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부석(望夫石) 설화
신라 초기 내물왕이 즉위한지 36년경인(庚寅, 390 A.D)에 일본이 사신을 보내어 말하기를, 앞으로 침략하지 않는다는 표로 왕자 한 사람을 보내어 달라고 하므로, 셋째 아들 미해(美海)를 보냈더니 돌려보내지 않았다. 또 눌지왕 때에 고구려가 화친한다는 이름 아래 왕자 보해(寶海)를 보내 달라고 하므로 부득이 하여 눈물을 머금고 보냈더니, 역시 돌려보내지 않았다. 이에 눌지왕은 아우 둘을 남의 나라에 두고 눈물이 마를 날이 없었다. 이를 안 박제상은 고구려로 가서 보해를 구해냈다. 다시 일본으로 왕의 동생 미사흔(未斯欣)을 데리러 간 박제상(朴堤上)이 왕자를 구출했지만 자신은 돌아오지 못했다. 왜왕에게 환심을 산 후 미해를 신라로 귀국시킨 박제상은 붙잡혀 고문을 당하게 되었다. 이 때 왜왕이 박제상에게 미해를 빼돌린 이유를 묻자 제상은 자신은 신라의 신하지 왜왕의 신하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자 왜왕은 왜국의 신하라 한다면 상을 주겠다고 하자 제상은 차라리 신라의 개나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벼슬과 녹은 받지 않겠다고 거절한다. 제상은 왜왕에게 다리 가죽을 벗기고 갈대 위를 걷는 형벌, 뜨거운 쇠 위에 세워놓은 형벌 등을 받고, 결국은 불태워 죽임을 당하였다. 그의 아내가 자녀를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 일본을 바라보며 박제상을 기다리다가 돌이 되었다. 뒤에 사람들은 그녀를 치술령의 신모(神母)로 모시고, 이를 소재로 지은 노래가 ‘치술령곡'이다.
【출전】{삼국사기} 권45, {삼국유사} 권1 '내물왕 김제상', {문헌비고}, {동국통감}, {일본서기} 등에 각각 실려 있으나 내용은 조금씩 다르다.
해설
절개 굳은 아내가 타관이나 외국에 나간 남편을 고개나 산마루에서 기다리다가 남편을 만나지 못하자 죽어서 돌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아내가 죽지 아니하고 자연석인 돌에서 기다렸기 때문에 이름이 붙은 망부석의 유래도 해당된다. 대표적인 설화는 신라시대 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죽어 망부석이 된 것이다. 박제상의 부인은 죽어서 치(鵄)라는 새가 되고 같이 기다리던 세 딸은 술(述)이라는 새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고, 그들 모녀는 치술령신모가 되었고 마을 사람들은 사당을 지어 모셨다는 기록도 있다. 엄밀히 말해서 사람이 돌로 변한다는 화석 모티브는 불가능한 것이다. ‘돌’이라는 단어에는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아니하는 찬양 받을만한 기념물이라는 뜻이 있다. 이 기념물인 돌을 보고 부인의 정렬을 찬양할 사람은 그 근처의 주민이므로 인공으로 기념비를 후에 세웠거나 죽은 장소에 있던 자연석을 기념하는 대상물로 여기고 소중히 여겼을 것이므로, 그곳 주민들은 망부석을 대할 때 훌륭한 부인을 대하는 것과 같은 경건한 존경심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줄이면 바로 사람이 죽어서 망부석이 되었다는 화석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부인이 죽어 새가 되었다는 <치술령망부석전설>에서의 새의 의미는 일본에 간 뒤에 소식이 없는 남편을 기다리는 심정이 바로 새가 되어서 훨훨 날아 바다를 건너가고 싶은 공간의 극복이다. 부부의 만남이 산 몸으로는 불가능하므로 죽은 뒤에 새가 되어 소원을 푸는 것이니, “이 몸이 새가 된다면”하는 살았을 적의 소원이 죽어서 실현이 되었다는, 죽음을 초월한 부부의 사랑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새가 되어서라도 아버지를 만나고 싶은 딸의 소원 때문에 딸도 새가 된 것이다.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