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음 중 구석기 시대 유적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경기 연천 전곡리에서는 아슐리안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방대한 석기가 출토되었다.
② 부산 동삼동에서 출토된 조개 가면은 국자 가리비에 사람의 눈과 입 모양으로 구멍을 뚫은 형상으로, 집단의 공동체 의식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③ 충북 제천 점말동굴에서는 사람 얼굴을 새긴 동물의 뼈가 출토되었다.
④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에서는 주먹도끼와 외날찍개가 출토되었다.
【해설】 정답 ②
구석기인의 생활과 문화 - 수렵, 채취생활
․사냥도구 -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요리도구 - 긁개, 밀개
․공작도구 - 새기개
구석기 '금굴흥' 전기 - 금연석 (점)검(도중)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중) 빌점 후기 - (2개의) 흥수똥 달제양 |
신석기 - 신갈빗가덧, 이른덧니를눌러빗자 신석기 유적지-신 고수(는) 암오동(가서) 미궁(에 빠졌다) |
● 구석기 유적지 전기 - 금연석 (점)검(도중) 최초 그늘
금 단양 도담리 금굴유적지
연 경기도 연천 전곡리
석 공주 석장리
검 평남 상원 검은모루동굴
최초 남한최초인골
그늘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 중기 - 굴역심 상승(중) 빌점
굴 웅기 굴포리 서포항
역 평양 역포 대현동
심 강원도 명주 심곡리
상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
승 덕천 승리산
빌 제주 빌레못 동굴
점 제천 점말동굴
● 구석기 후기 - (2개의) 흥수똥 달제양
흥 어린흥수아이
수 단양 수양개
똥 종성 동관진
달 평양 만달리
제 제천창내
양 남양주호평
● 신석기 유적지 - 고수(는) 암오동(가서) 미궁(에 빠졌다)
고 제주도 한경 고산리
수 김해 수가리
암 서울 암사동
오 강원도 양양 오산리
동 부산 동삼동
미 경기하남 미사리
궁 평남 온천 궁산리
● 신갈빗가덧
갈돌, 빗살무늬토기
가락바퀴, 덧무늬토기
● 신석기 토기 - 이른 덧(니를) 눌러(서) 빗(자)
이른 이른민무늬토기
덧 덧무늬토기
눌러 눌러찍기무늬토기
빗 빗살무늬토기
Q 다음은 고구려에 대한 내용이다. (가), (나)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전진에서 불교를 받아들였고, 유학 교육기관으로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공포하였다.
(나)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개로왕을 죽였다.
① 모용황의 공격을 받았다. ③ 북쪽으로 숙신을 정복하였다.
②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 지역에 진출하였다. ④ 신라를 도와 낙동강 유역에서 왜병을 대파하였다.
【해설】 정답 ①
(가)는 소수림왕, (나)는 장수왕이다. ①은 고국원왕, ②와 ③과 ④는 광개토왕대
● 고구려 태고동 미원왕 소개장문 영영보개
태조왕 1C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옥저복속
조계옥
고국천왕 2C 부자상속, 행정적 5부, 진대법(을파소,춘대추납)
고부행진
동천왕 3C 서안평 공격(위 관구검 침입으로 실패)
오 수교, 위 견졔(반)
동안 실패 오수위반
미천왕 4C 낙랑 복속, 서안평 점령, 대방 복속
미랑 안대
고국원왕 4C 전연 침략 수도 함락
(名 : 사유) 평양성 전사(백제 근초고왕 침략)
원통 저년이 하며 전사
소수림왕 4C 태학, 불교, 율령, 전진 수교(백제 견재)
소학교령 전수
광개토대왕 5C 호우명그릇(호우총,경주발견)
내물마립간의 도움 요청
금관가야 타격
왜구격퇴(신라에 고구려군 주둔)
백제 한성침공 아신왕 굴복
요동 만주 정벌
후연, 비려(거란), 숙신(여진) 등
영락 연호, 광개토대왕릉비(임나일본수설 주장)
동예 복속
광호 내 가야금 왜 빽빽 요동만, 후비신 영동
장수왕 5C 평양천도
나제동맹
한성함락(한강유역, 중원고구려비, 개로왕 전사)
혼인동맹(소지왕 동성왕)
경당(지방사립)
장수평 나한혼경
영양왕 6C 양제 침입, 살수대첩 612
신집 5권, 이문진
담징 금당벽화
양양신집 담벽에
보장왕 7C 연개소문
천리장성 완성
안시성(645 욕나와, 양만춘)
보개 천리안
연개소문 사후 7C 고구려 멸망 668
고구려 부훙운동 (검안고,검모잠 안승 고연무)
Q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왕 7년 5월에 왕이 하교하여 문무관료전을 차등 있게 지급하였다. … 왕 9년 정월에 하교하여 중외 관리들의 녹읍을 파하고 세조(歲租)를 차등 있게 지급하는 것을 항식(恒式)으로 삼도록 했다. -『삼국사기』-
① 독서삼품과가 시행되었다.
②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③ 중앙군을 9개의 서당으로 개편하였다.
④ 관직과 주군현의 명칭을 중국식 한자명으로 바꾸었다.
【해설】 정답 ③
밑줄 친 왕은 신문왕이다. ①은 원성왕, ②는 성덕왕, ③은 신문왕, ④는 경덕왕대의 사실이다.
● 신문왕 신문 99달 읽은 흥국이는 관록이 쌓이네
● 경덕왕 녹불시경중태
독서많이시켜 원성, 정전지급해 성덕칭송
Q 삼국 간의 경쟁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백제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백제 의자왕은 신라의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 고구려 광개토대왕은 신라 지역으로 쳐들어온 왜국의 침략을 격퇴하였다.
㈑ 백제는 고구려의 침략으로 말미암아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해설】 정답 ③
백제한자 내영혼 405
장수평 싸이치 427
신나제 내세상 433
공주땅 싸지요 475
부여성 오쌈빡 538
우산국 오일리 512
불교 오리지날 527
수문제 아그패 598
안시성 욕나와 645
신라통일용치유 676
사건 순서대로 나열
㈐: 신라에 침입한 왜군을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격파(400) - ㈑: 장수왕의 남하정책으로 백제의 한성이 함락되고 개로왕이 전사하였다. 이후 문주왕은 수도를 웅진으로 천도하였다.(475) - ㈎: 백제 성왕은 신라와의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554) - ㈏: 의자왕은 신라의 대야성 등 40여성을 함락시켰다.(642)
Q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나라는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그 민인은 토착하여 곡식을 심고 누에치기와 뽕나무를 가꿀 줄 알며 면포를 만든다. 각기 장수(長帥)가 있어 큰 세력을 지닌 이는 스스로 신지(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읍차(邑借)라 한다. -『삼국지』-
①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의 배상을 하게 하였다.
②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를 두었다.
③ 특산물인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을 수출하였다.
④ 파종한 5월과 추수한 10월에는 제의를 행하였다.
