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담화(談話, Discourse), 발화 + 장면 + 상황, 내용 통일성, 형식 응집성

Jobs 9 2021. 11. 1. 10:52
반응형

화용론(話用論, Pragmatics)

담화론(談話論), 대화를 분석한다.

화자, 청자, 시간, 장소 따위로 구성되는 맥락과 관련하여 문장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

 

 

담화

 

1. 담화 개요

 

담화(談話, Discourse) : 발화 + 장면 + 상황

둘 이상의 문장이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말의 단위.

- 단순히 말소리가 이어져 한 문장을 이룬 것을 우리는 발화라고 하는데, 이 발화가 단순히 죽 이어진 것은 담화가 아니다.

담화는 발화에 장면과 상황 맥락이 결합되어 하나의 덩어리가 유기적인 통일체를 이룬 것이다.

- 담화는 음성언어뿐만 아니라 문자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념이다

- 담화는 음운 - 형태 - 통사 - 담화로 이어지는 언어 단위 중 가장 큰 단위이다.

 

2. 담화 4요소

화자 이야기를 하는 사람 구어의 특성상 화자가 청자가 되고 청자가 화자가 된다.
이것을 달리말해 '화자와 청자를 엄격히 구분하기 어렵다'고 한다.
청자 이야기를 듣는 사람
발화 화자와 청자가 주고받는 언어 행위 텍스트에 해당한다.
장면 • 담화가 이뤄지는 동일한 시공간적 상황
• 담화가 발생하는 상황 맥락
담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담화 특징

 

1) 내용 통일성 (― 統一性)

- 글의 내용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통일적으로 연결되는 관계

- 화자와 청자가 하나의 화제를 공유하고 그에 대해 발화해야만 담화가 성립된다.

 

2) 형식 응집성 (― 凝集性)

- 글의 형식이 주제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관계

- 여러 가지 담화 표현이나 담화 표지를 사용해서 시간과 논리의 흐름에 맞게 발화해야 한다.

​ 

반응형

4. 담화 표현, 담화 표지

지시 표현 •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기능을 하는 표현
• 시간과 공간, 사물과 사람을 가리킨다.
• 지시대명사 : 이것, 저것, 그것, 여기, 저기, 거기 등
• 인칭대명사 : 나, 너, 그, 그녀, 이이, 저이, 그이
• 지시관형사 : 이, 그, 저, 어느 등
• 지시부사 : 이리, 그리, 이렇게, 그렇게 등
• 시간 : 어제, 오늘, 내일, 그제, 모래, 이번, 다음번, 저번 등
• 공간 : 앞, 뒤, 위, 아래, 옆, 오른쪽, 왼쪽, 건너편 등
접속 표현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표현 • 접속부사 : 그리고, 그래서, 그러나 등
• 접속조사 : 와/과, (이)랑, 서껀 등
• 대등적 연결어미 : -고, -며, -나 등
대응 표현 앞서 제시된 말을 대신해서 사용하는 표현 • 인칭대명사 : 나, 너, 그, 그녀
• 재귀대명사 : 자기, 당신
• 대동사/대형용사 : 그러하다, 그리하다
• 지시표현을 다시 사용함
관용 표현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
• 속담 : 언발에 오줌누기, 쇠귀에 경읽기, 목구멍이 포도청 등
• 관용어 : 발이 넓다, 손이 크다, 눈이 높다, 코가 삐뚤어지다 등
• 격언 : 시간은 금이다,
높임 표현 경어법이 발화에서 실현된 것으로,
상대나 대상을 높이고 낮춤으로서
상대와 나와의 친밀도와 관계를 표현한다.
• 격조사 : 께서, 께
• 어미 : -시-
• 어휘 : 여쭈다, 뵙다, 모시다, 계시다, 식사, 말씀, 병환, 약주
생략 표현 서로 맥락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대화상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 세미 : 그거 어디있어?
지나 : 몰라, 저기 있나 봐 봐.
윤진 : 어떤 게 어디에 있다는 걸 말하는 거야?
심리적 태도 발생한 상황은 같지만
화자가 받아들이는 심리적 태도에 따라
발화에 담긴 서법과 양태를 달리한다.
• 지선 : 야 박정선, 냉장고에 하겐다즈 못 봤어? (단순한 행방)
: 야, 냉장고에 하겐다즈 니가 먹었어? (짐작, 확인)
: 야, 냉장고에 하겐다즈 니가 먹었지? (추궁, 확신)
담화 표지 문장의 내용에는 간여하지 않으면서
발화 의도나 심리적 태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군말, 입버릇, 덧말 등으로 다양한 언어형식으로 나타난다.
• 정선 : , 언니 우리 배고프니까 치킨 시켜먹을까?
• 지선 : 음.... 나 다이어트 중인데. 아니다 먹자.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