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행정학 용어

동기부여 구축·강화이론(Motivation Crowding Theory)-업무수행 동기가 외재적 보상(extrinsic rewards)에 의해 감소 또는 강화

Jobs 9 2020. 10. 8. 17:50
반응형

동기부여 구축·강화이론(Motivation Crowding Theory)

1. 의의

  동기부여 구축·강화이론은 개인의 업무수행 동기가 외재적 보상(extrinsic rewards)에 의해 감소 또는 강화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이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개인이 외재적 보상을 자신에 대한 통제(controlling) 수단이라고 인식하는 경우에는 동기부여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발생하지만. 반대로 외재적 보상을 자신에 대한 지원(supportive) 수단이라고 인식하는 경우에는 동기부여를 강화하는 효과(crowding-in effect)가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다. 이 이론은 개인의 업무수행 동기는 행위자가 외재적 보상이나 유인(incentives)을 어떠한 것으로 인식하는가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논증하고 있다.

 


2. 논리체계

  동기부여 구축·강화이론은 외재적 보상이 주는 숨겨진 비용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인식에 따라 내재적 동기가 달라진다는 점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개인이 외재적 보상을 숨겨진 비용 또는 자신에 대한 통제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내재적 업무수행 동기는 감소한다. 개인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동기부여 구축효과가 발생하여 개인의 내재적 동기부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조건은 두 가지가 있다. 외재적 보상이나 개입이 자기결정권의 상실(loss of self-determination)을 초래하거나, 자존감에 상처(impaired self-esteem)를 준다고 인식하는 경우이다. 반대로 외재적 보상이나 개입을 자신에 대한 지원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개인의 자존감은 향상되어 행동의 자유가 보장됨을 느끼게 되고 자기결정권이 확대되어 내재적 동기부여는 강화된다.
  이러한 행위자의 심리적·주관적 인식이 외부 개입에 대한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설명변수가 된다. 다음의 적용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개인의 정부 또는 정책에 대한 주민의 신뢰감이나 공공서비스의 일부 내용의 변경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3. 적용 사례

  동기부여의 구축 또는 강화 사례는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동기부여의 구축 사례만을 소개한다. Frey(1997)은 개인의 내재적 동기부여가 구축되는 일상생활에서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어느 가정에서 자녀는 정원의 잔디를 깎아 왔다. 어느 날 부모는 자녀에게 잔디를 깎는 일에 대하여 금전적으로 보상을 하겠다고 한다. 자녀는 잔디 깎는 일에 대한 부모의 제안이 자신의 결정권과 자존감을 침해한다고 생각하여 그 일을 게을리 하게 된다. 또는 자신이 수행하는 다른 가정 일에 대하여 경제적 보상이 주어지지 않으면 그 일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사례는 이스라엘의 공공서비스에서 찾을 수 있다. 어린이집(daycare centers)에 자녀를 맡긴 부모들이 공식적으로 정해진 시간이 지나도 자녀를 데려가지 않아 직원이 퇴근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경제학자는 아이를 늦게 데려가는 부모에게 범칙금을 부과하도록 처방하였다. 부모는 이러한 범칙금의 부과를 일종의 처벌이라 인식하게 되었고, 결국 자녀를 늦게 데려가는 부모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여기서 심리적 인식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부모는 자녀를 늦게 데려가는 것에 대하여 범칙금을 납부하였으므로 문제가 없다고 느끼게 되어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 하나의 동기부여 구축 사례는 님비(NIMBY) 문제(기피시설 입지 선정)에서도 찾을 수 있다. 스위스 정부는 핵폐기물 시설을 건설할 지역을 선정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시설의 입지에 대한 의견을 질문하였다. 주민의 50.8%는 찬성, 44.9%는 반대 그리고 나머지 4.3%는 의견 없음이었다. 한편 스위스 정부는 동일한 주민들에게 시설 입지에 대한 커다란 댓가를 제시하면서 다시 찬반을 질문하였는데 찬성률이 24.6%로 급격히 떨어졌다. 외재적 보상의 제시는 주민들로 하여금 핵폐기물 시설이 위해시설(noxious facility)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결국 시설 입지의 허용이라는 내재적 동기를 크게 축소시킨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4. 평가

  동기부여 구축·강화이론은 합리적 인간을 가정하는 경제학적 동기부여이론을 보완하는 것으로 Frey(1997), Frey and Oberholzer-Gee(1997) 및 Frey and Jegen(2001)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합리적 인간의 가정에 근거한 경제학적 동기부여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경제적 보상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외재적 보상과 업무수행 동기는 정(+)의 관계를 지닌다. 즉, 합리적 개인은 외재적 보상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업무를 수행하고 성과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하지만 동기부여 구축이론은 경제적 합리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인식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개인의 업무수행 동기는 경제적 보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따라 감소할 수도 있고 증가할 수도 있음을 인정한다. 개인의 업무수행 동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심리적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이론은 경제적 합리성 가정과 개인의 심리적 인식을 통합하는 이론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행정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