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언어의 특성, 언어의 기능 [문법 #01]

Jobs 9 2022. 11. 22. 22:08
반응형

제1장 언어와 국어의 특성

01 언어의 특성

 

1. 언어와 인간

 

- 호모 로퀜스(Homo loquence) : 인간과 동물을 언어의 유무로 구별할 때.

- 호모 그라마티쿠스(Homo grammaticus) : 인간 중에서도 언어를 문법적 틀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구별할 때.

 

- 광의의 언어 : 음성언어, 문자 언어, 몸짓, 손짓, 표정, 신호 등 사람의 의사를 표현하는 모든 수단을 일컫는다.

- 협의의 언어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며 분절음으로 구성된 언어만 일컫는다.

 

 

2. 언어와 국어

 

1) 언어

언어  →  음성(), 문자(),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문법)

① 언어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② 언어 사용의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③ 의사소통에는 물리적인 수단(음성, 문자)이 필요하다. 

④ 음성: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내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자음, 모음)
    예) [bap] = [b] + [a] + [p]
⑤ 문자: 인간이 음성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한글)
    예) 밥 = ㅂ + ㅏ + ㅂ

 

2) 국어
①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② 한국인에게 국어는 한국어 / 일본인에게 국어는 일본어
③ 국어는 모국어와 외국어로 나뉜다.
    (한국 사람 기준) 모국어 = 한국어 / 외국어 = 한국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

 

 

3언어의 특성

▪기호성 - 언어 기호는 소리와 의미로 이루어진다.
▪규칙성(체계성) - 언어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운용되는 체계이다.
▪분절성 - 연속적인 세계를 불연속적으로 끊어서 언어로 표현한다.
▪자의성 - 소리와 의미의 결합은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지 필연적 이유는 없다.
▪사회성 - 소리와 의미의 결합한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공동체(사회)의 구속력을 갖게 되어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역사성 - 소리와 의미의 결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창조성(개방성) - 한정된 언어 기호로 무한의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추상성 - 언어의 개념은 구체적인 특정 사물의 의미가 아닌 일반화되고 추상화된 의미이다.

 

언어의 자의성 <‘恣(마음대로 자)’ + ‘意(뜻 의)’>
①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이지 않은 특성을 말한다. 

② 언어와 사물(의미) 또는 언어와 어떤 실체(의미)의 관계는 정해진 것이 없다.
    예) 각 언어의 ‘사과’ 단어
        한국어 - 사과[sagwa] / 영어 - apple [æpl] / 중국어 - 苹果 [píngguǒ]

자의성의 근거
① 이음동의어 →사랑-love
② 역사성 → 어리다(어리석다), 어리다(young)
③ 의성어, 의태어 →  멍멍, bark bark, 하지만 자의성의 근거로 가장 약한 예

 

언어의 사회성
① 사회성은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언어 공동체(사회)의 구속력을 갖게 되어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특성을 말한다.
    예) ‘스마트폰’을 들었을 때 생각나는 것은 인터넷을 할 수 있고 전화도 할 수 있는 작은 기계
②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기 때문에 개인이 혼자 사회적인 약속을 바꿀 수 없다. 

 

언어의 역사성
① 역사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어의 소리와 의미가 변하거나 문법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을 말한다. 

②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단어나 문법이 생기고, 변하고, 사라져 없어진다.
    예) 새로운 단어 - 핸드폰 / 변한 단어 - ‘짜장면’ / 사라진 단어 - 온(100), 즈믄(1000)

 

언어의 분절성
① 분절성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으로 끊어서 표현하는 특성을 말한다.
    예) 색 - 빨, 주, 노, 초, 파, 남, 보 / 시간 - 시, 분, 초 / 계절 - 봄, 여름, 가을, 겨울
② 색, 시간, 계절은 정확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분절해야 한다.

