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종근 중장
육군특수전사령관
陸軍特殊戰司令官
Army Special Warfare Commander
육군 중장 곽종근 (제32대)
취임일
2023년 11월 8일
임관
육사 47기
육군특수전사령부령
제2조(사령관등의 임명) ① 사령부에 사령관 및 참모장을 둔다.
② 사령관 및 참모장은 육군의 장성급(將星級)장교로 보한다.
③ 전시에는 사령부에 부사령관을 두되, 육군의 장성급장교로 보한다.
육군특수전사령부의 지휘관으로 중장이 보임된다.
수도권에 위치한 사령부급 특수부대라는 특징으로 인해 국군방첩사령관(舊 국군기무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과 함께 상당한 요직으로 꼽히는 보직이다.[ 과거에는 특수전사령관을 역임한 후 대장으로 진급하여 3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하는게 군 내 최고의 엘리트 코스로 꼽혀왔을 정도. 군 내 최고 실세로 꼽혀왔던 기무사령관이 민간인 사찰, 정치공작 등의 문제로 종종 갈려나간 인원들이 여럿인것과 대비되어 특전사령관 자리는 임기 중에 사고만 치지 않으면 대장진급은 거의 확정이나 다름없었고 대장 진급 후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 사람만 해도 5명이나 된다. 허나 최근에는 철책선과의 거리가 중시되어 제1군단장과 제3군단장, 제5군단장 등 전방 군단장에 비해 진급률이 한참 밀린다. 이는 수방사령관도 마찬가지이며 국군방첩사령관은 원래 대장 진급자가 거의 안 나온다. 그래도 수방사령관과는 달리 특수전사령관은 현재까지 거의 매 정권마다 대장을 1명 이상씩은 내는 보직이다. 어떻게든 1정권 1대장 이상은 찍어내기 때문에 진급률 자체는 매우 좋은 편이다. 심지어 최근 들어서는 대통령이 육군특수전사령관을 황태자로 만들었는데 문재인 정부에서는 남영신을, 윤석열 정부에서는 손식을 각각 자신들의 정부의 황태자로 만들어 여기다 보직시킨 후 최대한 빨리 대장에 진급시켰다. 특히 손식의 경우가 극단적인데 중장으로서 보직이 육군특수전사령관 단 1개에, 그나마도 1년 정도만 역임하고 대장에 올라, 소장에서 대장까지 거짓말 수준으로 엄청나게 빨리 진급했다. 특수전사령관에서 대장이 나오지 않은 정권은 박정희 정부, 최규하 정부 등 특전사 초창기와 김영삼 정부의 하나회 숙청 시기가 전부이다.
이 보직은 원래 소장 계급 N차 보직이었으나, 전두환이 대통령이 되면서 같은 소장 계급 N차 보직이던 수도방위사령관과 같이 중장 1차 보직으로 승격되었다.
군부정권 시절의 병폐가 아직도 많이 남아 육사 우대가 심한 대한민국 육군에서 육군참모총장, 육군사관학교 교장과 더불어 오직 육군사관학교 출신만 임명해왔던 보직이었으나 학군 23기인 남영신 3사단장이 임명되면서 옛말이 되었다. 남영신 이후에도 학사장교 11기 출신인 소영민 31사단장이 임명되며 관행은 완전히 깨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다른 중장 지휘관 최고 요직인 1군단장이나 5군단장은 여전히 육사 출신의 성역이다.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관역할을 겸임으로 수행하는 보직이다.
