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설비배치 유형,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 라인별 배치, 공정별 배치(process layout), 위치고정형 배치(fixed position layout), 프로젝트 배치, 혼합형 배치(hybrid layout), 그룹별 배치(group layout)

Jobs 9 2022. 9. 30. 16:07
반응형

● 설비배치(facility layout)
생산공정의 공간적 배열, 즉 서비스 내지 생산의 흐름에 맞추어 기계설비·시설·통로·창고·작업장 등의 위치를 공간적으로 적절히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공장배치(plant layout)의 경우 기계설비의 배치가 중심이 되므로 흔히 '설비배치'라 한다.

설비배치 유형
1)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
㉠ '라인별 배치'라고도 하며, 대량생산 내지 연속생산시스템에서 특정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설비와 작업자를 생산과정순으로 배치하는 방식
㉡ TV·자동차 조립공장, 음료수 및 식품가공공장 등 소품종 다량생산공장과 카페테리아 식당, 항공기 탑승수속 등
㉢ 전제조건 : 설비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산량, 제품수요의 안정, 제품의 표준화, 부분품의 호환성 등
㉣ 장·단점

장점
단점
1. 단위당 생산코스트가 낮다.
2. 운반거리가 짧고, 가공물의 흐름이 빠르다.
3. 기계와 작업자의 이용률이 높다.
4. 재고와 재공품의 저장면적이 작다.
5. 일정계획이 단순하고 관리가 용이하다. (단순한 생산계획 및 통제가 가능하다.)
6. 작업이 단순하여 작업자의 훈련·감독이 용이하다.
1. 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떨어진다.
2. 전용설비의 투자와 배치에 자본이 많이 든다.
3. 기계고장·작업자 결근 등은 전체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
4. 적은 수량의 제조에 고정비 부담이 크다.
5. 단조로운 작업으로 직무만족이 떨어진다.

 

2) 공정별 배치(process layout)
㉠ '기능별 배치'라고도 하며, 기계설비를 기능별로 배치하는 형태. 서비스업에서의 '작업별 배치'도 이에 해당된다.
㉡ 특징 : 다품종소량생산에 적합하게 범용설비를 기능별(기계종류별)로 배치한다.
㉢ 장·단점

장점
단점
1. 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크다.
2. 범용설비의 투자 및 배치에 돈이 적게 든다.
3. 기계고장·작업자 결근 등에도 생산량 유지가 용이하다.
4. 소량제조시 유리하다.
5. 직무만족을 증진시킨다.
1. 대량생산시 불리하다.
2. 운반능률이 떨어진다.
3. 재고나 재공품의 투자액과 저장면적이 많이 소요된다.
4. 설비와 작업자의 이용률이 낮다.
5. 주문별로 일정계획이 달라 관리가 번잡하다.

 

3) 위치고정형 배치(fixed position layout)
㉠ '프로젝트 배치'라고도 하며, 제품이 매우 크고 복잡한 경우에 제품이나 공사구조물은 한 장소에 고정되고, 원자재·기계설비·작업자 등을 제품의 가공·생산 장소에 옮겨서 생산·가공하는 형태
㉡ 장·단점

장점
단점
1. 생산물 이동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2. 다양한 제품·작업을 신축성 있게 제조할 수 있다.
3. 크고 복잡한 제품·구조물생산에 적합하다.
1. 제조현장까지 자재와 기계설비를 옮기는데 많은 시간·노력·비용이 소요된다.
2. 기계설비의 이용률이 낮다.
3.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 많다.

 

4) 혼합형 배치(hybrid layout)
① 설비배치의 3가지 기본유형이 혼합된 설비배치형태를 말한다.
② 공장 전체로 볼 때 부품제작→중간조립→최종조립의 순서를 제품별 배치를 하고 있는 경우에, 부품제작공정은 공정별 배치, 조립공정은 제품별 배치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이다. 또한 전자제품공장에서 최종조립라인이 제품별 배치, 금형공정이 공정별 배치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이다.

 

5) 그룹별 배치(group layout)
: 그룹별 배치는 자재의 운반, 대기시간을 줄이는 한편, 다양한 품목을 생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설비배치의 형태로, 생산공정 또는 제품구조의 특성에 따라 생산품목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생산설비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그룹별 배치에는 ① 그룹테크놀로지(GT)의 '셀형 배치'와 ② JIT의 'U자형 배치'가 대표적이며, GT생산 내지 로트 생산시스템(중품종 중량생산)에 적합하다. 

