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고전 문학사
Ⅰ. 고대의 문학
* 서사 문학
신 화 명 | 내 용 |
단군 신화 | 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로 홍익 인간의 이념 제시 |
주몽 신화 | 동명왕의 출생에서부터 건국의 성업(聖業)까지를 묘사한 설화 |
박혁거세 신화 | 나정(蘿井) 근처의 알에서 태어나 사람들의 추대로 임금이 된 박씨의 시조 설화 |
석탈해 신화 | 알에서 나와 남해왕의 사위가 되고 나중에 임금으로 추대된 석(昔)씨의 시조 설화 |
김알지 신화 | 시림(始林 : 施林)의 나무에 걸렸던 금궤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경주 김(金)씨의 시조 설화 |
수로왕 신화 | 알에서 태어난 6명의 아이들 중 가락국의 왕이 된 김해 김(金)씨의 시조 설화 |
* 고대 가요
가요명 | 연 대 | 작 자 | 내 용 |
구지가 | 신라 유리왕 19(A.D. 42) |
구간(九干) | 주술적인 노래. 일명 ‘영신군가(迎新軍歌)’ |
해 가(사) | 신라 성덕왕 | 강릉의 백성들 | 수로 부인(水路夫人)을 구원하기 위한 주술적인 노래. ‘구지가(龜旨歌)’의 아류 |
공무도하가 | 고조선 | 백수 광부의 처 | 물에 빠져 죽은 남편의 죽음을 애도 |
황조가 | 고구려 유리왕 (B.C. 17) |
유리왕 | 실연(失戀)의 슬픔을 노래 |
정읍사 | 백제(百濟) | 행상인의 처 | 남편을 근심하여 부른 노래. 국문으로 정착된 가장 오래된 노래 |
* 현전하는 향가
가요명 | 작자 | 형식 | 내 용 |
서동요 | 백제 무왕 |
4구 | 서동이 선화 공주를 얻기 위하여 궁중 주변의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동요(童謠). 참요성격. |
혜성가 | 융천사 | 10구 | 혜성이 심대성(心大星)을 범했을 때 이 노래를 지어 물리쳤다는 축사(逐邪)의 노래. |
풍요 | 만성남녀 | 4구 | 양지(良志)가 영묘사의 장육존상을 만들 때 부역 온 남녀가 부른 노동요 |
원왕생가 | 광덕 | 10구 | 왕생(往生)을 원하는 광덕의 불교적인 신앙심을 읊은 노래 |
모죽지랑가 | 득오 | 8구 | 죽지랑의 고매한 인품을 사모하고, 인생의 무상을 노래한 만가(輓歌) |
헌화가 | 실명노인 | 4구 | 수로 부인이 벼랑에 핀 철쭉꽃을 탐하기에, 소를 끌고 가던 노인이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노래 |
원가 | 신충 | 10구 | 효성왕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매,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다는 주가(呪歌) |
도솔가 | 월명사 | 4구 | 해가 둘이 나타나매 지어 불렀다는 산화 공덕(散花功德)의 노래 |
제망매가 | 월명사 | 10구 |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재를 올릴 때 부른 추도의 노래 |
안민가 | 충담사 | 10구 | 경덕왕의 요청으로 군(君) 신(臣) 민(民)이 알 바를 노래한 치국 안민(治國安民)의 노래 |
찬기파랑가 | 충담사 | 10구 | 충담사가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추모하여 부른 노래 |
천수대비가 | 희명 | 10구 | 희명이 실명(失明)한 자식을 위해 천수대비 앞에 나가 부른 불교 신앙의 노래 |