 

언어의 창조성(개방성)
① 창조성은 한정된 소리와 글자로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모든 언어에는 자음과 모음이 있고 자음 모음을 표현하는 기호가 있는데 한정된 기호로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 한국어의 경우 자음 19개, 모음 21개로 40개의 자음 모음이 있지만 매일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반응형

언어의 기호성
① 기호성은 언어가 음성·문자 기호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언어는 그 언어를 표현해 주는 기호를 가지고 있다.
    예) ‘봄’ = 음성 기호 ‘b + o + m’ / 글자 기호 ‘ㅂ + ㅗ + ㅁ’ 

③ 이 기호는 사회 구성원과 약속되어 정해진 표현 전달 도구이다. 

 

언어의 규칙성(체계성)
① 규칙성은 언어가 문법적·의미적 규칙을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한국어의 문장은 기본적으로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 ㄱ. 나는 밥을 먹는다.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  오류 없음
        ㄴ. 밥을 나는 먹는다. (목적어 - 주어 ­ 서술어)  /  문법 규칙 오류
        ㄷ. 는나 을밥 먹는다.  /  문법 규칙 오류
        ㄹ. 사과가 사람을 먹고 있다.  /  의미 규칙 오류
        ㅁ. 나는 어제 학교에 갈 것이다.  /  의미 규칙 오류

 

언어의 추상성
① 언어의 추상성은 자의성과 관련이 깊다.

  예)  '사랑'이 지칭하는 것은 세상 어디에도 물질로 존재하지는 않기에 무언가를 가리키며 '사랑'이라는 개념을 표현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언어에는 자의적인 특성이 있기에, 우리가 흔히 아는 사랑 개념을 'love' 혹은 '사랑' 등등의 말을 만들어 내어 부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보고 언어의 추상성이라 한다. 이러한 추상성이 있기에 추상적인 것을 기술하고 전달하는 데 언어가 유용한 도구이다.

② 언어에서 어떠한 개념이 서로 다른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특성.

  예) ‘나무’라는 개념이 소나무, 잣나무 따위의 수많은 종류의 나무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여 형성

 

 

기출 문제

 Q  다음에서 알 수 있는 언어 기호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 언어는 문장, 단어, 형태소, 음운으로 쪼개어 나눌 수 있다. 특히 한정된 음운을 결합하여서 수많은 형태소, 단어를 만들고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 언어는 외부 세계를 반영할 때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실제로 무지개 색깔 사이의 경계를 찾아볼 수 없는데도 우리는 무지개 색깔이 일곱 가지라고 말한다. 

 

① 추상성 ② 자의성 ③ 분절성 ④ 역사성

 

【해설】 정답 ③

③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 언어의 분절성

① 추상성 : 언어에서, 어떠한 개념이 서로 다른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특성. ‘나무’라는 개념이 소나무, 잣나무 따위의 수많은 종류의 나무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여 형성

② 자의성 : 언어에서, 소리(음성 형식)와 의미(내용)의 관계가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

④ 역사성 : 언어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어의 소리와 의미가 변하거나 문법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

 

 

 Q  다음 글이 설명하는 언어의 성격이 가장 약하게 반영된 것은? 

말소리와 그것이 싣고 있는 뜻 사이의 관계는 자의적(혹은 임의적)이다. 밤하늘에 떠서 세상을 비춰주는 물체를 반드시 [달]이라고 불러야 할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면 어떤 언어에서나 [달]이라고 해야 할 텐데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영어에서는 [문]이라 하고 스페인어에서는 [루나], 헝가리 어에서는 [홀드], 일본어에서는 [쓰키]라고 한다. 그것은 마치 붉은 교통 신호등이 정지를 표시하는 것과 같다. 붉은 색이 정지를 뜻해야 할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푸른색을 정지, 붉은색을 진행 표시로 정해도 상관없다. 그것은 약속으로 통용되기만 하면 된다. 교통신호는 색깔로 진행이나 정지를 표시하지만, 언어는 말소리로 어떤 뜻을 전달하는 것이다. 말소리는 그릇과 같은 것이요, 뜻은 거기에 담긴 내용이다. 그래서 언어는 자의적인 음성기호의 체계라고 한다. 청각장애인들의 수화(手話)는 손짓으로 뜻을 전하며 밤중에 항해하는 배들은 불빛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그러나 언어는 말소리로 뜻을 전달하며, 말소리와 뜻 사이의 관계는 필연적이 아니고 자의적이다.