【해설】 정답 ④
밑줄 친 나라는 삼한이다. 삼한은 5월과 10월에 제천행사를 거행하였다. ①은 부여, 고구려, ②는 고구려, ③은 동예
부(자)여
사냥 : 수렵 사회 전통 --> 영고 12월
여자 많아 : 투기부인 사형, 순장
동물 많아 : 마가 우가 저가 구가(4출도)
땅보러 점보러 다녀 : 우제점법, 가장 넓은 영토
많은 재산 지켜야 : 형사취수제, 1책12법
옥(저)
옥같은 내 며느리 : 민며느리제
며느리사랑 가족사랑 : 골장제(가족공동묘)
(고)구려~
일해주고 결혼 : 서옥제
늙은 형수 먹여살려 : 형사취수제, 1책12법
도둑질로 먹고살아 : 약탈경제(부경)
뒤가 구려 : 후장
굵은똥 피똥싸 : 극동대혈
(동)예
옷을 갖춰 예지켜 : 방직기술 발달
교육 받아 예의 : 단과반(단궁,과하마,반어피)
마찰 줄이려 경계 분명히 : 책화, 凸철자형,呂여자형 집터
Q 밑줄 친 ‘왕’이 재위했던 시기의 역사적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대가야가 모반하였다. 왕은 이사부로 하여금 그들을 토벌케 하고, 사다함으로 하여금 이사부를 돕게 하였다. … 이사부가 군사를 인솔하고 그 곳에 도착하니, 그들이 일시에 모두 항복하였다. 공로를 평가하는데 사다함이 으뜸이었기에 왕이 좋은 밭과 포로 2백 명을 상으로 주었다.”
①이사부로 하여금 우산국(于山國)을 정벌케 하였다.
②건원(建元)이라는 신라 최초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③개국(開國), 대창(大昌), 홍제(鴻濟)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④김씨 왕위 계승 체제가 확립되었다.
【해설】 정답 ③
제시문은 진흥왕 시기의 대가야 정복에 대한 내용이다.
③개국(開國, 551), 대창(大昌, 568), 홍제(鴻濟, 572) 연호
[오답 확인]
①지증왕에 대한 내용이다.
②법흥왕에 대한 내용이다. ● 법흥왕 밥불왕 불공으로 공복령 금간 양건 병상
④김씨 왕위 형제 세습은 내물왕, 김씨 왕위 부자 세습은 눌지왕 때이다.
● 진(짜) 개대홍 단! 나성북창 대황마
진 진흥왕
개국 대창 홍제
단 단양적성비
나 나.제 동맹결렬
성 성왕전사(백제, 관산성 전투)554
북 북한산비
창 창녕비
대 대가야멸망 562
황 황초령비
마 마운령비
Q 발해에서 일어난 일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장문휴가 당의 산동지방 등주를 공격하였다.
ㄴ. 수도를 중경현덕부에서 북쪽의 상경용천부로 옮겼다.
ㄷ. 당으로부터 ‘발해군왕’에서 ‘발해국왕’으로 봉해졌다.
ㄹ.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① ㄱ→ㄴ→ㄷ→ㄹ ② ㄱ→ㄷ→ㄹ→ㄴ
③ ㄴ→ㄱ→ㄹ→ㄷ ④ ㄱ→ㄷ→ㄴ→ㄹ
【해설】 정답 ①
ㄱ은 무왕 ㄴ은 문왕 755년 ㄷ은 문왕 726년 ㄹ은 선왕 대의 사실이다.
'무인당장 요(기)서' 무왕 대무예 인안 당과대결 장문휴 산둥공격 요서 당과 격돌
'문대 중상 신주자' 문왕 대흠무 대흥보력 중앙조직3성6부 상경천도 신라도 주자감
'선건 해북남서 지방' 선왕 건흥 해동성국 북말갈족복속 남신라국경 서요동진출 지방조직5경16부62주
Q 삼국시대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부여 능산리에서 발견된 백제대향로에는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이 조각되어 백제인의 신선사상을 엿볼 수 있다.
② 삼국 불교의 윤회설은 왕이나 귀족, 노비는 전생의 업보에 의해 타고났다고 보기 때문에 신분 질서를 정당화하는 관념을 제공하였다.
③ 신라 후기 민간사회에서는 주문으로 질병 치료나 자식 출산 등을 기원하는 현실구복적 밀교가 유행하였다.
④ 고구려의 겸익은 인도에서 율장을 가지고 돌아온 계율종의 대표적 승려로 일본 계율종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해설】 정답 ④
백제의 겸익은 529년(성왕 4)에 인도에 다녀와서 (계)율종을 개창하였다
Q 다음 역사적 사건을 발생한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검성이 함락되었다.
㉡ 위만이 고조선의 준왕을 축출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 한(漢)은 고조선 영토에 네 개의 군현을 설치하였다.
㉣ 예(濊)의 남려가 28만여 명의 주민을 이끌고 한(漢)에 투항하였다.
㉤ 고조선이 군대를 보내 요동도위 섭하를 살해하였다.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해설】 정답 ②
㉠ 고조선 멸망은 기원전 108년이다.
㉡ 위만 조선 성립은 기원전 194년이다.
㉢ 한 4군은 고조선 멸망 이후에 설치되었다.
㉣ 예(濊)의 투항과 창해군 설치는 기원전 128년이다.
㉤ 사신 섭하 살해 사건은 기원전 111년이다.
고조선 이천상 세상 BC 2333
철은비싸 BC 4세기 400
위만조선 BC 194
예 투항, 창해군 BC 128
사신 섭하 살해 BC 111
고조선멸망 백팔번뇌 BC 108
한사군
Q (가)와 (나) 사이에 있었던 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고국천왕은 한미한 신분의 을파소를 국상으로 등용하여 소농민을 보호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나)광개토대왕은 왜국의 침략을 받은 신라를 도와 왜병을 낙동강 유역에서 섬멸하였다.
①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고 죽령 일대에서 남양만을 연결하는 선까지 그 판도를 넓혔다.
②전연의 모용황의 침입을 받아 궁궐이 불타고, 남녀 5만여 명이 포로로 잡혀갔다.
③전진을 통해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설립하여 귀족의 자제들에게 유학을 가르쳤다.
④위(魏)의 장수 관구검에 의해 환도성이 함락 당했다.
【해설】 정답 ①
(가) 고구려 고국천왕의 진대법(194년)에 대한 내용으로 2세기의 상황 고부행진
(나)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신라 구원 전쟁(400년)에 대한 내용으로 5세기의 상황
①장수왕의 한성 함락(475)과 남진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나) 광개토대왕 이후의 상황
[보충]
②4세기 고국원왕 시기에 발생한 전연의 침입(342)에 대한 내용
③4세기 소수림왕의 불교 수용(372)과 태학 설립(372)에 대한 내용
④3세기 동천왕 시기(244~245).
Q 다음 자료와 관련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풍속에 장마와 가뭄이 연이어 오곡이 익지 않을 때, 그 때마다 왕에게 허물을 돌려 왕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 라거나 혹은 왕은 마땅히 죽어야 한다. 라고 하였다.
∙ 정월에 지내는 제천 행사는 국중 대회로 날마다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그 이름은 영고라 한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① 쑹화 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서 성장하였다.
② 왕 아래 가축의 이름을 딴 여러 가(加)들이 있었다.
③ 왕이 죽으면 노비 등을 함께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④ 국력이 쇠퇴하여 광개토대왕 때 고구려에 완전 병합되었다.
【해설】 정답 ④
부영(이와) 고동(어는) 동무(다)
사료는 '삼국지' 위서 동이전의 부여 관련 내용이다. 특히 제천 행사인 “영고”를 통해 부여임을 알 수 있다. 부여는 쑹화 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서 성장했으며, 왕 아래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 우가, 구가, 저가 등 여러 가(加)들이 있었다.