우적가 | 영재 | 10구 | 영재가 도둑 떼를 만나, 이를 깨우치고 회개시켰다는 노래 |
처용가 | 처용 | 8구 | 아내를 범한 역신(疫神)을 굴복시켰다는 무가(巫歌) |
* 한문학
작품명 | 작자 | 형식 | 내 용 |
여수장우중문시 | 을지문덕 | 한시 | 수(隋)의 우중문을 희롱한 오언시 |
치당태평송 | 진덕여왕 | 한시 | 당의 태평을 기린 굴욕적인 외교의 시 |
화왕계 | 설총 | 설화 | 꽃을 의인화한 소설적 기록물의 효시인 산문 |
화랑세기 | 김대문 | 설화 | 부전 설화 문학서 |
토황소격문 | 최치원 | 한문 | 황소의 난 때 지어 문명을 떨침 |
계원필경 | 최치원 | 문집 | 당에서 지은 원고를 고국에서 찬집함. |
왕오천축국전 | 혜초 | 기행문 | 구도를 위해 천축국을 순례한 기행문 |
고승전 | 김대문 | 전기 | 저명한 스님에 대한 전기를 적은 것 |
Ⅱ. 고려의 문학
* 고려 가요
성격 | 작품명 | 비 고 |
망부석 사연 | 정읍사 | 현전 유일의 백제 가요. 신라 ‘치술령곡’과 연관됨. 망부석 설화. |
효심(孝心) | 사모곡 | 곡조명 : 엇노리. ‘목주가’와 연관됨. 어머니 사랑을 예찬. 비교법 |
상저가 | 방아를 찧으면서 부른 노동요. 촌부의 효성이 담김 | |
송도(頌禱) | 동동 | 월령체(달거리 형식) 노래의 효시, 연정과 송축. 비련의 노래. |
정석가 | 불가능한 상황 설정으로 만수 무강 송축. 영원한 사랑을 노래 | |
축사(逐邪) | 처용가 | 향가 ‘처용가’에서 발전한 희곡적 노래 |
현실도피 | 청산별곡 | 비애, 고독. 도피, 낙천적, 체념을 노래. 대칭구조. |
별리(別離)의 정한(情恨) | 가시리 | 이별의 한(恨), 체념, 기다림의 전통적 여심(女心)을 노래, 일명 ‘귀호곡’ |
서경별곡 | 이별을 거부하는 적극적 애정. | |
솔직담에 대한 사랑의 표현 | 쌍화점 | 남녀상열지사 |
만전춘 | 남녀상열지사, ‘시조’의 형식을 보여 줌. | |
이상곡 | 남녀상열지사 | |
애조(愛鳥) | 유구곡 | ‘벌곡조’와 유사. 정치 풍자 |
* 경기체가
작품명 | 연 대 | 작품명 | 형식 | 내 용 |
한림별곡 | 고려 고종때 |
한림제유 | 8연 3·3·4조 |
서부, 서적, 명필, 명주. 화훼(花卉), 음악, 누각, 추천(鞦韆)을 노래, 경기체가 의 효시 <한문과 국어> |
관동별곡 | 고려 충숙왕 |
안축 | 8연 3·3·4조 |
관동의 절경을 읊음. <한문과 이두> |
죽계별곡 | 고려 충숙왕 |
안축 | 5연 | 고향인 풍기 순홍의 절경을 읊음. <한문과 이두> |
* 패관 문학
작품 | 작자 | 내 용 |
수이전 | 박인량 | 부전. 최초의 순수 설화집. 연오랑 세오녀, 호원 등 9편이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전함. |
백운소설 | 이규보 | 시화(視話) · 문담(文談) 28편이 홍만종의 「시화총림」에 전함. |
파한집 | 이인로 | 시화 · 문담 · 기사(記事) · 자작(自作) · 고사(故事) · 풍물(風物) 등을 기록한 책. 3권 1책 |
보한집 | 최자 | 파한집의 자매편. 실정한 문인들의 설분(雪憤)을 다룸. |
역웅패설 | 이제현 | 익재난고의 권말의 수록됨. ‘소악부’에 고려 속요가 한역되어 있음. 이문(異問) · 기사(奇事) · 서문 · 서화 · 인물에 관한 이야기 |
* 가전체 문학
작품 | 작자 | 내 용 |
국순전 | 임춘 | 술을 의인화하여 술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씀. ‘국선생전’에 영향을 줌. |
