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개념
유개념‧종개념 (대소관계) |
유개념 | 상위개념. 포섭하는 개념 | 생물 > 동물 |
종개념 | 하위개념. 포섭되는 개념 | 생물 > 동물 | |
동위개념 | 상위개념이 동일 | 생물 > 동물‧식물 | |
동류개념 | 상위개념이 동일(=동위개념) | 동물 : 식물 | |
이류개념 | 상위개념이 다름 | 학생 : 풀 | |
집합개념 | 전체개념 | 학교 | |
개체개념 | 집합개념을 구성 | 학생, 교사, 강의실, 직원 | |
선언(選言)개념 | 외연이 분리 | 동물 : 식물 | |
교차개념 | 외연이 중첩 | 여성 : 근로자 | |
절대개념 | 다른 개념 고려(x) | 풀 : 책상 | |
상관개념 | 다른 개념 고려 → 이해 증진 | 조부 : 손자 | |
모순개념 | 상반, 다른 외연 개입(x) | 남자 : 여자 | |
반대개념 | 상반, 다른 외연 개입(0) | 흰색 (회색) 검정색 |
● 명제
구성 | 정의 | - ‘판단’의 표현 - 주어‧서술어의 문장형식으로 표현 |
||||||
형식 | A는 B이다 / A는 B가 아니다 | |||||||
구성 | 주개념(주사) | 명제의 주어. A | ||||||
빈개념(빈사) | 명제의 서술어(보어). B | |||||||
계사(계소) | 매개어 ‘이다’, ‘아니다’ | |||||||
‧꽃은 식물 이다. ‧돌은 식물이 아니다. ‧꽃은 아름답다. → 꽃은 아름다운 것 이다. 주개념 빈개념 계사 |
||||||||
종류 | 주어의 외연 범위에 따라 |
주연(周延) | 부주연(不周延) | |||||
개념 | 주어(S)의 외연 → 부류 전체 | 주어(S)의 외연 → 일부 한정 | ||||||
명제 | 전칭(全稱)명제 | 특칭(特稱)명제 | ||||||
ex) | 전칭긍정 | (모든 S는 P이다) ‧모든 사람은 이성적이다 |
특칭긍정 | (어떤 S는 P이다) ‧어떤 새는 가축이다 |
||||
전칭부정 | (모든 S는 P가 아니다) ‧어느 고래도 물고기가 아니다 |
특칭부정 | (어떤 S는 P가 아니다) ‧일부 사람은 양심적이 아니다 |
|||||
주어 - 빈개념 관계에 따라 |
단정적 확정 | 가정적 조건 | 선택적 결합 | |||||
명제 | 정언(定言)명제 | 가언(假言)명제 | 선언(選言)명제 | |||||
ex) | ‧모든 동물은 죽는다 | ‧만일 비가 온다면 땅이 젖을 것이다 | ‧그는 남자이거나 여자이다 |
● 귀납 추론
(결론의 확실성X)
전제 : 여러 개별적 사실 |
⇓
결론 : 일반적 원리 ← 공통점 |
완전 귀납 추론 | 전체 집합을 검증 (불가능) | |
통계적 귀납 추론 | 대표성 있는 몇 가지 | ┌ 히틀러 → 독재자 → 많은 사람을 처형 ├ 스탈린 → 독재자 → 많은 사람을 처형 └ 차우세스쿠 →독재자 →많은 사람을 처형 => 독재자 → 많은 사람을 처형 |
☆ 오류 | 편의 통계상의 오류 (대표성 X) | ‧여론조사 → 수능 폐지 76% ⇏ 전 국민 → 수능폐지 찬성 |
인과적 귀납 추론 | 개별 사건의 인과 관계 → 동종의 다른 대상에 확대 적용 |
┌ 철 → 가열 → 체적 팽창 ├ 구리 →가열 →체적 팽창 └ 납 → 가열 →체적 팽창 => 모든 금속 →가열 →체적 팽창 |
☆ 오류 | 잘못된 인과관계의 오류 | ‘건전한 정신은 건전한 육체에서 비롯된다’ → 신체가 건강해야 정신이 건강하다 (X) - '건강한 신체': '건전한 정신'의 일 조건(o), 원인(X) |
유비추리 | 결론과 밀접한 관련있는 속성 동일 → 확대 적용 |
┌ 지구 →공기‧물‧흙‧햇빛 → 생물 └ 화성 →공기‧물‧흙‧햇빛 ⇒ 화성 → 생물 |
☆ 오류 | 잘못된 유비추리: 전제된 속성 → 결론과 결정적‧밀접한 관련(X) |
달 →자전‧공전‧둥근 모양 ← 지구 => 달 → 생명 (?) |
● 연역 추론
(결론의 확실성O)
전제 : 이미 검증된 참인 명제 (원리, 법칙) |
⇓
결론 : 특수 명제 (개별적 사실) |
직접 추론 (하나의 전제 → 결론) |