한편 순장의 풍습이 있었으며, 고구려 문자왕 때 고구려에 완전히 병합되었다.(494)
부(자)여
사냥 : 수렵 사회 전통 --> 영고 12월
여자 많아 : 투기부인 사형, 순장
동물 많아 : 마가 우가 저가 구가(4출도)
땅보러 점보러 다녀:우제점법,가장 넓은영토
많은 재산 지켜야 : 형사취수제, 1책12법
Q 빈 칸에 들어갈 왕의 재임 시기에 일어난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발해와 당은 발해 건국 과정에서부터 대립적이었으며 발해의 고구려 영토 회복 정책으로 양국의 대립은 더욱 노골화되었다. 당은 발해를 견제하기 위해 흑수말갈 지역에 흑수주를 설치하고 통치관을 파견하였다. 이러한 당과 흑수말갈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발해의 [ ]은 흑수말갈에 대한 정복을 추진하였다. 이 계획을 둘러싼 갈등이 비화되어 발해는 산둥 지방의 덩저우에 수군을 보내 공격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당은 발해를 공격하는 한편, 남쪽의 신라를 끌어들여 발해를 제어하려고 하였다.
① 3성 6부를 비롯한 중앙 관서를 정비하였다.
② 융성한 발해는 해동성국 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③ 왕을 황상(皇上) 이라고 칭하여 황제국을 표방하였다.
④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에서 고구려 계승 의식을 천명하였다.
【해설】 정답 ④
흑수말갈 정벌을 추진하고, 장문휴의 산둥 반도 덩저우 공격은 발해 무왕(대무예 2대 : 719-737) 때 사건
④ - 무왕 때 일본과의 국교가 수립되었고, 이 시기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에서 고구려 계승 의식이 표방되었다.
오답확인: ① - 문왕은 당의 제도를 받아들여 3성 6부를 비롯한 중앙 관서를 정비하였다.
② - 9세기 선왕 이후 발해는 “해동성국”의 칭호를 얻었다.
③ - 문왕의 넷째 딸인 정효 공주 묘비에서 “황상은 조회를 파하고, 크게 슬퍼하여”라는 문장이 발견된다. 따라서 문왕 때 황제국을 표방했음을 알 수 있다.
무인 당장 요(기)서 - 무왕 대무예 인안 당과대결 장문휴 산둥공격 요서 당과 결돌 문대 중상 신주자 - 문왕 대흠무 대흥보력 중앙조직3성6부 상경천도 신라도 주자감 선건 해북남서 지방 - 선왕 건흥 해동성국 북말갈족복속 남신라국경 서요동진출 지방조직5경16부62주 |
Q 다음 자료와 관련 있는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형이 동북은 좁고 서남은 길어서 1,000리 정도나 된다. 북쪽은 읍루․부여, 남쪽은 예맥과 맞닿아 있다. …(중략)… 나라가 작아서 큰 나라 틈바구니에서 핍박받다가 결국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중략)… 땅은 기름지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어 오곡이 잘 자라며, 농사짓기에 적합하다.-삼국지
① 형사취수혼과 서옥제가 행해졌다.
② 해산물이 풍부하였으며,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③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 왜 등에 수출하였다.
④ 12월에 제천행사가 열렸으며, 1세기 초에 왕호를 사용하였다.
【해설】 정답 ②
제시문은 옥저에 대한 사료이다.
② 옥저는 어물과 소금 등 해산물이 풍부하였고 민며느리제의 결혼 풍속이 있었으며 고구려의 압력을 받다가 결국 고구려 태조왕 때 복속되었다.
① 고구려, ③ 변한, ④ 부여-영고에 대한 설명이다.
부(자)여
사냥 : 수렵 사회 전통 --> 영고 12월
여자 많아 : 투기부인 사형, 순장
동물 많아 : 마가 우가 저가 구가(4출도)
땅보러 점보러 다녀 : 우제점법, 가장 넓은 영토
많은 재산 지켜야 : 형사취수제, 1책12법
옥(저)
옥같은 내 며느리 : 민며느리제
며느리사랑 가족사랑 : 골장제(가족공동묘)
해산물 풍부
(고)구려~
일해주고 결혼 : 서옥제
늙은 형수 먹여살려 : 형사취수제, 1책12법
도둑질로 먹고살아 : 약탈경제(부경)
뒤가 구려 : 후장
Q <보기>에서 제시된 인물의 공통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기>
ᄀ. 김운경 ᄂ. 최치원 ᄃ. 최언위 ᄅ. 최승우
① 고려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유학했다.
② 7세기와 8세기에 활약했던 신라의 대 문장가이다.
③ 숙위학생으로 당 황제의 호위무사가 되었다.
④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한 후 귀국하였다.
【해설】 정답 ④
신라 하대의 인물들인 김운경,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는 모두 당의 빈공과(외국인 대상의 과거 시험)에 합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관련 사료
김운경이 빈공과에 처음으로 합격한 뒤에, 소위 빈공자(빈공과에 합격한 사람)는 매월 특별 시험을 보아 그 이름을 발표하는데, 김운경 이후 당나라 말기까지 과거에 합격한 사람은 58명이었고 5대에는 32명이나 되었다. 그중 대표적인 사람은 ...... 최치원, 최신지(최언위), 박인범, 최승우등이다. 『동사강목』
Q 삼국 통일 과정의 역사적 사실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자 웅진에 있던 의자왕이 항복하였다.
ㄴ.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평양성을 지키던 연개소문의 아들인 남산이 항복하였다.
ㄷ.신라는 사비성을 탈환하고 웅진도독부를 대신하여 소부리주를 설치하였다.
ㄹ.신라군이 당나라 군대 20만 명을 매소성에서 크게 물리쳤다.
① ㄱ→ㄴ→ㄷ→ㄹ ③ ㄴ→ㄱ→ㄹ→ㄷ
② ㄱ→ㄷ→ㄴ→ㄹ ④ ㄴ→ㄹ→ㄱ→ㄷ
【해설】 정답 ①
ㄱ.백제 멸망(660) → ㄴ. 고구려 멸망(668) → ㄷ. 소부리주 설치(671) → ㄹ. 매소성 싸움(675)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나·당 동맹 |
|
↓ | |
백제 멸망 (660) |
|
↓ | |
고구려 멸망 (668) |
|
↓ | |
나·당 전쟁 |
|
Q 밑줄 친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왕은 병부를 설치하여 직접 병권을 장악하였고,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여 금관가야를 정복하였다.
① 자장의 권유로 황룡사 9층탑을 건립하였다.
② 율령을 공포하고,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③ 청소년 조직인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④ 원광에게 수나라에 군사를 청하는 걸사표를 짓게 하였다.
【해설】 정답 ②
6세기 초 법흥왕
② 법흥왕 때 병부가 설치되고 율령이 반포되었으며 백관의 공복을 정하였다.
① 선덕 여왕(632-647), ③ 진흥왕(540-576), ④ 진평왕(579-632)
Q 삼국시대 금속 제작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광석 생산이 풍부하고 제작기술이 발달한 가야에서는 철로 만든 불상이 유행하였다.
② 백제에서 제작해 왜에 보낸 칠지도는 강철로 만들고 금으로 글씨를 상감해 새겨 넣었다.
③ 고구려 고분 벽화에는 철을 단련하고 수레바퀴를 제작하는 인물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④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관은 뛰어난 제작기법과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해설】 정답 ①
철로 만든 불상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유행
Q (가), (나) 사이의 시기에 고조선에서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노관이 한을 배반하고 흉노로 도망한 뒤, 연나라 사람 위만도 망명하여 오랑캐 복장을 하고 동쪽으로 패수를 건너 준에게 항복하였다. - 위략 -
(나)원봉 3년 여름(B.C.108), 니계상 삼이 사람을 시켜서 조선왕 우거를 죽이고 항복했다. …… 이로써 드디어 조선을 평정하고 사군을 삼았다. - 사기 조선전 -
①비파형 동검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②중국 연(燕)의 침략으로 요서 지역을 잃었다.
③8조에 불과하던 법 조항이 60여 조로 늘어났다.
