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한국사 인물

소수림왕(小獸林王), 고구려 제17대(재위:371~384) 왕, 태학(太學)

Jobs 9 2021. 5. 4. 19:49
반응형

삼국시대 고구려 제17대(재위:371~384) 왕.

개설

재위 371∼384.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구부(丘夫). 제16대 고국원왕의 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1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371년 10월 부왕이 평양성(平壤城)까지 진격해 온 백제군을 맞아 싸우다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고국원왕 대의 대외 진출 기도의 실패 등으로 말미암은 고구려 사회의 동요를 극복하기 위해 일련의 체제 정비를 도모하였다.

즉 372년(소수림왕 2)에는 전진(前秦)에서 외교 사절과 함께 온 승려 순도(順道)를, 374년에는 아도(阿道)를 각각 맞아들였고, 375년에는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해 이들을 거주하게 하는 등 불교의 수용 및 보급에 노력하였다.

한편, 372년에는 유교 교육 기관인 태학(太學)을 설립해 유교 이념의 확대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사상 정책은 이전의 부족적 관념 체계를 극복하고, 나아가서는 초부족적 국가 질서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념 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뿐만 아니라 373년에는 국가 통치의 기본법인 율령(律令)을 반포했는데, 이는 전통적 관습법 체계를 일원적인 공법 체계로 재구성하고 성문화함으로써 왕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의 정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련의 체제 정비를 위한 시책은 고구려가 4세기 말∼5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하는 데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대외 관계에서는 374, 375, 376년에 잇달아 백제를 공격하는 등 백제와의 충돌이 그치지 않았으며, 378년에는 거란족의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연(前燕)이 멸망한 뒤 북중국의 패자로 등장한 전진(前秦)과 372, 377년에 외교 사절을 교환하고 불교를 수용하는 등 우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국력의 분산을 막을 수 있었다. 이는 당시 국가 체제 정비를 위한 일련의 시책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외적 조건이 되었다. 죽은 뒤에 소수림(小獸林)에 묻혔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