대소 관계 | ‧모든 학문의 목적은 진리탐구에 있다 → 어떤 학문의 목적은 진리탐구에 있다 |
||||
명제 변형 | 환질(換質) | ‘계사’의 질(긍정‧부정)을 바꿈 (‘이다’ ↔ ‘아니다’) |
‧모든 석탄은 무기물이다 → 모든 석탄은 유기물이 아니다 |
|||
환위(換位) | ‘주사’ ↔ ‘빈사’ 바꿈 | ‧일부 화가는 청년이다 → 일부 청년은 화가이다 |
||||
☆ 오류 | 순환논증 | 없는 전제 → 결론 | ‧성서의 내용은 모두 진리이다 ← 성서에 보면 모두 진리라고 써있다. |
|||
비정합성 | 모순된 전제 → 결론 | ‧모든 천재는 부지런하다 (X) → 모든 부지런한 사람은 천재이다 |
||||
간접 추론 (2이상의 전제 → 결론) |
삼단논법 | 정언(定言) | [대전제] → 정언(定言)명제 | |||
[대] 매개념(M) + 대개념(P) [소] 소개념(S) + 매개념(M) [결] 소개념(S) + 대개념(P) |
||||||
[대] 모든 인간은 자유를 원한다 [소] 우리는 인간이다 [결] 우리는 자유를 원한다 |
||||||
☆ 오류 | 매개념(媒槪念) 부주연(不周延) |
매개념(M)은 적어도 한번은 주연(周延;부류전체지칭)되어야 함 | ||||
[대] 일부 한국 청년은 군인이 된다 [소]김씨는 한국 청년(중 한명)이다 [결]김씨는 군인이 된다 (X) |
||||||
소개념(小槪念) 부당주연(不當周延) |
대‧소전제에서 부주연(不周延) ↛ 결론에서 주연(周延) | |||||
[대] 모든 군인은 책임감이 강하다 [소] 모든 군인은 사람이다 ( → 일부 사람은 군인이다 ) [결] 모든 사람은 책임감이 강하다 (X) |
||||||
가언(假言) | [대전제] → 가언(假言)명제 | |||||
[대] if A → B (if ~B → ~A) [소] A / ~B ↓ ↓ [결] B / ~A |
||||||
[대] 비가 오면 땅이 젖는다 [소] 비가 왔다 / 땅이 젖지 않았다 [결] 땅이 젖었을 것이다 / 비가 오지 않았을 것이다 |
||||||
☆ 오류 | (결론의 확실성 X) | 전건부정 | ~A → ~B 비가 오지 않았다 → 땅이 젖지 않았을 것이다 |
|||
후건긍정 | B → A 땅이 젖었다 → 비가 왔을 것이다 |
|||||
선언(選言) | [대전제] → 선언(選言)명제 | |||||
[대] A or B [소] ~A / ~B ↓ ↓ [결] B A |
||||||
[대] 내일은 틀림없이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릴 것이다 (A or B) [소] 그런데 비는 오지 않을 것이다 (~A) [결] 따라서 내일은 눈이 내릴 것이다 (B) |
||||||
☆ 오류 | 선언지 중첩 교차개념(交叉槪念) |
‧송강 정철은 정치가이거나 문인이다 (A or B) 그는 정치가이다 (A) → 따라서 그는 문인이 아니다 (~B) |
||||
양도논법 | 딜레마논법 | [대전제] → 2개의 가언(假言)명제 | ||||
[대] ┌ A → B → D └ ~A → C → D [소] A or ~A [결] 항상 D |
||||||
[대] ┌ 비가 오면 큰 아들 미투리가 안 팔려서 걱정이다 (A → B → D) └ 비가 오지 않으면 작은 아들 나막신이 팔리지 않아서 걱정이다 (~A → C → D) [소] 비가 오거나 비가 오지 않을 것이다 (A or ~A) [결] 그러므로 항상 걱정이다 |
||||||
☆ 오류 | 거짓 딜레마(궤변(詭辯)) | |||||
[대] ┌ A → B → D └ ~A → C ↛ D [소] A or ~A ↓ ↓ [결] D D(X) |
||||||
[대] ┌ 네가 거짓말을 한다면 신께서 너를 미워할 것이다 (A → B → D) └ 네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너를 미워할 것이다 (X) (~A → C ↛ D) [소] 너는 거짓말을 하거나 하지 않을 것이다 (A or ~A) [결] 그러므로 너는 어떤 경우든 미움받을 것이다 (X) |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