ‘해, 섬, 강, 산, 산맥, 고원, 인, 족, 어……’ 등의 앞에 어떤 말이 오느냐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띄어쓰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개정 전 |
개정 후 |
외래어에 붙을 때 |
그리스 어, 그리스 인, 게르만 족, 발트 해 나일 강, 에베레스트 산, 발리 섬 우랄 산맥, 데칸 고원, 도카치 평야 |
그리스어, 그리스인, 게르만족, 발트해 나일강, 에베레스트산, 발리섬 우랄산맥, 데칸고원, 도카치평야 |
비외래어에 붙을 때 |
한국어, 한국인, 만주족, 지중해 낙동강, 설악산, 남이섬 태백산맥, 개마고원, 김포평야 |
한국어, 한국인, 만주족, 지중해 낙동강, 설악산, 남이섬 태백산맥, 개마고원, 김포평야 |
☐ 외래어 표기법 개정 개요
ㅇ 개정 배경
- 고유어, 외래어 등 어종에 따라 일부 접미사와 명사의 띄어쓰기를 달리하도록 한 외래어 표기법의 지명, 인명 관련 조항이 가독성을 높이는 효과에 비해 사용상의 혼란을 더 크게 야기한다는 분석에 따름
ㅇ 개정 내용
- ‘외래어 표기법’ 제4장 제3절 제1항 삭제(2017년 6월 1일 시행)
제4장 제3절 제1항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예: 카리브 해 / 북해 발리 섬 / 목요섬) ⇨ 삭제
☞ 띄어쓰기 규정을 간소화함. 어종의 구분 없이 띄어쓰기를 일관되게 함. 즉, ‘해, 섬, 강, 산’ 등을 ’고유어나 한자어' 뒤에서 붙여 쓰면 '외래어' 뒤에서도 붙여 쓰고, ‘고유어나 한자어’ 뒤에서 띄어 쓰면, '외래어' 뒤에서도 띄어 쓰도록 함
ㅇ 개정에 따른 띄어쓰기 변화
- 고유어나 한자어 뒤에서만 붙여 써 온 접미사 ‘-어(語), -인(人), -족(族), -해(海)’ 및 명사 ‘섬, 강, 산, 산맥, 고원, 평야…’ 등을 외래어 뒤에서도 붙여 씀
- 해당 지명이나 인명 자체가 사전에 올라 있지 않더라도 ‘표준국어대사전’이나 ‘우리말샘’에서 해당 지명이나 인명의 ‘후부 요소’를 '고유어나 한자어' 뒤에서 붙여 쓴 사례가 있으면 '외래어' 뒤에서도 붙여 쓸 수 있음
예) ‘뉴욕시’, ‘로스앤젤레스시’는 사전 미등재어지만 ‘서울시’가 ‘시’를 붙여 쓰고 있으므로 ‘뉴욕시’, ‘로스앤젤레스시’로 붙여 씀
☐ 띄어쓰기 적용 예시
ㆍ앞서 안내해 드린 ‘외래어 표기법 등 개정 사항 알림, 공공언어과-266(2017.4.6.)’ 문서의 붙임 자료에 제시한 26개 항목만 붙여쓰기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이 그 외에 더 많은 지명, 인명 고유명사들을 붙여 쓸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ㆍ아래에 든 예시는 관련된 언어 환경의 일부를 제시한 것이니, 이외에 구체적으로 붙여쓰기를 할 항목들은 ‘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을 검색하여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ㅇ 예시(1): 모두 붙여 씀
[접미사류] -인(人), -어(語), -족(族), -해(海)
-가(家), -파(派), -교(橋), -법(法), -당(黨), -호(號), -선(線)...
* 위 접미사류가 결합된 고유명사들은 지명, 인명에는 해당하지 않지만[‘-해(海)’는 제외] 어종에 따라 띄어쓰기를 달리하였던 것들임
[명사류]
- 가(街), 강(江), 곶(串), 관(關), 궁(宮), 만(灣), 부(府), 사(寺), 산(山), 섬, 성(城), 성(省), 요(窯), 주(州), 주(洲), 현(縣), 호(湖), 고원(高原), 산맥(山脈), 평야(平野), 반도(半島), 왕(王)...
- 도(道), 북도(北道), 남도(南道), 특별시(特別市), 광역시(廣域市), 시(市), 군(郡), 구(區), 읍(邑), 면(面), 동(洞), 리(里)...
- 갑(岬), 봉(峰), 부(部), 역(驛), 항(港), 도(島), 양(洋)...
※ 위의 보기는 어종에 따라 띄어쓰기를 달리했던 것인데, 모두 붙여 쓴다.
ㅇ 예시(2):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붙여 쓸 수 있음
- 고개, 공로(公路), 군도(群島), 분지(盆地), 사막(沙漠/砂漠), 산계(山系), 산지(山地), 수고(水庫), 수도(水道), 열도(列島), 운하(運河), 유적(遺蹟), 유전(油田), 자치구(自治區), 자치현(自治縣), 제도(諸島), 철도(鐵道), 토성지(土城地), 해안(海岸), 해협(海峽), 협만(峽灣)...
※ 외래어와 한자어, 고유어를 구별하지 않고 위의 말이 붙는 고유명사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붙여 쓸 수 있다.
- 대왕(大王), 명왕(明王), 여왕(女王), 황제(皇帝), 대제(大帝), 거서간(居西干), 차차웅(次次雄), 마립간(麻立干)...
※ 고유어나 한자어, 외래어 인명에 위의 말이 이어질 때에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붙여 쓸 수 있다.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