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Humanities/인물, 사람 People

독립운동가 심남일 의병장

Jobs 9 2020. 9. 22. 07:16
반응형

금정 국사봉 의병본부는 ‘호남의소’ 사령부였다. 그리고 ‘호남의소’의 핵심은 ‘영암 의병’이었다. 이곳을 거점으로 남평·능주·보성·강진·장흥·해남·나주·무안 등 전남 중·남부지역을 호남 의병들이 장악하였다. 사진은 일본의 ‘남한폭도대토벌작전’에 체포되어 대구 감옥에 갇혀 있던 호남 의병장들의 모습이다. 앞줄 왼쪽부터 송병운, 오성술, 이강산, 모천년, 강무경, 이영준, 뒷줄 왼쪽부터 황장일, 김원국, 양진여, 심남일, 조규문, 안규홍, 김병철, 강사문, 박사화, 나성화.

심남일은 1871년 2월 10일(음력) 전남 함평군 월야면 정산리 새터(咸平郡 月也面 新基)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학문을 닦아 사서삼경에 능통하였고, 향리에서 면장(面長)·향교장의(鄕校掌議)·도의사(道議事) 등을 역임하고 또 서당의 훈장으로서도 재직한 바 있는 향반(鄕班)이었다. 노일전쟁 후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 되고, 1905년 11월 을사조약이 늑결되자 통분을 금할 길 없어 거의할 것을 결심하였다. 그는 의병장 김 준(金準·金泰元)의 아우 율(聿)의 부장이 되어 장성(長城)·영광(靈光)·함평(咸平)·남원(南原)·보성(寶城)·장흥(長興) 등지에서 일군과 항전하여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김 율이 전사하자 스스로 대장이 되어 군율을 엄히 하고 진용을 재정비하였다. 이때 그의 예하 장병과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봉장 강무경(姜武景)·임만선(任萬善)·장인보(張仁甫) 중군장 안찬재(安贊在)·박사화(朴士化) 후군장 노병우(盧炳友)·나성화(羅聖化)·최우평(崔友平)·김성재(金聖載) 도통장 김도숙(金道淑) 통 장 유치선(柳致先)·공진숙(孔盡淑) 군량장 이세창(李世昌) 호군장 강달주(姜達周)·정관오(鄭官午) 기군장 장문연(張文然)·이덕삼(李德三) 서기겸모사 염원숙(廉元淑) 도 포 장경선(張京先)·김판옥(金判玉)·선도명(宣道明) 도집사 최유승(崔有承) 모 사 권 택(權澤)·정영태(鄭榮兌) 그리고 향리에서 도학으로 명성을 떨쳤기 때문에 규율을 엄히 하고 민폐를 적게 하기 위하여 민가의 재물을 약탈하거나, 무단 내정돌입과 부녀자를 겁간하든지, 가축을 희생시키는 일 등에 대하여 엄히 처단할 것을 공포하였다. 1907년 11월 1일 함평군 신광면(新光面)에서 기치를 올려 의병을 모집·훈련하기 시작하여 1908년 2월 13일 남평(南平)으로 행군하면서 적과의 접전을 감행하였다. 그의 첫 접전은 3월 7일 강진면 오치동(吾治洞)에서 있었다. 적병 수백 명을 맞아 아침 6시부터 밤 10시경까지의 교전 끝에 수십 명을 살상하고 무기를 다수 노획하여 의병들의 사기는 하늘을 찌를 듯하였다. 이어서 4월 15일 장흥(長興)·곽암(藿岩)에서 적 3명을 사살하고, 6월 19일 남평 장담원(長淡院) 전투에서 적 5명을 베고, 6월 25일 능주 노구두(綾州 老狗頭)에서 적 5명을 베고 말 2필과 무기를 노획하였다. 7월 30일 영암 사촌(靈岩 沙村) 전투에서 적 10여 명을 죽이고, 8월 1일 나주 반치(羅州 盤峙)에서, 9월 20일 장흥 신풍(長興 新豊)에서, 10월 9일 해남 성내(海南 城內)에서, 10월 27일 능주 돌정(石亭) 등지에서 모두 백여 급을 살상하였다. 이와 같은 전투에서 큰 성과를 올렸으나 불행하게도 심남일과 선봉장 강무경이 병석에 눕게 되었다. 그리고 다음해 봄까지 접전일기에 기록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기간동안 추위와 병고로 인하여 은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듬해인 1909년 3월 다시 격렬한 교전을 재개하였다. 3월 8일 대장 서리 강현수(姜鉉秀)·박봉주(朴奉柱)·박채홍(朴彩洪)이 나주 월교리(月橋里)에 유진하였다가 밤에 남평 운삼동(雲三洞)에 집합하여 선동(船洞)으로 옮기는데, 탐마대(探馬隊)로부터 적이 내습한다는 정보를 얻었다. 심남일은 미리 의병을 요소 요소에 매복시켰다가 적 5명을 사살하자 적은 영산포(榮山浦)로 달아났다. 이에 보다 적극적인 전투를 전개해야 할 것을 계획하고 한편으로 영산포의 적을 격동시키면서 인근의 의병 부대에 통기하여 연합 작전을 꾀하였다. 이 때 수북(水北)의 전수용(全垂鏞)·이대국(李大局)·오인수(吳仁洙), 산동(山東)의 안규홍(安圭洪)·김여회(金如會)·유춘신(柳春信) 등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중에 특히 안규홍과는 끝까지 유기적 관계를 맺게 되었다. 심남일은 전군을 5부대로 나누어서 동쪽 대치(大峙), 대항봉(大巷峯), 월임치(月任峙), 덕룡산(德龍山) 꼭대기, 병암치(屛岩峙)에 각기 매복시켜서 적의 내습에 대비하였다. 다음날 새벽부터 능주·광주·나주·남평·영암으로부터 내습해 온 적병과 접전하여 적 70여 명을 사로잡고 수십 명을 사살하였다. 아군의 희생도 적지 않았으며, 본진의 총독 박기춘(朴基春)·좌익장 박여홍(朴汝洪)·우익장 박태환(朴泰煥)이 전사하였다. 11일, 계속하여 적의 내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능주 풍치(風峙)의 좌우에 잠복하고 대기하고 있는데 이웃 12고을의 적병 4백여 명의 포위 공격을 받아 백여 명을 죽였는데도 적병은 물러가지 않았다. 세부득이하여 징을 쳐서 전병을 불러들여 두문(杜門) 북쪽으로 후퇴하였다. 이 전투에서 그의 신출귀몰한 전략에 대해 다음과 같은 동요가 생겨났다고 한다.