④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국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였다.
【해설】 정답 ④
자료의 (가)는 위만 집권 전, 위만이 건너오는 내용이고, (나)는 위만조선의 멸망을 나타내는 것이다.
④ 위만조선은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국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였다.
① 비파형 동검은 청동기시대이다.
② 위만 조선 전에 고조선 시기, 연나라 진개의 침입을 받았다.
③ 위만조선이 멸망 이후, 한사군 설치 한 후 8조의 법이 60여조로 늘어났다.
Q 다음 자료에 나타난 왕의 밑줄 친 행동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가장 옳은 것은?
왕이 평양을 살피고자 내려오시니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말하였다. ‘왜인들이 가득히 몰려와 성을 부숩니다. 이 종은 왕의 백성으로 도와주시기를 바라옵니다.’ …… 남거성부터 신라성까지 왜가 가득하더니 왕의 군대가 이르자 왜적이 도망을 쳤다. 도망하는 뒤를 급히 쫓아서 임나가라까지 따라가 공격을 하니 항복하였다. - ○○○왕비 -
① 신라에 병부가 설치되었다.
② 고구려가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③ 백제의 국호가 남부여로 바뀌었다.
④ 금관가야 중심의 전기 가야 연맹이 무너졌다.
【해설】 정답 ④
자료는 광개토대왕릉비에서의 400년에 신라‧가야 지방의 왜구 정벌을 나타낸다.
④ 포상8국의 난 이후 금관가야중심의 가야는 고구려 군대의 진출 이후, 전기 가야 연맹이 무너졌다.
① 법흥왕때 병부가 설치되었다.
② 미천왕때 낙랑과 대방을 축출하여 한사군 세력을 완전히 축출하였다.
③ 성왕때 천도 후 국호를 남부여로 바뀌였다. 고구려 안원왕때이다.
Q 다음 문화재의 소재 지역이 백제의 수도였을 때 일어난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불교를 공인하였다.
②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였다.
③ 칠지도를 제작하여 일본에 전해 주었다.
④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회복하였다.
【해설】 정답 ④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과 부여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이다. 성왕은 538년 웅진에서 부여(사비)로 천도하였다.
④ 성왕은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유역을 회복(551)하였다.
① 침류왕은 동진의 마라난타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여 공인하였다.
② 무령왕은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여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 통제력을 강화하였다.
③ 근구수왕은 369년 일본사신을 통하여 칠지도를 일본에 전해주었다.
장수평 싸이치 427
신나제 내세상 433
공주땅 싸지요 475
부여성 오쌈빡 538
우산국 오일리 512
불교 오리지날 527
Q 밑줄 친 ‘북국(北國)’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원성왕 6년 3월 북국(北國)에 사신을 보내 빙문(聘問)하였다. …(중략)… 요동 땅에서 일어나 고구려의 북쪽 땅을 병합하고 신라와 서로 경계를 맞대었지만, 교빙한 일이 역사에 전하는 것이 없었다. 이때 와서 일길찬 백어(伯魚)를 보내 교빙하였다.
① 감찰 기관으로 중정대가 있었다.
② 최고 교육 기관으로 태학감을 두었다.
③ 중앙의 정치 조직으로 3성 6부를 두었다.
④ 지방의 행정 조직으로 5경 15부 62주가 있었다.
【해설】 정답 ②
북국은 발해이다. ② 발해 최고 교육기관은 주자감이다. 태학감은 통일신라의 국학의 변동된 이름이다.
'무인당장 요(기)서' 무왕 대무예 인안 당과대결 장문휴 산둥공격 요서 당과 격돌
'문대 중상 신주자' 문왕 대흠무 대흥보력 중앙조직3성6부 상경천도 신라도 주자감
'선건 해북남서 지방' 선왕 건흥 해동성국 북말갈족복속 남신라국경 서요동진출 지방조직5경16부62주
Q 다음‘왕’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왕’은 놀라고 기뻐하여 오색 비단과 금과 옥으로 보답하고 사자를 시켜 대나무를 베어서 바다에서 나오자, 산과 용은 갑자기 사라져 나타나지 않았다. ‘왕’이 행차에서 돌아와 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는데, 이 피리를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나으며, 가뭄에는 비가 오고 장마는 개며, 바람이 자자지고 물결이 평온해졌다. - 삼국유사
①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② 김흠돌의 반란을 진압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③ 당의 세력을 몰아내고 삼국 통일을 완수하였다.
④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여 유교 교육을 진흥시켰다.
【해설】 정답 ②
자료는 전제왕권강화와 왕실의 번영‧ 평화를 상징하는 만파식적 피리로써 왕은 신문왕이다.
② 신문왕은 즉위 후, 김흠돌의 난을 계기로 귀족 세력을 숙청하면서 전제왕권을 강화하였다.
① 성덕왕은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고 국가의 토지 지배력을 강화하였다.
③ 문무왕은 매소성과 기벌포에서 당의 세력을 몰아내고 삼국통일을 완수하였다.
④ 원성왕은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여 유교교육을 진흥시켰다.
Q (가)시기에 고조선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① 부왕에 이어 준왕이 왕위에 올랐다.
② 졸본성에서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겼다.
③ 전국 7웅의 하나인 연(燕)과 대결하였다.
④ 진(辰)과 한(漢)사이의 중계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다.
【해설】 정답 ④
위만조선은 중국의 한과 남방의 진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막대한 이득을 취하였고, 한 무제가 위만조선 침략한 경제적 이유가 된다.
① BC 3세기 일로, 위만 집권 이전이다.
② 고구려 - 유리왕(서기 3년)
③ BC 4세기 연과 요서를 경계로 대결하였고, BC 3세기 연의 진개의 침입이 있었다.
기원전 4~3세기 |
|
기원전 2세기 |
|
기원전 108년 |
|
Q 밑줄 친 인물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① 남조의 양과 교류하고 가야 지역으로 진출하였다.
② 사비로 수도를 옮겨 국가 중흥의 기틀을 다졌다.
③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 집권 국가로서의 통치 기준을 마련하였다.
④ 마한의 잔여 세력을 정복하여 전라도 일대까지 영역을 확대하였다.
【해설】 정답 ①
자료는 양직공도중 백제 사신의 모습과 백제기사로 백제가 양나라와 교류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기록중 여륭은 무령왕이다. 기록에서 무령왕이 가야(대가야)지역에 진출했다는 내용이 있다.
오답 확인 :
② 성왕 ③ 고이왕 ④ 근초고왕
Q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말하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성을 부수었으니, 노객(奴客)은 백성된 자로서 왕에게 귀의하여 분부를 청한다.”라고 하였다. 이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① 칠지도를 제작하여 왜왕에게 보내주었다.
② 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북한산에 순수비를 세웠다.
③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라와 결혼 동맹을 맺었다.
④ 후연과 거란을 격파하여 요동과 만주 지역을 차지하였다.
【해설】 정답 ④
광개토대왕릉비의 신라구원전 기록으로 왕은 광개토대왕
④ 395년 거란족의 일파인 비려를 점령하였다. 397년 후연(선비족)의 요동성을 점령하였다.
오답 확인 :
① 근초고왕 ② 진흥왕 ③ 동성왕
Q ㉠ 인물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은/는 모든 진리는 한 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一心)사상을 바탕으로 종파 간 논쟁을 조화롭게 승화시키려고 하였다. 또한 중생의 마음이 부처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며, 불교의 교리를 쉬운 노래로 만들어 부르며 백성에게 아미타 신앙을 적극 전파하였다.
① 여러 경전을 섭렵하여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였다.
② 중관 사상과 유식 사상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화쟁 사상을 전개하였다.
