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시피강
Mississippi River
발원
아이태스카 호, 클리어워터 카운티, 미네소타
하구
필롯타운, 플래크마인즈 카운티, 루이지애나
유입
좌측: 세인트크루아 강, 위스콘신 강, 록 강, 일리노이 강, 캐스캐스키아 강, 오하이오 강, 야주 강, 빅블랙 강
우측: 미네소타 강, 디모인 강, 미주리 강, 화이트 강, 아칸소 강, 와치타 강, 레드 강, 아차팔라야 강
유출
멕시코 만
길이
3,734 km (2,320 mi)
면적
2,981,076 km²(1,151,000 sq mi)
유량
배턴루지, 루이지애나
- 평균 12,743 m3/s (450,015 cu ft/s)
- 최대 42,192 m3/s (1,489,996 cu ft/s)
- 최소 4,502 m3/s (158,987 cu ft/s)
세인트루이스
4,757 m3/s (167,992 cu ft/s)
미국 중부를 남북으로 흐르는 거대한 강
자체 길이로는 3767 km로 미주리강(4130 km)에 다음가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하지만 서북쪽에서 흘러 내려온 지류인 미주리강과 합치면 미국은 물론이고 세계에서도 네 번째로 길다. 한때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이라고까지 알려져 있었으나, 나중에 나일강과 아마존강이 더 길다는 사실이 알려져 세 번째로 긴 강이 되었고, 이후 양쯔강이 더 길다는 게 밝혀져 네 번째로 긴 강이 되었다.
길이는 3734 km지만 앞의 미주리강과 더 상류로 거슬러 올라간 제퍼슨강을 합한다면 6275 km에 달한다. 결국 미국 제1위와 제2위의 강이 합쳐지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시시피강이 된다.
미국 전체 대륙의 지역을 동부와 서부를 나눌 때, 미시시피강을 기준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로 NBA, NFL 등에서 동부 지구와 서부 지구도 미시시피강을 기준점으로 나눠서 결정한다.
어원
어원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인 오지브웨어로 위대한 강이란 뜻인 misiziibi라고 한다.
영어 철자가 심히 부담스럽지만 첫 철자(M)를 제외한 모든 자음이 2번씩 나온다고 외우면 어렵지 않게 외울 수 있다. 받침이 없고 모음도 한 종류(i)뿐이므로 분명 같은 s인데 앞에는 두 번 들어가고 뒤에는 한 번 들어가는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같은 e가 앞에는 한 번씩, 뒤에는 두 번 들어가서 일관성이 없는 테네시(Tennessee)보다는 쉽다.
가끔 퀴즈의 소재가 되기도 하는데 '11개의 철자로 s가 4번 들어가고 i가 4번 들어가는 영어 단어는?' 같은 식. 한 단어 안에 저렇게 같은 철자가 많이 차지하고 있는 단어가 가능한가 하고 혼란에 빠지기 쉽다.
역사
나일강과 양쯔강이 그렇듯, 미시시피강 일대도 고대로부터 농경을 행해온 지역이다. 8-10세기 경에 걸쳐 성읍국가들이 대거 형성되면서 카호키아, 에토와, 스피로, 마운드빌 등의 도시들도 나타날 정도로 꽤 번성한 미시시피 문명이 나타났지만 15세기 중반부터 조금씩 쇠퇴하기 시작하더니, 16세기 스페인 탐험대가 이 지역을 탐험할 즈음에 몰락하였다. 스페인의 영향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현재의 연구로는 스페인과 별 상관 없이 이미 예전에 몰락했다고 본다. 다만, 스페인 정복자들로부터 전파된 전염병으로 멸망 직전으로 몰렸다고도 하니 아주 무관한 것은 아닐 듯하다.
스페인은 해안지방만 차지하고는 미시시피강 유역을 끝내 차지하지 못했지만 다시는 이 성읍 국가들이 재건되지 못하였고, 그 결과 미시시피강 유역은 소수의 살아남은 원주민들만 살고 있는 무주지나 다름없는 땅이 되었다. 명목상만 스페인 땅인 셈. 그러다가 18세기에 프랑스가 이 지역을 접수하였고, 루이지애나라는 명칭이 붙여졌으나 1760년대에 프랑스가 영국과의 전쟁에 패배하면서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은 스페인, 동부 지역은 영국으로 넘어갔다. 이후에 미국이 독립하고, 스페인이 나폴레옹에 의해 프랑스에게 점령당하면서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은 다시 프랑스가 가지게 되었지만 고작 3년 만에 미국에게 넘겨주면서 미국 영토가 되었다.