 

① ‘호랑이’와 ‘범’이라는 동의어가 존재한다.
② ‘까닭’을 뜻하는 중세어 ‘젼ᄎᆞ’가 후대에 와서 사라졌다.
③ 한국 사람들은 수탉의 울음소리를 ‘꼬끼오’라고 한다.
④ ‘부추를’ 어떤 방언에서는 ‘솔’이라고 한다.

【해설】 정답 ③
언어의 자의성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

③ 강아지 소리, '멍멍'이지 '야옹야옹' 아님. 의성어는 자의성이 약하다.
①은 같은 내용을 ‘호랑이, 범’이라는 형식으로 호칭. 다시 말해서, 내용과 형식의 연관성이 없다.(자의성)
②번은 어휘가 변한다는 사례.(역사성) 하지만 ‘역사성’도 자의성에 해당. 어휘가 변하는 것은 내용과 형식이 일치하지 않다는 말이다.
④는 지역마다 언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내용이 ‘부추, 솔’이라는 형식으로 호칭. 내용과 형식이 연관성이 없다.(자의성)

자의성의 근거
① 이음동의어 →사랑-love
② 역사성 → 어리다(어리석다), 어리다(young)
③ 의성어, 의태어 →  멍멍, bark bark, 하지만 자의성의 근거로 가장 약한 예



 

4. 언어의 기능

 

언어행위는 대단히 복잡한 ‘나’에 대한 표현 기능은 물론 모든 인간 정신활동과 뒤얽혀서 사용되는 복잡한 정신활동으로서 매우 다양한 기능을 한다.
언어의 기능에 대한 견해는 아주 다양한데, 커뮤니케이션 기능 하나만을 드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여섯 가지로 분류하는 견해도 있다.

① 이분법
통달적 기능과 정서적 기능으로 나누고 있다.
② 삼분법
- 언어의 기능을 지 · 정 · 의에 대응시켜 서술, 표출, 호소의 기능으로 구분하며 이것이 실제 문장에서 서술문, 감탄문, 명령문으로 나뉜다고 본다.
- 이와는 달리 러셀은 화자, 대상, 청자를 염두에 두고 사실의 지시, 화자의 상태 표출, 청자의 상태 변경의 기능으로 나누기도 하였다. 
③ 사분법
- 정보적 기능, 관어적 기능, 지령적 기능, 평가적(표출적 기능)으로 나눈다.
- 이러한 기능을 좀 더 세분하여 여섯 가지 기능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 여섯 가지 기능은 정서적(표현적 기능), 욕구적 기능, 상황적 기능, 관어적 기능, 시적 기능, 지시적(외연적, 인식적 기능)이다.

1) 정보 전달 및 보존의 기능
- 어떤 사실, 정보, 지식에 대하여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내용을 알려 주는 기능
- 대상을 가리킨다고 하여 지시적 기능이라고도 함
- 대체로 언어의 이러한 기능은 명제(어떤 문제에 대한 주장이나 의견, 판단 등을 문장으로 나타낸 것)를 형성하고, 그 명제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데에, 혹은 논증을 제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 또한 언어는 어떠한 사실이나 지식, 정보를 여러 형태의 보존방법을 이용하여 먼 훗날에 까지 보존하는 기능이 있다.
예) 유달산은 목포에 있는 산이다.
예) 페라리는 아주 비싼 스포츠카이니 만큼 잘빠졌다.
예) 대마도는 우리가 한 때 실제로 경영한 적이 있으니 우리 땅이여. 