③ 귀족 중심의 불교에서 소외된 계층을 구제하고자 불교 대중화 운동을 벌였다.
④ 모든 존재가 서로 의존하며 조화를 이룬다는 논리가 담긴 화엄일승법계도를 펴냈다.
【해설】 정답 ④
사료의 인물은 불교통합을 주도하였던 원효이다. ④ 의상
오답
① 원효의 저서 ② 원효의 불교통합 사상 ③ 원효는 불교대중화를 시도하였다.(아미타신앙)
● 신라 고승
원효 정토종 원효 - 원정대아십일화원
정토종, 대중화, 대승기신론소, 아미타, 십문화, 일심, 화쟁(천태종), 원융회통
의상 화엄종 의상 - 의관화 부먼즉 -> 관음신앙, 화엄종, 부석사, "일세의 먼지.., 즉일..."
● 고려 고승
지눌 조계선(종) 돈오점수 정혜쌍수. 수선사(송광사) 지조돈수
의천 천태종 교관겸수,국청사,흥왕사,신편제종교총록 의천교국흥신
Q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물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성은 김씨이다. 29세에 황복사에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얼마 후 중국으로 가서 부처의 교화를 보고자 하여 원효(元曉)와 함께 구도의 길을 떠났다. …(중략)… 처음 양주에 머무를 때 주장(州將) 유지인이 초청하여 그를 관아에 머물게 하고 성대하게 대접하였다. 얼마 후 종남산 지상사에 가서 지엄(智儼)을 뵈었다. -삼국유사
①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여 화엄사상을 정리하였다.
② 중국에서 풍수지리설을 들여와 지세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③ '십문화쟁론'을 지어 종파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④ 인도와 중앙아시아 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와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해설】 정답 ①
사료의 키워드는 원효와 유학을 간 것과, 지엄에게 공부하였다는 내용으로, 의상과 관련된 문제이다.
② 도선 ③ 원효 ④ 혜초
의상 화엄종 의상 - 의관화 부먼즉 -> 관음신앙, 화엄종, 부석사, "일세의 먼지.., 즉일..."
Q ㉠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에서는 백성들에게 금하는 법 8조가 있었다. 그것은 대개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이고, 남에게 상처를 입히는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 도둑질을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용서받고자 하는 자는 한 사람마다 50만 전을 내야 한다. 비록 용서를 받아 보통 백성이 되어도 사람들이 이를 부끄럽게 여겨 혼인을 하고자 해도 짝을 구할 수 없다.
① 옥저와 동예를 정복하였다.
② 족외혼과 책화의 풍습이 있었다.
③ 별도의 행정구역인 사출도가 있었다.
④ 중국의 한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해설】 정답 ④
사료는 고조선의 8조법이다.
④ 위만조선이 한과 대립하였고, 한 무제의 칩입으로 멸망
① 고구려 - 태조왕 ② 동예 ③ 부여
Q 다음 자료가 기록된 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곰과 호랑이가 찾아와 사람이 되기를 원하므로 환웅이 그들에게 쑥과 마늘을 주면서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될 것이다. 라고 하였다. 곰은 이를 지켜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호랑이는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환웅이 사람으로 변신하여 웅녀와 결혼하였다. 아들을 낳으니 이가 단군왕검이다.
① 왕력, 기이, 흥법, 탑상, 의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김부식을 비롯한 유학자들이 편찬한 역사서이다.
③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다.
④ 삼국에서 고려까지 고승들의 전기를 정리하여 편찬한 책이다.
【해설】 정답 ①
① 삼국유사는 충렬왕 때에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1281)는 우리의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였으며,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는 등 자주적 역사의식이 나타난다. 삼국유사는 왕력과 기이(紀異),흥법(興法)·탑상(塔像), 의해(義解),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③ 고려 인종 때 김부식이 기전체로 편찬한 삼국사기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역사서이다(1145).
④ 각훈이 왕명에 의해 편찬한 해동고승전은 삼국 시대의 승려 30여 명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는데 화엄종(교종) 중심으로 불교사를 정리하였다.
삼국사기 | 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총50권), 현존 최고 사서,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
삼국유사 | 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총5권),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수,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
Q 백제 근초고왕의 업적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남쪽으로는 마한을 멸하여 전라남도 해안까지 확보하였다.
② 북쪽으로는 고구려의 평양성까지 쳐들어가 고국천왕을 전사시켰다.
③ 중국의 동진, 일본과 무역활동을 전개하였다.
④ 왕위의 부자상속을 확립하였다.
⑤ 박사 고흥으로 하여금 백제의 역사서인 『書記(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해설】 정답 ②
고국천왕이 아니라 고국원왕이다.
Q 다음 고구려에서 일어난 사건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불교를 수용하고, 율령을 반포하였다.
ㄴ.고국원왕이 평양성전투에서 전사하였다.
ㄷ.을파소를 등용하여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ㄹ.한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죽였다.
① ㄴ→ㄷ→ㄱ→ㄹ ③ ㄷ→ㄴ→ㄱ→ㄹ
② ㄴ→ㄷ→ㄹ→ㄱ ④ ㄷ→ㄴ→ㄹ→ㄱ
【해설】 정답 ③
ㄷ. 고국천왕(2세기) → ㄴ. 371 → ㄱ. 소수림왕, 불교(372), 율령(373) → ㄹ. 장수왕. 475
Q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국호를 신라로 바꾸고, 왕의 칭호도 마립간에서 왕으로 고쳤다. 대외적으로는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나)한강 유역을 빼앗고, 고령 지역의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북쪽으로는 함경도 지역까지 진출하였다.
① 백제 동성왕과 혼인 동맹을 맺었다.
② 김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이 확립되었다.
③ 진골 귀족 세력의 반발로 녹읍이 부활되었다.
④ 병부를 설치하고,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해설】 정답 ④
(가) 지증왕 (나) 진흥왕 ④ 법흥왕
① 소지마립간 ② 내물마립간 ③ 경덕왕
Q 다음 글의 밑줄 친 왕이 재위할 때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왕이 군사 3만을 이끌고 백제에 침입하여, 백제왕의 도읍 한성을 함락시키고 백제왕 부여경을 죽이고, 남녀 8천명을 사로잡아 돌아왔다. -삼국사기-
ㄱ. 백제가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ㄴ. 고구려가 도읍을 평양으로 옮겼다.
ㄷ. 금관가야가 가야 연맹을 주도하였다. ㄹ. 신라가 백제와 친선 정책을 추진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해설】 정답 ③
부여경은 개로왕의 생전에 쓰던 이름이다. 장수왕은 평양으로 수도를 천도(427)하여 본격적인 남진 정책을 추진하는데, 이에 백제의 비유왕과 신라의 눌지마립간은 나제동맹을 체결하여 고구려에 대항하였다(433). 이후 장수왕은 백제의 개로왕을 전사시킴으로써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켰고(475), 한강 전 지역을 포함하여 죽령 일대에서 남양만을 연결하는 선까지 세력을 넓혔다.
ㄱ. 백제 성왕: 대외 진출이 수월한 사비(부여)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 백제의 중흥을 꾀하였다(538).
ㄷ. 3세기경 김해의 금관가야는 연맹국가로 발전하였고 가야연맹을 주도하였다.
장수평 싸이치 427
신나제 내세상 433
공주땅 싸지요 475
부여성 오쌈빡 538
Q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 충북 청주 산성동 출토 가락바퀴
○ 경남 통영 연대도 출토 치레걸이
○ 인천 옹진 소야도 출토 조개 껍데기 가면
○ 강원 양양 오산리 출토 사람 얼굴 조각상
①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②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③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④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해설】 정답 ③
사료의 유물들은 신석기 시대에 제작되었다. ③ 신석기 시대에 처음으로 조, 피 등을 경작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황해도 봉산 지탑리와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석기 시대에 잡곡류를 경작했음을 알 수 있다.