공방전 | 임춘 | 엽전(葉錢)을 의인화하여 탐재(貪財)를 경계함. |
국선생전 | 이규보 | 술을 의인화하여 군자(君子)의 처신을 경계함. |
청강사자현부전 | 이규보 | 거북을 의인화하여 어진 사람의 행적을 그림. |
죽부인전 | 이곡 | 죽부인을 의인화하여 절개(節槪)를 나타냄. |
저생전 | 이첨 | 종이를 의인화함. |
정시자전 | 석식영암 |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인세(人世)의 덕에 관하여 경계함. |
Ⅲ. 조선 전기의 문학
* 악장 문학 작품 개관
형식 | 작품명 | 작자 | 내 용 |
신체 | 용비어천가 | 정인지 안지 권제 |
조선 6조의 건국 창업을 노래 대구법 |
월인천강지곡 | 세종 | 석보상절(釋譜詳節)의 석가 공덕을 보고 지은 석가모니(釋迦牟尼)의 찬송가 | |
속요체 | 신도가 | 정도전 | 태조의 덕과 한양의 경치를 찬양 |
감군은 | 상진 | 임금의 은덕을 감축(感祝) | |
경기체가체 | 상대별곡 | 권근 | 조선의 제도 · 문물의 왕성함을 찬양 |
화산별곡 | 변계량 |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 | |
한시체 | 문덕곡 | 정도전 | 태조의 문덕을 찬양 |
정동방곡 | 정도전 | 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 | |
납씨가 | 정도전 | 태조가 야인을 격파한 무공을 찬양 | |
봉황음 | 윤회 | 조선의 문물과 왕가의 축수(祝壽)를 노래 |
* 조선 전기 가사
작품 | 작자 | 내 용 |
상춘곡 | 정극인 | 태인(泰仁)에서의 은거 생활. ‘불우헌집’에 수록 |
면앙정가 | 송순 | 향리인 담양에 면앙정(俛仰亭)을 짓고 나서, 그곳의 자연과 정취를 노래함. 성산별곡에 영항을 줌. |
관서별곡 | 백광홍 | 기산별곡(冀山別曲)과 향산별곡(香山別曲)으로 됨. 정철의 관동별곡에 영향 |
성산별곡 | 정철 | 성산의 자연미를 읊음. ‘송강 가사’에 수록됨. |
관동별곡 | 정철 |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그곳의 자연을 노래한 기행 가사 |
사미인곡 | 정철 | 충신연주지사. 창평에 귀양가서 지음. |
속미인곡 | 정철 | 사미인곡의 후편. 두 여인의 문답으로 된 연군지사. 우리말 표현이 뛰어남. |
규원가 | 허난설헌 | 가정에 파묻힌 여자의 애환을 노래함. |
* 조선 전기 한문 소설
작품 | 작자 | 내 용 |
금오신화 | 김시습 | 최초의 한문 소설. 구우의 전등신화에서 영향을 받음. ① 만복사저포기 ② 이생규장전 ③ 취유부벽정기 ④ 남염부주지 ⑤ 용궁부연록 |
화사 | 임제 | 국가와 군신을 꽃에 비유하여 치국 흥망의 역사를 기록한 의인체 한문 소설, 일설 남성중(南聖重)의 작 |
수성지 | 임제 | 세상에 대한 불만과 현실에 대한 저주를 그린 의인체 한문 소설 |
원생몽유록 | 임제 | 생육신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처지를 슬퍼하여 쓴 전기 소설(傳奇小說), 세조의 왕위 찬탈을 배경으로 한 정치 권력의 모순을 폭로함. |
Ⅳ. 조선 후기의 문학
* 조선 후기 주요 시조집 개관
주요 시조집 | 편 자 | 작 품 수 |
청구 영언 | 김천택(金天澤) | 998수 |
해동 가요 | 김수장(金壽長) | 883수 |
고금가곡 | 송계연월옹 | 302수 |
악학습령(樂學拾零)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