“남일이 용마를 타고 산밖으로 솟아오르면 현수는 풍운을 조화하여 공중으로 날아오른다.”

(南一乘龍馬 而聳出於山外 鉉秀風雲造化 飛上空中)

4월 2일에는 장흥 우산(牛山)에 주둔하고 있었다. 그곳은 능주 헌병이 매달 5차례씩 20여 명이 장흥을 통과하는 곳이었다. 이날 강현수가 의병 20명을 거느리고 매복하고 있다가 포를 터트려 적 8명을 사살하자 나머지는 모두 도망해 달아났다. 그래서 대포 2개와 다수의 무기를 포획할 수 있었다. 5월 12일 보성 천동(泉洞)에 주둔하고 보성의 창의장 안규홍과 석호산(石虎山)에서 만나 연합 작전을 계획하였다. 작전수행을 위해 중군장 안찬재(安贊在)와 통장 김도숙에게 군량을 백 리 밖에서 운반해 오도록 하고, 후군장 김성재(金聖載)와 호군장 강달주(姜達周)에게 군사들을 잘 먹이게 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추게 하였다. 보성의 왜장이 산상에 올린 의병의 깃발을 보고 50명 군사를 거느리고 내침해 오자 이들과 격전하여 적 5명을 사살하였다.

그 후 안규홍과 장래의 전략을 기획할 때 이세창(李世昌)이 적은 군사로 많은 적을 감당하지 못하는 것은 정한 이치이니 남·북도의 의병이 합세하여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모두 그 말을 옳게 여겨 각지의 의병 부대와 연락하여 연합 전선을 구축하여 가던 중 의병을 해산하라는 황제의 조칙이 내려지게 되었다. 협박에 못 이겨 내려진 조칙인 줄 번연히 알면서도 1909년 7월 21일 영망군 금마면 고인동(金磨面 古引洞)에서 자진 해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그는 다음과 같은 감회를 표한 바 있다.

“쓸쓸히 장수랑 군사들은 눈물로 이별 짓고

고인산을 떠남에 말조차 더디구나.

왜적을 없앨 날이 언젠가 있으리니

지난 3년 맹서한 일 부디 잊지 마세.”

(秋風將卒泣相離 古引山前馬去遲 一掃腥塵終有一 草違三載死生期)

의병을 해산한 후 심남일은 강무경과 함께 능주로 잠행하여 전의 전투지였던 풍치의 바위굴 안에서 신병을 치료하던 중 10월 9일(음 8월 26일) 이를 탐지한 일군에게 체포되었다. 9월 2일 광주로 이송되었다가 12월 15일에 대구 감옥으로 이감되었다. 두 곳의 감옥에서 ’10월 20일 광주 담판’과 ’12월 15일 담판’, 그리고 ‘대구 담판’ 등의 글을 남겨 놓고 있다. 이 때 심남일은, “제 나라를 위한 것도 죄가 될진대 남의 나라를 빼앗은 것은 무슨 죄에 해당하느냐 대장부가 비록 너희에게 사로잡혔지만 쥐같은 네놈들과는 옳다 그르다 따지고 싶지 않다.”고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끝까지 일제에 굴하지 않고 그들의 불의를 질책한 후 마지막으로 고국 산천에 그의 단심(丹心)을 터트리는 다음과 같은 시를 읊고, 1910년 7월 23일 대구 감옥에서 교수형을 받고 39세를 일기로 순국하였다.

“해같이 밝고 달같이 밝던 이 강산,

홀연히 성진에 덮여 앞길 캄캄한데

미처 맑은 날 맞이 못한 채 지하로 돌아가니

멍든 피 푸르러 천 년은 가리.”

(文明日月比江山 忽入腥塵晻曖問 未覩一晴歸地下 千秋化碧血痕班)

그의 부하 중 권영회(權寧會)는 1909년 7월 교수형을 언도받았으며, 김치홍(金致洪)은 그해 10월에, 이세창은 9월에 교수형을 언도받고 모두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