①, ④ 철기시대에는 철기와 함께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등의 화폐가 출토되었고, 경남 다호리 유적지에서 붓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과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② 고인돌, 돌널무덤 등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구석기 '금굴흥' 전기 - 금연석 (점)검(도중)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중) 빌점 후기 - (2개의) 흥수똥 달제양 |
신석기 - 신갈빗가덧, 이른 덧(니를) 눌러(서) 빗(자) 신석기 유적지-신 고수(는) 암오동(가서) 미궁(에 빠졌다) |
Q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발해는 일본과 교류하며 무역에도 힘썼다.
② 발해의 무왕은 신라와 연합해 당을 공격하였다.
③ 발해는 신라도라는 교통로를 이용해 신라와도 무역하였다.
④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을 동아시아의 무역을 장악하였다.
【해설】 정답 ②
발해 무왕 때 장문휴의 수군으로 하여금 당의 요서지방과 산둥 지방을 공격하기도 하였는데(732), 당의 요청을 받은 신라가 발해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① 발해 무왕은 돌궐을 이용하여 당을, 일본을 이용하여 신라를 견제하였다. 일본과의 무역에서도 상경에서 동경을 거치는 무역교통로인 일본도를 통하기도 하였다.
③ 발해 문왕은 신라와 상설 교통로(신라도)를 개설하여 신라와의 관계도 개선하려 노력하였다.
④ 장보고는 완도에 해군 기지이자 무역기지인 청해진을 설치(828)하여 해적을 소탕하였으며 남해와 황해의 해상 무역권을 장악하였다.
Q 다음 보기에서 백제의 문화제를 모두 고른 것은?
ㄱ. 백률사 석당 ㄴ. 정림사지 5층석탑 ㄷ. 창왕명석조사리감 ㄹ. 법주사쌍사자 석등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해설】 정답 ③
ㄴ. 7C 무왕 때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 부여의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목탑 형식의 미륵사지 석탑을 계승한 탑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ㄷ. 창왕명석조사리감은 백제 때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로 창왕에 의해 567년 만들어 졌으며, 부여의 능산리 절터의 중앙부에 자리한 목탑 자리 아래에서 나왔다.
ㄱ. 경주에 있는 백률사의 석당은 신라 이차돈의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서 세워졌고 그곳에 그의 사실이 자세히 적혀 있다.
ㄹ. 통일신라시대 충북 보은의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단아하면서도 균형 잡힌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Q 통일신라시대 민정문서(장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구, 가호, 노비 및 소와 말의 증감까지 매년 작성하였다.
② 토지에는 연수유전답, 촌주위답, 내시령답이 포함되어 있다.
③ 사람은 남녀로 나누고, 연령을 기준으로 하여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④ 호(戶)는 상상호(上上戶)에서 하하호(下下戶)까지 9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해설】 정답 ①
통일신라시대의 촌주는 매년마다 해당 촌락의 호구, 인구, 토지, 수목, 가축 등의 변동사항을 조사하여 3년마다 민정문서를 작성하였다. ② 민정문서에 기록된 토지로는 내시령에게 지급한 내시령답, 관청의 경비를 충당할 목적으로 지급된 관모답, 촌주에게 배당된 일종의 직전인 촌주위답, 농민들의 소유지인 연수유답 등이 있었다. ③ 민정문서에서 인구는 성별로 나누고, 연령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④ 민정 문서에서 호구는 인정의 다소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Q 삼국시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우총 출토 청동 호우의 존재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② 사택지적비를 통해 당시 백제가 도가(道家)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③ 울진 봉평리 신라비를 통해 신라가 동해안의 북쪽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④ 충주(중원) 고구려비를 통해 신라가 고구려에게 자신을 ‘동이(東夷)’라고 낮추어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해설】 정답 ④
중원 고구려비에, 고구려가 신라를 동이(東夷)로 칭하는 동시에 의복을 하사하라는 교를 내리는 내용이 있는데, 이를 통해 스스로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부하는 고구려인의 천하관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금석문에 신라가 자신을 ‘동이’라고 낮추어 표현한 적은 없다.
① 청동 호우 즉, 호우명 그릇은 경주의 호우총에서 발견되었다. 청동 호우의 밑바닥에는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는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국강(國岡) 위에 있는 광개토 대왕릉용 호우’라는 의미이다. 이 호우는 광개토 대왕을 기념하는 의례 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만든 것이다. 이를 통해 당시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울진 봉평비(법흥왕, 524)는 신라의 영역이 동북 방면으로 확대되어가는 과정에서 울진 지방의 주민들이 반발하자 6부 회의를 열어 군대를 보내 진압하고 관련자들을 처벌한 사건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령의 존재와 복속민 정책 등을 알 수 있다. ③ 사택지적비는 좌평을 역임한 사택지적이란 인물이 말년에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이야기하고(도교적 요소), 불교에 귀의해 불당과 탑을 건립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비문이다.
Q 다음 보기 중 같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묶인 것은?
㉠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을 사형에 처하는 엄격한 법이 있었다.
㉡ 다른 부족의 경계를 침범할 경우에는 가축이나 노비로 변상해야 하는 풍습이 있었다.
㉢ 전쟁이 일어났을 때 소를 죽여 그 굽으로 점을 치는 풍습이 있었다.
㉣ 남자가 일정 기간 처가에서 살다가 본가로 돌아가는 풍속이 있었다.
㉤ 가족이 죽으면 가매장을 하였다가 뼈만 추려서 목곽에 넣는 풍습이 있었다.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해설】 정답 ③
㉠ 부여, ㉡ 동예, ㉢ 부여, 고구려, ㉣ 고구려, ㉤ 옥저
Q (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다. 도둑질을 하면 12배로 변상케 했다. 남녀 간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부인이 투기하면 모두 죽였다. 투기하는 것을 더욱 미워하여, 죽이고 나서 시체를 산 위에 버려서 썩게 했다. 친정에서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했다.
(나) 귀신을 믿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 세워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게 했다. 이를 천군이라 했다. 여러 국(國)에는 각각 소도라고 하는 별읍이 있었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겼다. 다른 지역에서 거기로 도망쳐 온 사람은 누구든 돌려 보내지 않았다. - 삼국지
<보기>
ㄱ. (가)-왕 아래에는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가 있었다.
ㄴ. (가)-농사가 흉년이 들면 국왕을 바꾸거나 죽이기도 하였다.
ㄷ. (나)-제천 행사는 5월과 10월의 계절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ㄹ. (나)-동이(東夷) 지역에서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라 기록되어 있었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해설】 정답 ③
(가)는 부여의 법률에 대한 사료이다. 부여의 법으로는,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으며,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물건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한 것이 전해진다. 또한,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은 사형에 처하는 일부다첩(一夫多妾)을 옹호하는 내용이 전해지고 있다. (나)는 삼한의 제정분리에 대한 사료이다. 삼한에는 정치적 지배자 외에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다. 그리고 신성 지역으로 소도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천군은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다. 천군이 주관하는 소도는 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으로, 죄인이라도 도망을 하여 이곳에 숨으면 잡아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제사장의 존재에서 고대 신앙의 변화와 제정의 분리를 엿볼 수 있다. ㄴ. 부여에서 가(加)들은 왕을 추대하기도 하였고 수해나 한해를 입어 오곡이 잘 익지 않으면 그 책임을 왕에게 묻기도 하였다. ㄷ. 삼한에서는 해마다 씨를 뿌리고 난 뒤인 5월과 가을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10월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ㄱ. 고구려는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 대가들은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렸다.