2) 표출적 기능
- 놀랐을 때나 감동을 느꼈을 때 부르짖는 외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예) 에고!!
예) 으악!! 

3) 감화적(지령적) 기능
- 듣는 이에게 무엇을 하게 하거나, 하지 않게 하는 기능으로, 명령적 기능이라고도 한다.
- 이 기능이 두드러진 언어형식은 명령이나 청유이다.
- 어떤 지식을 전달하거나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키려는 것이 아니라, 어떤 특정한 행위나 사건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려는 것이 목적이다.
예) 멍청하게 앉아있지 말고 만화책이라도 읽어라. 답답아!
예) 통행금지! 다쳐.
예) 구경만 하지 말고 너도 참여해라.
예) 아빠 잔소리 끝났으니 이제 라면 먹자. 

4) 친교적(사교적) 기능
- 사람을 만났을 때, 아는 처지인데도 아무 말 없이 말똥말똥 쳐다보기만 하면 어색하고 좀 뭐하니까 그냥 건네는 말이다.
- 즉, 사교를 위해서 별다른 심각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논리적으로 옳다 그르다 할 수 없다.)
예) 좋은 아침입니다. (아침인사 : 비 오는 날 아침이었음)
예) 옷이 참 예쁘네요. 어디에서 사셨어요? (속으론 별로라고 느끼지만)
예) 안녕하세요? 

5) 미학적 기능
- 화자에 의하여 쓰인 말은 화자의 의식적 , 무의식적 노력에 의해 되도록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한다.
- 이것을 "미학적 기능"이라 한다.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은 이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는다.

 6) 관어적 기능
- "영어의 'father'는 우리말의 '아버지'라는 말이다"라고 했을 경우 이는 영어와 한국어가 서로 관계하고 있음을 말한 것
- 이처럼 언어가 언어끼리 관계하고 있다고 해서 이를 '관어적 기능'이라고 한다.
- 이 기능을 통해 새로운 말을 배움으로써 지식을 증진시키고 체계화한다.

7) 표현적 기능
- 말하는 사람은 현실 세계에 대한 자신의 판단이라든가 다른 섬세한 감정까지도 언어로 표현하게 된다.
- 그래서 이 기능은 말하는 사람의 사실적인 판단이나 듣는 사람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태도, 지시 대상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태도, 자신의 판단에 대한 확신성 여부 등을 표현하는 기능이다.
- 또한 감정이나 정서를 불러일으키려는 의도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기능을 말하기도 한다.
- 시에 사용되는 언어는 이 기능을 잘 보여 주는 예이며 이러한 기능의 언어는 참과 거짓을 문제 삼을 수 없으므로, 논리적으로 옳다 그르다 할 수 없다.
예)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즉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흰 서름에 잠길테요.(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


기출 문제

 Q  다음 시조는 언어의 시적 기능이 극대화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언어의 어떤 기능이 주로 사용되었는가?

한 잔(盞) 먹새그려 또 한잔 먹새그려.
곳 것거 산(算) 노코 무진무진(無盡無盡) 먹새그려.
이 몸 주근 후면 지게 우희 거적 더퍼 주리혀 매여 가나
유소보장(流蘇寶帳)의 만인(萬人)이 우러네나,
어욱새 속새 덥가나무 백양(白楊) 수페 가기곳 가면,
누른 해, 흰 달, 굴근 눈, 쇼쇼리 바람 불 제, 뉘 한잔 먹쟈할고.
하믈며 무덤 우희 잔나비 휘파람 불제, 뉘우친달 엇더리...


① 표현적 기능 ② 정보적 기능 ③ 친교적 기능 ④ 표출적 기능 ⑤ 지령적 기능

【해설】 정답 ⑤

- 정철 <장진주사> ; 최초의 사설시조이며, 권주가의 성격이 있는 시조.

지령적 기능은 명령, 지시, 권유 등의 기능

(장진주사 내용이 “같이 술드세, 술마시자~” 하는 내용이라 지령적 기능)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