한때 미국 중서부 일대에서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미국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운 산업이 쇠퇴하면서 옛날만큼 중요하지는 않게 되었다.
하류에서 미시시피 주를 동쪽으로 끼고 있지만 제일 끝인 하구의 삼각주는 루이지애나에 있다.
하구에는 모양이 특이한 삼각주가 있다. 조족상 삼각주로 새의 발 모양을 닮았다는 데서 나온 이름이다. 도형으로 표현해 보자면 △ 형태가 아니고 Λ 형태가 여럿 모인 형상이다. 델타 항공 회사명의 유래가 바로 이것이다.
고생대 석탄기 전기에 해당하는 미시시피기(Mississippian, 3억 5천만~3억 2천만 년 전) 이름도 여기 강(江)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2007년 8월 1일 미네소타에서 미시시피강을 가로지르는 I-35W 교량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전세계적으로 따져도 길이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미시시피강을 발원지부터 하류까지 카누를 타고 내려갔던 사람들이 있다. 미시시피강 카누 항행기 재생목록 총 61일이 걸렸는데, 영상에 나오듯 그냥 물길로만 쭉 내려가진 않고 숙식을 취하기 위해 잠시 뭍으로 올라와서 활동을 하거나 관광도 하기도 하였다. 그 외에 아프간전 참전으로 생긴 PTSD를 치유하기 위해 이와 비슷하게 미시시피강을 훑어 내려간 참전용사도 있다.
미국 해병대는 훈련소가 두 곳인데, 미국 해병대 입대자들의 훈련소 배정은 미시시피강을 기준으로 갈린다.
미국의 소설 및 이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한 일본의 애니메이션 톰 소여의 모험은 주인공 톰 소여와 그의 친구들과의 미시시피강 변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상류
미네소타주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서 발원하여 멕시코만으로 흐르는 강이다. 수많은 지류가 모여들면서 미시시피 강은 광대한 시스템을 형성한다. 그 유역분지는 미국 영토에서 로키산맥에서 애팔래치아산맥 사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류, 상류는 대평원을 흐르고, 동쪽 지류는 애팔래치아 고원을 흐른다. 미시시피 강은 미네소타 주의 북쪽에 있는 해발 450m의 이타스카호(Lake Itasca)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면서 주변에 넓게 흩어져 있는 많은 습지와 호수에서 공급되는 물을 통해 유량이 많아진다. 이후 슈피리어호 서쪽의 고원 산자락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기 시작한다.
중류
세인트루이스에서 미주리강과 합류하는데 막대한 양의 운반물질이 함께 흘러들어 강의 모습이 달라진다. 일리노이 주의 카이로를 지나면서 오하이오강과 합류하는데 이곳이 미시시피 강의 원래 삼각주가 형성되기 시작한 곳으로 판단된다. 여기서부터 지난 1억년동안 남쪽으로 삼각주가 조금씩 퇴적되어 성장해간 것이다. 이후 컴버랜드(Cumberland)와 오작크 고원(Ozark plateaus) 사이의 골짜기를 따라 흐르는데 양쪽으로는 최종빙기 때 융빙수에 의해 형성된 선상지들이 자리 잡고 있다. 미주리 강의 길이가 4,120km로 미시시피 강의 지류 중에서 가장 길지만, 오하이오 강은 길이가 1,570km 밖에 되지 않지만 가장 많은 수량을 공급하는 지류이다.
하류
카이로를 기점으로 하류에서의 강폭은 1마일(1,600m)보다 넓어지게 되며 매년 바다로 5억 톤 가량의 퇴적물질을 운반한다. 강 하구 삼각주는 지난 6,000년 동안 약 320km2 정도의 면적이 성장하였으며, 뉴올리언즈의 남동쪽 방향으로 나뭇가지 형태로 형성되었다. 이곳은 최근에 몇 가지 원인으로 인해 조금씩 가라앉고 있다.
지류
미시시피 강의 주요 지류
빅블랙강: 미시시피주
야주강: 미시시피주
레드강: 루이지애나주
화이트강: 아칸소주
아칸소강: 아칸소주
오하이오강: 켄터키주
빅머디강: 일리노이주
카스카스키아강: 일리노이주
미주리강: 미주리주
일리노이강: 일리노이주
디모인강: 미주리주
스컹크강: 아이오와주
록 강: 일리노이주
마쿠오케타강: 아이오와주
위스콘신강: 위스콘신주
치페와강: 위스콘신주
세인트크루아강: 미네소타/위스콘신주
미네소타강: 미네소타주
크로강: 미네소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