ㄹ.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의하면 부여는 산릉과 넓은 연못이 많아서 동이 지역에서 가장 넓고 평탄했다고 한다.
Q 다음 서적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해동고승전'은 삼국시대 이래 고려시대까지 승려 30여 명의 계통을 밝힌 책이다.
② '동명왕편'은 이규보가 쓴 것으로 고구려 건국 영웅인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서사시이다.
③ '제왕운기'는 우리 역사의 서술을 단군부터 시작하여 중국의 역사만큼 유구하다고 보았다.
④ '동국통감'은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였다.
【해설】 정답 ①
'해동고승전'은 삼국시대 활약한 고승들을 기록하였다.
Q (가), (나) 국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대조영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여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 지역으로 진출 하였다. 이후 전성기를 맞은 발해를 중국에서는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 불렀다.
<보기>
ㄱ. (가)-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겼다.
ㄴ. (가)-장문휴가 수군을 이끌고 당(唐)의 산둥(山東)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나)-‘건흥’ 연호를 사용하고,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ㄹ. (나)-당시 국왕을 ‘대왕’이라 표현한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해설】 정답 ③
(가) 대조영의 뒤를 잇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한 것은 발해의 무왕이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전성기를 맞이 하여 해동성국이라 불린 것은 발해의 선왕이다.
ㄴ. 무왕은 흑수말갈과 대문예의 송환 문제를 둘러싸고 당과 대립하였다. 그리하여 732년에 장문휴를 보내어 당의 산둥(山東) 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선왕은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ㄱ. 문왕 때의 일이다. 문왕은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상경에서 동경으로 옮겼다. 성왕 때 동경에서 상경으로 천도한 이후 수도가 바뀌지 않았다.
ㄹ. 정혜공주는 문왕의 둘째 딸이며, 정효공주는 문왕의 넷째 딸이다. 두 공주는 모두 8세기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선왕(818~830) 때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은 옳지 않다.
Q 다음 유물이 등장한 시기의 생활 모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팽이처럼 밑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표면에 빗살처럼 생긴 무늬가 새겨져 있다.
․곡식을 담는 데 많이 이용되었다.
①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
② 비파형동검을 의식에 사용하였다.
③ 취사와 난방이 가능한 움집에 살았다.
④ 죽은 자를 위한 고인돌 무덤을 만들었다.
⑤ 정복전쟁을 거치며 지배계급이 등장하였다.
【해설】 정답 ③
제시문은 신석기 빗살무늬토기이다.
① 철기, ② ④ ⑤ 청동기 시대 모습이다.
Q (나)는 (가)의 결과이자, (다)의 원인이 되었다.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가) 위만 왕조는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자신의 세력을 점차 확대하였다.
(나)
(다) 한 무제의 대규모 무력 침략을 받아 마침내 왕검성이 함락되었다.
① 부왕, 준왕과 같은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다.
② 위만은 준왕의 신임을 얻어 서쪽 변경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③ 고조선은 요령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점차 한반도까지 발전하였다.
④ 고조선은 중국 대륙과 한반도 남부의 직접 교역을 막아 중계무역의 이익을 독점하였다.
【해설】 정답 ④
(가) 위만 조선 건립(기원전 194) (다) 고조선 멸망(기원전 104)
①②③은 (가) 이전의 상황이다.
Q 한국사의 올바른 이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던 것은 분권적인 봉건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② 한국사는 한국인의 주체적인 역사이며 사회구성원들의 총체적인 삶의 역사이다.
③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세계사 안에서 한국사를 올바르게 보는 관점을 제공한다.
④ 다양한 기준에 의거해 시대구분을 하더라도 한국사의 발전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설】 정답 ①
①은 일본의 식민지 사관 중 정체성 이론이다.
Q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 옛 지배층에게 관등을 주어 포용하였다.
② 신라의 6두품 출신들은 학문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진출을 활발하게 하였다.
③ 발해의 주민 중 다수는 말갈인이었는데 이들은 지배층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④ 발해는 당의 제도와 문화를 받아들였으나 고구려와 말갈의 전통을 유지하였다.
【해설】 정답 ③
③ 발해 지배층은 고구려인, 피지배층의 다수는 말갈인이었으나 말갈인들도 일부 지배층에 편입되었다.
Q 다음은 신라 토지제도의 전개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신문왕 7년, ㉠ 을 차등 있게 지급하였다.
○신문왕 9년, 내외관의 ㉡ 을 혁파하였다.
○성덕왕 21년, 처음으로 백성에게 ㉢ 을 지급하였다.
○경덕왕 16년, 다시 ㉣ 을 지급하였다.
㉠ ㉡ ㉢ ㉣
① 녹읍 식읍 민전 식읍
② 식읍 녹읍 정전 녹읍
③ 문무관료전 녹읍 정전 녹읍
④ 문무관료전 식읍 민전 식읍
【해설】 정답 ③
Q 다음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 순서로 보아 (다)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은?
(가) 고구려가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나) 신라가 처음으로 연호를 사용하였다.
(다)
(라) 백제가 일본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하였다.
① 백제가 사비성으로 천도하였다.
② 고구려가 살수에서 수나라에 크게 승리하였다.
③ 신라가 불교를 공인하였다.
④ 백제의 비유왕과 신라의 눌지왕이 나제동맹을 맺었다.
【해설】 정답 ①
(가) 5세기 장수왕, (나) 6세기 법흥왕(536), (라) 6세기 성왕
① 6세기 성왕
② 612년 살수대첩, ③ 6세기 법흥왕(527), ④ 5세기(433)
Q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돌로 방을 만들고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설치하였다.
② 황남대총, 장군총, 천마총 등의 사례가 있다.
③ 무덤 안에 벽돌로 널방을 만들고 그 안에 돌로 덧널을 설치하였다.
④ 무덤 안에서 많은 부장품이 출토되었는데 서봉총 등의 사례가 있다.
【해설】 정답 ④
① 굴식돌방무덤에 대한 설명이다.
② 황남대총과 천마총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이고, 장군총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이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은 무덤 안에 덧널을 설치하여 관과 부장품을 넣고 덧널 위에 댓돌을 쌓아올린 후, 흙을 덮은 무덤 양식이다.
Q <보기>의 통일신라시대의 경제 제도를 시간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보기>
ᄀ.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리에게 매달 주던 녹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주었다.
ᄂ. 중앙과 지방 관리들의 녹읍을 폐지하고 해마다 조(祖)를 차등 있게 주었으며 이를 일정한 법으로 삼았다.
ᄃ. 처음으로 백성들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하였다.
ᄅ. 교서를 내려 문무 관료들에게 토지를 차등 있게 주었다.
① ᄂ→ᄀ→ᄅ→ᄃ
② ᄂ→ᄅ→ᄀ→ᄃ
③ ᄅ→ᄃ→ᄂ→ᄀ
④ ᄅ→ᄂ→ᄃ→ᄀ
【해설】 정답 ④
제시된 내용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ᄅ: 관료전 지급(신문왕 7, 687) →ᄂ: 녹읍 폐지(신문왕 9, 689) → ᄃ: 정전 지급(성덕왕 21, 722) → ᄀ: 녹읍 부활(경덕왕 16, 757)
Q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대체로 동굴이나 바위그늘에서 생활하였으며 불을 사용 할 줄 알았다.
② 단양 수양개,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등 강가에 살던 사람들은 주로 고기잡이와 밭농사를 하며 생활하였다.