다만 약간의 논란도 있는 부분은 특수전사령부 예하 모든 여단 및 단을 지휘하는 사령관이 특전장교가 아닌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특수전사령부를 지휘하려면 적어도 특수전 초급 교육을 수료한 인원이 사령관이 되어야 하지 않냐는 논란도 있긴 하지만 현재는 특수전 교육을 수료하지 않은 알보병 중장들이 보직을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나마 비육사 출신 사령관들인 남영신과 소영민이 특전맨에 가깝고, 그에 비해 손식은 완벽한 알보병이다. 2024년 현재 특전사령관인 곽종근도 소령부터 소장때까지 지역대장이나 특전대대장, 특전여단장 보직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사실 이 문제는 특전여단장에서도 마찬가지인데, 특전맨보단 알보병이 은근 많이 보인다. 애초에 장교가 특전사에 오래 근무하는 게 진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특전맨 출신 고위직이 적다. 반면 보병의 경우, 대장 진급에 특전사 복무기간이 어느 정도 감안되기 때문에 특전사에서 복무하지 않았던 장성들이 특전사령관으로 오는 경우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역대 육군특수전사령관
역대
|
성명
|
임 관
|
최종 계급
|
임 기
|
비 고
|
||||
1
|
조문환
|
육사 7기
|
1969년 8월 18일 ~ 1972년 6월 12일
|
|
2
|
조천성
|
육사 8기
|
1972년 6월 12일 ~ 1974년 12월 10일
|
|
3
|
육사 9기
|
소장
|
1974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3일
|
|
4
|
육사 11기
|
1979년 12월 13일 ~ 1981년 3월 4일
|
||
하나회,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가담, 제50사단장, 25대 육군참모총장, 25대 국방부 장관, 13·14대 국회의원 역임
|
||||
5
|
육사 12기
|
대장
|
1981년 3월 4일 ~ 1982년 11월 10일
|
|
6
|
최웅
|
육사 12기
|
중장
|
1982년 11월 10일 ~ 1984년 7월 4일
|
하나회, 12.12 군사반란 가담 의혹,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투입된 11공수특전여단장. 주 파키스탄 대사, 주 폴란드 대사 역임
"우리는 마치 반란군인 것처럼 매도당했다. 우리 군인들은 명령을 받고 행동했으며, 계엄령을 준수하지 않은 위반자들이 흐트러뜨린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간 것이다" |
||||
7
|
육완식
|
육사 13기
|
중장
|
1984년 7월 4일 ~ 1987년 1월 15일
|
국가안전기획부 본부장 역임
|
||||
8
|
육사 15기
|
중장
|
1987년 1월 15일 ~ 1988년 6월 30일
|
|
하나회,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특전사령관 시절에 유혈사태가 하마터면 날뻔 했는데 강제예편을 각오하고 군무력진압을 반대하면서 629선언에 가장 큰 공을 세웠다.
|
||||
9
|
육사 17기
|
대장
|
1988년 6월 30일 ~ 1989년 12월 28일
|
|
하나회, 제1야전군사령관, 26대 총무처 장관 역임
|
||||
10
|
육사 19기
|
중장
|
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2월 31일
|
|
하나회, 29대 기무사령관 역임
|
||||
11
|
김형선
|
육사 19기
|
중장
|
1991년 12월 31일 ~ 1993년 4월 2일
|
12
|
장창규
|
육사 21기
|
중장
|
1993년 4월 2일 ~ 1995년 4월 17일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13
|
정영무
|
육사 22기
|
대장
|
1995년 4월 17일 ~ 1997년 4월 24일
|
제13대 한미연합부사령관, 국방개혁위원장 역임
|
||||
14
|
오남영
|
육사 24기
|
중장
|
1997년 4월 24일 ~ 1998년 11월 2일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15
|
김희중
|
육사 25기
|
중장
|
1998년 11월 2일 ~ 2000년 4월 27일
|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
||||
16
|
류해근
|
육사 26기
|
중장
|
2000년 4월 27일 ~ 2002년 4월 8일
|
교육사령관 역임. 2018년 1월 25일 별세.
|
||||
17
|
김윤석
|
육사 27기
|
중장
|
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 29일
|
국군체육부대장, 52사단장 역임. 전역식에서 고공낙하 시범으로 화제가 되었다.