이형상(李衡祥) | 1109수 |
가곡원류 | 박효관 안민영 | 800수 |
* 조선 후기 가사
작품 | 작자 | 내 용 |
고공가 | 허 전 | 나라 일을 농사에 비겨 관리들의 부패를 비판함. 각성촉구 |
고공답주인가 | 이원익 | ‘고공가’의 답가.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를 농사에 비유하여 풍자함. |
조천가 | 이수광 | 가사를 알 수 없고 「상촌집」에 기록만 전함. |
태평사 | 박인로 | 전쟁 가사, 왜구의 토벌과 태평을 갈구함. |
선상탄 | 박인로 | 임진왜란 뒤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한 가사 |
사제곡 | 박인로 | 사제의 승경과 이덕형의 풍모를 읊음. |
누항사 | 박인로 | 안빈 낙도(安貧落島)를 노래함. |
독락당 | 박인로 | 독락당을 찾아 이언적을 추모하고 서원의 경치를 읊음. |
영남기 | 박인로 | 이근원의 선정을 백성들이 숭앙함을 표현함. |
노계가 | 박인로 | 지은이가 만년에 숨어 살던 ‘노계’의 경치를 읊음. |
매호별곡 | 조우인 | 매호에서 유유자적함을 읊음. |
자도사 | 조우인 | 간신들이 정치를 어지럽게 함을 한탄한 우국 연군의 노래 |
일동장유가 | 김인겸 | 일본 통신사로 갔다가 견문한 바를 적은 장편 기행 가사 |
만언사 | 안조원 | 추자도에 귀양가서 노래한 장편 유배 가사 |
도산가 | 조성신 | 도산의 정치와 퇴계 선생을 추모 |
봉선화가 | 정일당 | 봉선화에 얽힌 여자의 정서를 노래 |
한양가 | 한산거사 | 한양의 문물 제도를 읊음. |
농가월령가 | 정학유 | 농가의 연중 행사와 세시 풍속을 읊은 가사. 월령체, 교훈적. |
북천가 | 김진형 | 명천에 귀양 생활을 하면서 견문을 쓴 유배 가사 |
연행가 | 홍순학 | 청나라 북경에서의 견문을 적은 장편 기행 가사 |
* 고대 소설
분류 | 작품명 | 작자 | 내 용 |
설 화 소 설 |
심청전 | 미상 | 연권녀(蓮權女) 효녀 지은(知恩) 설화. 도덕 소설 |
장끼전 | 미상 | ‘웅치(雄稚傳)’이라고도 함. 풍자 소설 | |
흥부전 | 미상 | ‘방이 설화(芳?說話)’, ‘박타는 처녀’에서 발견 | |
왕랑반흔전 | 보우 (普雨)? |
고려 이래 민간에 전해 오던 불교 설화가 소설화된 것. 한문본도 있으며, 화엄사본이 가장 오래됨 | |
사회 소설 |
홍길동전 | 허균 | 수호지(水滸誌) 등의 영향을 받음. 한글 창작 소설, 영웅 소설 |
전우치전 | 미상 | ‘홍길동전’의 아류작(亞流作) | |
군 담 소 설 |
임진록 | 미상 | 한문본(漢文本)도 있음. ‘삼국지연’의 영향을 받음. |
곽재우전 | 미상 | ‘천간홍의 장군’이란 제목으로 출간 | |
임경업전 | 미상 | 임장군전’이라고도 함. 전기적 소설 | |
박씨전 | 미상 |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 부인의 전기적 소설 | |
가정 소설 |
사씨점정기 | 김만중 | 숙종이 인현 왕후를 쫓아 냄을 풍자한 것이라고도 함. |
장화홍련전 | 미상 | 권선징악을 주제로 함. | |
염 정 소 설 |
춘향전 | 미상 | 완판본 열녀춘향수절가(完版本烈女春香守節歌) 열녀 암행 어사 설화(烈女暗行御史說話) |
옥단춘전 | 미상 | 이혈룡과 기생 옥단춘의 사랑을 그림. | |
숙향전 | 미상 | 한문본(漢文本)도 있음. | |
숙영낭자전 | 미상 | 한문본 재생연(漢文本再生緣) | |
운영전 | 유영? | 원본은 한문본. 일명 ‘수성궁 몽유록’ | |
구운몽 | 김만중 | 한문본(漢文本)도 있음. | |
