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보기에 하위 소득계층은 '합리적 인간'으로 존재할 여건 자체가 마련되지 않았다. 결국 이들은 기존 제도와 생활양식에 가장 순종적이고, 결국 보수적으로 된다는 게 그의 분석
‘베블런 효과’(가격이 내려가면 수요가 증가한다는 기존의 경제학 이론과 달리, 오히려 가격이 오를수록 과시욕과 모방욕에 의해 수요가 증가하기도 한다는 주장)로 유명한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 그의 이름을 딴 ‘베블런 효과’는 딱히 경제학에 대해 깊은 조예가 없어도 학창시절 ‘사치재’, 즉 명품같은 비싼 제품이 왜 불티나게 팔리는지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한번쯤 들어 본 이름이다.
하지만 베블런은 단순한 경제학자만은 아니었다. 그가 경제학 이론에 과시욕과 모방욕이라는 인간의 ‘심리’를 포함시킨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경제를 단순한 숫자놀음(응용수학)이 아닌 인간의 본성 및 사회 전반과 연관되어진 것으로 파악하고 이론을 전개했다. 이와 관련하여 김덕영 독일 카셀 대 강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베블런은 이른바 제도학파 경제학의 창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간주되며, ‘베블런 학파’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경제학에 큰 영향을 끼친 학자이다. 제도학파 경제학이란 독일 역사학파 경제학의 영향을 받아서 경제적 현상을 다양한 사회적 제도 및 그 역사적 발전과정과 연관지어 분석하고 설명하는 조류를 가리킨다. 여기서 제도는 좁은 의미의 제도라기보다 더 넓게 영역, 현상 등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그러니까 제도학파 경제학은 역사적 사회과학이 되는 셈이다.
-[명저 새로 읽기]소스타인 베블런 <유한계급론>/경향신문
쉽게 말해 베블런은 경제 그 자체만을 기술하기보다는 경제를 통해 우리 사회 전반을 탐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바로 그 과정 속에서 그는 기존에 사람들이 상식이라고 믿었던 가설, 즉 ‘인간은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선택을 하며,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라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베블런 효과는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등장한 것으로 가격이 올라갈수록 오히려 수요가 늘어나는 인간의 ‘비합리성’에 대한 그의 통찰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베블런 효과는 매우 미시적인 부분에 불과하다. 그의 통찰에 가장 빛나는 부분은 다름 아닌 ‘왜 가난한 이들은 보수적인 되는가?’에 대한 그의 분석이다. 만약 인간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선택을 한다면 가난한 이들의 경우 현재의 체제 속에서 고통을 받기 때문에 당연히 변화를 원할 것이고, 변화를 원한다면 ‘진보적’이 돼야 할 텐데 그가 관찰한 당시 미국 사회의 경우 결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현상에 대한 그의 관찰이 특히 값진 이유는 자본주의 체제에 대해서 매우 통렬한 비판을 했던 마르크스나 엥겔스의 경우도 하위 소득계층이 결국엔 혁명을 시도할 것이라는 기대를 했다는 점에 있다. 하위 소득계층의 단결과 저항을 예상할 수 있는 전제는 하위 소득계층이 결국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선택(자본가 계급을 타도하는 것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선택)을 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결국 자본주의를 비판했던 마르크스나 엥겔스도 인간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선택을 할 것이라는 기존의 자본주의적 전제를 공유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베블런이 보기에 하위 소득계층이 처한 현실은 ‘합리적 인간’으로서 존재할 여건 자체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속된 말로 ‘하루 벌어 하루 살기’도 힘든 일상 속에서 하위 소득계층은 기존의 제도와 생활양식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버거웠다. 아니 오히려 기존 제도와 생활양식에 다른 어느 계층보다 충실해야만 그나마 기초적인 생존이 가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위 소득계층은 당연히 기존 제도와 생활양식에 가장 순종적이 될 수밖에 없고(되어야만 하고) 결국 그렇게 그들은 ‘보수적’이 된다는 게 베블런의 분석이다.
물론 베블런의 모든 분석을 다 옳다고 할 수는 없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보다 우위에 있다고 단정 지을 수도 없으며, 기존 경제학 이론이 모조리 무의미해진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통찰은 한 사회에 있어 ‘진보’가 과연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특히 ‘진보’라는 말 자체가 점점 더 사전적 의미로 퇴행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에 있어 그렇다.
만약 한 사회의 발전이 보수와 진보의 선의의 경쟁과 이를 통한 ‘균형’을 통해 가능하다고 믿는다면 우리는 100여 년 전 베블런의 통찰에 한번쯤 귀 기울여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설사 그의 통찰이 다소 냉소적이라고 해도 말이다.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