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타 코드에서 '6'과 '7'은 각각 6도음과 7도음을 의미하며, 이는 기본적으로 3화음(트라이어드)에 6도음 또는 7도음을 추가하여 화음을 풍성하게 만들거나, 특정 음색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
6도음 (6th):
3화음(트라이어드)에 6도음을 추가하면 '6th 코드'가. 6th 코드는 3화음에 6도음을 더해 화음을 풍성하게 만들거나, 특정 음색을 표현할 때 사용
7도음 (7th):
3화음에 7도음을 추가하면 '7th 코드'. 7th 코드는 3화음에 7도음을 더해 화음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거나, 불안정한 음색을 표현할 때 사용
종류
메이저 7th (maj7): 장3화음에 장7도음을 더한 코드.
마이너 7th (m7): 단3화음에 단7도음을 더한 코드.
세븐 코드는 재즈 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코드 중 하나
예시
C 메이저 코드(C, E, G)에 6도음(A)을 추가하면 C6 코드
C 메이저 코드(C, E, G)에 7도음(B)을 추가하면 C7 코드
기타 코드 표기법:
기타 코드 표기법에서, '6'은 6도음을, '7'은 7도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maj7은 C 메이저 7th 코드를 의미
6th, 7th코드
앞장에서 3화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3화음을 기초로 또 다른 높이의 음을 부가하여 다른 형태의 코드를 만들어 음악에 적용할 수 있는데 여러 코드 형태 중에 기본적으로 음악에 많이 적용되는 6th, 7th 코드에 대하여 알아 보겠다. 6th, 7th의 코드는 앞장에서 배운 기본 3화음에 루트 음을 기준으로 제 6음과 7음을 부가한 코드 형태이다. |
< 6th 코드 >
6th 코드는 3화음의 Root로부터 장6도 위의 음을 부가하여 이루어진 코드로 메이저와 마이너의 3화음에만 부가하여 사용하는 코드 형태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아래 예제들은 C메이저 코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C메이저 코드 외에도 11개의 또 다른 형태의 코드가 같이 존재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공부를 해야 한다. |
< 7th 코드 >
3화음의 root로부터 7도 위의 음을(장, 단, 감7도) 부가시켜 이루어진 코드를 7th 코드라 하고, 7th음은 3화음 5th로부터 3도 위의 음이며, 7th 코드는 3도씩 4개 음을 겹쳐 구성된 코드가 된다. 메이저, 마이너, 디미니쉬, 오그멘트의 4가지 3화음에 각각의 5th위에 장3도나 단3도를 겹쳐 만들면 모두 8종류의 7th의 코드를 만들 수 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