|
||||
18
|
육사 29기
|
대장
|
2004년 5월 29일 ~ 2005년 11월 3일
|
|
19
|
김진훈
|
육사 30기
|
중장
|
2005년 11월 3일 ~ 2007년 10월 30일
|
건군 60주년 기념사업단 단장, 2대 군인공제회 이사장
|
||||
20
|
육사 32기
|
대장
|
2007년 10월 30일 ~ 2009년 4월 22일
|
|
21
|
최용림
|
육사 33기
|
중장
|
2009년 4월 22일 ~ 2010년 12월 27일
|
국방부 특별검열단 단장, 육군사관학교 초빙교수, 2018년5월16일 별세
|
||||
22
|
육사 35기
|
대장
|
2010년 12월 27일 ~ 2011년 11월 16일
|
|
제1보병사단장, 38대 제1야전군사령관 역임. 청주대학교 군사학과 객원교수, 1군사령관 재직 당시 군사대비태세 기간 작전지역 이탈, 음주로 인한 품위손상을 일으켜 책임지고 전역식없이 자진전역했다.
|
||||
23
|
육사 36기
|
중장
|
2011년 11월 16일 ~ 2012년 3월 10일
|
|
대리
|
윤광섭
|
육사 34기
|
소장
|
2012년 3월 10일 ~ 2012년 4월 30일
|
최익봉 사령관 보직해임으로 인한 사령관 직무대리, 전역 후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 본부장' 역임
|
||||
24
|
육사 36기
|
대장
|
2012년 4월 30일 ~ 2013년 10월 31일
|
|
제21보병사단장, 39대 제1야전군사령관. 신현돈 사령관 전역으로 제1야전군부사령관 시절 사령관 직무대리. 제46대 육군참모총장 역임. 제21보병사단장 시절에는 그야말로 레전드였는데 고딩들이 휘하병사들을 폭행하자 이순진 당시 2사단장과 함께 외박통제, 휴가시 춘천, 인제 픽업으로 친히 응징하면서 수많은 군필 네티즌들의 환호를 받았다. 관운은 김관진도 울고갈 정도로 타고났다고(...)
|
||||
25
|
육사 37기
|
중장
|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4일
|
|
제27보병사단장,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차장·부참모장 역임. 2013년 10월 중장 진급과 함께 특수전사령관 임명. 현역 장성 최다 훈장 수훈자. 그러나 제13공수특전여단 훈련사망사고로 인해 커리어에 심각한 손상을 입어 대장 진급이 막힘. 제1야전군 부사령관을 거쳐 2016년 7월 전역.
|
||||
26
|
육사 39기
|
중장
|
2015년 4월 14일 ~ 2016년 10월
|
|
27
|
육사 41기
|
중장
|
2016년 10월 ~ 2017년 9월
|
|
알자회 출신,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였다.
|
||||
28
|
학군 23기
|
대장
|
2017년 9월 ~ 2018년 8월
|
|
대리
|
육사 40기
|
소장
|
2018년 8월 ~ 2018년 11월
|
|
1군단 화력참모, 수도포병여단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장,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1군사령부 부사령관 등을 역임. 남영신 중장이 기무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사령관 직무대리. 임시지만 특전사에서는 29대 사령관으로 대우했었다. 특전사 경험이 없는 포병출신.
|
||||
29
|
육사 43기
|
중장
|
2018년 11월 ~ 2020년 12월
|
|
육군사관학교장을 끝으로 전역
|
||||
30
|
학사 11기
|
중장
|
2020년 12월 ~ 2022년 12월
|
|
前 사령관
|
||||
31
|
육사 47기
|
대장
|
2022년 12월 ~ 2023년 10월
|
|
前 사령관,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제3보병사단장, 육군본부 계획편제차장
육군지상작전사령관역임 |
||||
대리
|
육사 46기
|
소장
|
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1월 8일
|
|
31
|
육사 47기
|
중장
|
2023년 11월 8일 ~
|
|
現 사령관
|
특전사령관 ‘항명’ 고백…“김용현이 의원들 끌어내라 지시”
“항명인 줄 알지만 따르지 않았다”
곽종근 육군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이 6일 “비상계엄 발령 뒤 김용현 국방장관으로부터 국회 본회의장에 들어가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항명인 줄 알면서도 따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곽 사령관은 이런 사실을 특전사를 항의방문한 김병주·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의 유튜브 라이브방송에서 밝혔다. 곽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 통제와 중앙선관위 경계, 뉴스공장 경계 임무를 받았다”며 “(국회 등에 투입된 부대에는) 실탄은 지급하지 말고 주의해서 작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