① 셀형 배치(cellular layout)
㉠ 'GT 배치' 또는 '그룹별 배치'라고도 하며, 작업장과 기계를 유사한 생산·가공 흐름을 갖는 제품들로 그룹화하여 셀(cell)의 단위로 배열하고 부품부류별로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 금속가공·조립, 컴퓨터 칩 제조 및 조립작업에 적용되며, 유연성은 유지(공정별 배치의 장점)하면서 아울러 효율을 증대(제품별 배치의 장점) 시키려고 하는 배치방식
㉢ 장·단점

장점
단점
1. 흐름이 일정하고 이동거리가 짧아, 운반시간/비용이 적다.
2. 가공물의 흐름이 원활하여 공정품이 적다.
3. 유사부품을 가공하므로 준비시간이 짧다.
4. 빨리 가공할 수 있어 납기가 단축된다.
5. 반복적으로 관리와 생산자동화가 용이하다.
1. 재배치에 추가비용이 소요된다.
2. 가공물의 흐름균형을 이루는 것이 쉽지 않다.
3. 부품에 따라 분류하기에 애매한 것이 있다.
4. 다기능공의 양성·관리가 힘들다.
5. 공장이용률이 떨어지기도 한다.

 

② U자형 배치(U-shaped layout)

㉠ 다양한 수요변화에 풀시스템(pull-system)을 전개하는 일본기업에서는 흔히 U자형 조립라인을 사용한다.

㉡ U자형 배치는 셀형 배치와 같이 일본에서 작업단순화와 지속적 개선사상을 토대로 공정별 배치를 개선한 것이다.

㉢ U자형 배치의 원칙: 다공정 담당의 원칙, 작업량 공평의 원칙, 1개 만들기 원칙, 흐름작업의 원칙

㉣ U자형 배치의 유리한 점: 공간이 적게 소요된다. 운반을 최소화한다. 작업자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킨다. 작업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Q  설비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같은 기능을 갖는 기계를 작업장(workstation)에 모아 놓은 방식으로, 모든 작업자가 유사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라고 한다.
②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형태이며, 가공 혹은 조립에 필요한 기계를 일렬로 배치하여 모든 기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제품이 완성되는 방식을 공정별 배치 (process layout)라고 한다.
③ 제품별 배치와 공정별 배치 등을 혼합한 형태로 준비시간과 대기시간 단축의 장점이 있는 방식을 셀 배치(cellular layout)라고 한다.
④ TV를 제작하는 데 있어 섀시 조립, 회로기판 장착, 브라운관 장착, 스피커 장착, 외장박스 장착, 최종검사 등을 거치는 방식을 고정형 배치(fixed position layout)라고 한다.


【해설】 정답 

① 같은 기능을 갖는 기계를 작업장(workstation)에 모아놓은 방식으로, 모든 작업자가 유사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은 제품별배치(product layout)가 아니라 같은 공정 및 기능들로 묶인 공정별배치(processlayout)

②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형태이며, 가공 혹은 조립에 필요한 기계를 일렬로 배치하여 모든 기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제품이 완성되는 방식은 공정별 배치(process layout)가 아니라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

④ TV를 제작하는 데 있어 섀시 조립, 회로기판 장착, 브라운관장착, 스피커 장착, 외장박스 장착, 최종검사 등을 거치는 방식은 모든 기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제품이 완성되는 방식으로서 제품별배치(product layout)

고정형 배치(fixed position layout)는 프로젝트생산방식에 활용되는 배치

● 설비배치 유형
1)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
㉠ '라인별 배치'라고도 하며, 대량생산 내지 연속생산시스템에서 특정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설비와 작업자를 생산과정순으로 배치하는 방식
㉡ TV·자동차 조립공장, 음료수 및 식품가공공장 등 소품종 다량생산공장과 카페테리아 식당, 항공기 탑승수속 등
㉢ 전제조건 : 설비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산량, 제품수요의 안정, 제품의 표준화, 부분품의 호환성 등
2) 공정별 배치(process layout)
㉠ '기능별 배치'라고도 하며, 기계설비를 기능별로 배치하는 형태. 서비스업에서의 '작업별 배치'도 이에 해당된다.
㉡ 특징 : 다품종소량생산에 적합하게 범용설비를 기능별(기계종류별)로 배치한다.
3) 위치고정형 배치(fixed position layout)
㉠ '프로젝트 배치'라고도 하며, 제품이 매우 크고 복잡한 경우에 제품이나 공사구조물은 한 장소에 고정되고, 원자재·기계설비·작업자 등을 제품의 가공·생산 장소에 옮겨서 생산·가공하는 형태
4) 혼합형 배치(hybrid layout)
① 설비배치의 3가지 기본유형이 혼합된 설비배치형태를 말한다.
② 공장 전체로 볼 때 부품제작→중간조립→최종조립의 순서를 제품별 배치를 하고 있는 경우에, 부품제작공정은 공정별 배치, 조립공정은 제품별 배치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이다. 또한 전자제품공장에서 최종조립라인이 제품별 배치, 금형공정이 공정별 배치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이다.
5) 그룹별 배치(group layout)
: 그룹별 배치는 자재의 운반, 대기시간을 줄이는 한편, 다양한 품목을 생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설비배치의 형태로, 생산공정 또는 제품구조의 특성에 따라 생산품목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생산설비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그룹별 배치에는 ① 그룹테크놀로지(GT)의 '셀형 배치'와 ② JIT의 'U자형 배치'가 대표적이며, GT생산 내지 로트 생산시스템(중품종 중량생산)에 적합하다. 
① 셀형 배치(cellular layout)
② U자형 배치(U-shaped layout)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