옥루몽 | 남익훈 | 구운몽(九雲夢)의 아류작(亞流作). 한문본도 있음. | |
채봉감별곡 | 미상 | 가곡체.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이라고도 함. | |
풍자 소설 |
배비장전 | 미상 | 양반의 위선 풍자. 배비장과 기생 애랑의 이야기 |
이춘풍전 | 미상 | 무력한 남편과 거세된 양반을 풍자 | |
한 문 소 설 |
호질 | 박지원 | 도학자의 위선적인 생활 폭로 |
허생전 | 박지원 | 허생의 상행위(商行爲)를 통한 이용 후생의 실학 사상 반영 | |
양반전 | 박지원 | 양반 사회의 허례 허식 및 그 부패성의 폭로 | |
광문자전 | 박지원 | 기만과 교만에 찬 양반 생활의 풍자 | |
예덕선생전 | 박지원 | 직업 차별의 타파와 천인(賤人)의 성실성 예찬 |
반응형
* 고대 수필
분류 | 작품명 | 작자 | 내 용 |
궁 정 수 상 |
계축일기 (서궁록) |
궁녀 | 광해군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 대비의 아들 영창 대군을 죽이고 대비를 폐하여 서궁에 감금했던 사실을 일기체로 기록 |
한중록 | 혜경궁 홍씨 |
남편 사도 세자의 비극과 궁중의 음모, 당쟁, 자신의 기구한 생애를 회갑 때 회고하여 적은 자서전적 회고록 | |
인현왕후전 | 궁녀 | 인현 왕후의 폐비 사건과 숙종과 장희빈과의 관계를 그림. 사씨남정기는 같은 내용을 비유적으로 소설화한 작품 | |
일 기 ︵ 日 記 ︶ |
산성일기 | 궁녀 |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한 치욕적인 일면을 서술한 객관적·자술적 작품 |
화성일기 | 이의평 | 능행(陵行)시 화성(수원)에 수행하여 왕대비의 화갑연에 참가했던 것을 일기로 엮은 것 | |
의유당일기 | 연안김씨 | 순조 29년 남편 이회찬이 함흥 판관에 부임하매, 따라가 그 부근의 명승 고적을 찾아다니며 보고 듣고 느낀 바를 적은 글 | |
기 행 |
복관노정록 | 유의양 | 작자가 함경도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일을 적은 일기체 기행문 |
무오연행록 | 서유문 | 서장관으로 중국에 갔다가, 그 견문·감상을 자세히 기록한 완전한 산문체 작품 | |
서 간 |
우념재수서 | 이봉한 | 일본 통신사의 수행원으로 갔을 때 그 자당에게 보낸 편지 |
한산유찰 | 양주조씨 | 이산중(李山重) 부인의 수기 | |
전 기 |
윤씨행장 | 김만중 | 김만중이 그의 모부인(母夫人)이 돌아가시자 그를 추념하여 생전의 행장(行狀)을 지어 여자 조카들에게 나누어 준 글 |
제 문 |
제문 | 숙종 | 숙종의 막내 아들 연령군이 숙종이 승하하기 한 해 전에 세상을 떠났는데, 그 애통한 심회를 적은 글 |
조침문 | 유씨 | 자식 없는 미망인으로서 바느질로 생계를 도와 오다가 바늘을 부러뜨려 그 섭섭한 심회를 적은 글 | |
기 타 |
요로원야화기 | 박두세 | 당시 선비 사회의 병폐를 대화체로 파헤친 풍자 문학 |
어유야담 | 유몽인 | 민간의 야담과 설화를 모아 엮음. 해학과 기지가 넘침. | |
규중칠우쟁론기 | 미상 | 규중 부인들의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 바늘·자·가위·인두·다리미·실·골무 등의 쟁공(爭功)을 쓴 글 |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
- 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