③ 이 시기의 대표적인 무덤 형식은 고인돌과 돌널무덤이다.
④ 주먹도끼, 가로날도끼, 민무늬토기 등의 도구를 사용했다.
【해설】 정답 ①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이동 생활을 하면서 동굴이나 바위그늘 혹은 막집을 지어 거주하였다. 이들은 언어와
불을 사용할 줄 알았다.
오답확인
② - 단양 수양개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 공주 석장리 유적은 구석기 시대 대표적 유적이지만, 조,피, 수수 등을 재배하는 밭농사는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③ - 고인돌과 돌널무덤은 청동기 시대 대표적 무덤이다.
④ - 주먹도끼와 가로날 도끼는 구석기 시대 유물이지만, 민무늬 토기는 청동기 시대 대표적 토기이다.
Q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경덕왕 16년, 내외 관료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가) 을/를 내려주었다. – 삼국사기–
· 왕건이 예산진(禮山鎭)에 행차하여 이르기를, “지난날 신라의 정치가 쇠퇴하자 도적 무리가 다투어 일어나 백성은 흩어지고 들판에는 해골이 나뒹굴었다. ...(중략)... 공경(公卿)이나 장상(將相)은 내가 백성을 자식처럼 사랑하는 마음을 헤아려 너희 (가) 에 소속되어 있는 백성을 불쌍히 여겨야 한다.”라고 하였다. – 고려사–
① 경기(京畿)에 한정하여 지급되었다.
② 토지 비옥도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되었다.
③ 지역을 단위로 설정되어 수취가 허용되었다.
④ 18등급으로 나누어 지급되었으며 전지와 시지로 구성되었다.
【해설】 정답 ③
(가)에 해당하는 것은 녹읍이다. 경덕왕 대(757)에는 전제왕권이 동요하면서 녹읍이 부활하였다.
녹읍은 관직(官職) 복무의 대가인 녹(祿)을 지급함에 있어 일정한 지역, 즉 읍(邑)을 내리는 제도이다. 이에 따라 지역을 단위로 하는 수취가 허용되었다.
[오답]
①은 과전법 시기의 과전, ②는 전분 6등법(공법), ④는 전시과
Q 통일신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통일 후에는 주로 진골귀족으로 구성된 9서당을 국왕이 장악함으로써 왕실이 주도하는 교육제도를 구축
② 불교가 크게 융성한 통일신라의 수도인 경주에서는 주로 천태종이 권력과 밀착하며 득세하였다.
③ 신라 중대 때는 주로 원성왕의 후손들이 즉위하면서 비교적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였다.
④ 넓어진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지방행정을 구획하였는데, 5소경도 이에 해당한다.
【해설】 정답 ④
통일 후 신라는 넓어진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9주 5소경 체제로 지방행정제도를 정비하였다. 특히 군사, 행정적 중요한 곳에는 특별행정구역인 5소경을 설치해 지방 세력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오답확인
① - 9서당은 통일 후 신라의 중앙군 체제로서, 신라, 백제, 고구려, 보덕국, 말갈족 출신들을 모두 포함하여 설치하였다.
② - 천태종은 고려시대 의천이 교종과 선종을 통합한 종파이다.
③ - 신라 중대는 무열왕의 직계 자손들이 왕위를 계승하였다.(중대: 무열왕 ~ 혜공왕)
Q 다음은 어느 유적의 사진과 내부 구조도이다. 이 유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널방 벽에서 사신도(四神圖)가 발견되었다.
② 묘지석이 발굴되어 무덤 주인공이 밝혀졌다.
③ 화강암을 다듬어 쌓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이다.
④ 광개토 대왕 제사 때 쓰인 호우명 그릇이 출토되었다.
【해설】 정답 ③
사진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돌을 정밀하게 쌓아 올린 돌무지무덤은 만주의 지안 일대에 1만 2,000여 기가 모여 있다. 화강암을 계단식으로 7층까지 쌓아 올린 장군총은 피라미드의 모습을 하고 있어 동방의 피라미드라 불리기도 한다.
[오답]
①은 굴식돌방무덤, ②는 벽돌무덤(무령왕릉), ④는 돌무지덧널무덤(신라 호우총)
Q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신라와 당이 군사동맹을 체결하였다.
⇓
(가)
⇓
신라가 기벌포 전투에서 당군을 물리쳤다.
① 진덕 여왕이 신라 고유 연호의 사용을 중단하였다.
② 법흥왕이 율령을 반포하여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③ 의자왕의 군사가 김품석이 성주로 있던 대야성을 함락하였다.
④ 신문왕이 보덕국의 고구려 유민들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였다.
【해설】 정답 ①
나당 동맹 결성은 648년, 기벌포 전투는 676년의 사건이다.
진덕여왕은 나당 동맹이 결성되자 즉위 직후부터 사용하던 독자적 연호인 태화(太和)를 버리고 당나라 고종(高宗)의 연호였던 영휘(永徽)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650)
[오답]
② 법흥왕의 재위 기간은 나당 동맹 결성 이전인 514~540년이다.
③ 백제 의자왕의 공격으로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이 함락된 것은 642년의 일이다.
④ 신문왕대에 중앙 집권 정책의 일환으로 683년 보덕국왕을 수도로 불러 신라의 소판(蘇判) 관등을 부여하고 김씨성을 내리고 집과 토지를 주며 수도에 거주하게 하여 금마저에 있는 보덕국과 격리시켰다. 이러한 조처에 대한 불만으로 684년 11월 안승의 친족인 장군 대문(大文)이 모반을 기도하다 처형되니, 이를 계기로 실복(悉伏)을 우두머리로 하여 보덕국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 때 격렬한 전투가 벌어져 토벌군인 신라 장군 핍실(逼實)·김영윤(金令胤) 등이 전사하였다.
Q 다음 국가의 지방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곳곳에 촌리(村里)가 있는데 모두 말갈 부락이다. 그 백성은 말갈족이 많고 토인(土人)은 적다. 모두 토인을 촌장으로 삼는다.
· 거란도, 영주도, 조공도, 신라도, 일본도가 있어서 주변 세력과 외교 교섭 또는 교역을 벌이는 간선 교통로로 이용된다.
① 22개의 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② 경-부-주의 체계를 갖추어 다스렸다.
③ 5도에 안찰사를, 양계에 병마사를 파견하였다.
④ 수도의 치우침을 보완하기 위해 5소경을 두었다.
【해설】 정답 ②
말갈족이 많고 토인(고구려인)이 적다는 내용과 5개의 교통로(발해 5도)에 대한 내용을 통해 발해와 관련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발해는 5경 15부 6주의 지방 행정 제도를 갖추고 있었다.(선왕)
[오답]①은 백제(무령왕), ③은 고려, ④는 통일 신라
Q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신라의 역사를 상고, 중고, 하고로 구분하였어요.
② 기전체 서술 방식에 따라 본기, 연표, 지, 열전으로 구성하였어요.
③ 기자 조선-마한-신라 정통론의 입장에서 강목법에 따라 서술하였어요.
④ 고구려 계승 의식을 바탕으로 동명왕의 업적을 서사시로 표현하였어요.
【해설】 정답 ①
자료는 1281년(충렬왕 7)경에 고려 후기의 승려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에 대한 내용이다. 『삼국유사』 기이편에는 가야의 역사를 서술한 『가락국기』가 실려 있다.
① 신라시대의 시기구분과 관련하여 『삼국유사』 왕력의 경우 상고(上古), 중고(中古), 하고(下古)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각각 제1대 혁거세거서간~제22대 지증왕, 제23대 법흥왕~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무열왕~제56대 경순왕이 다스린 기간이다. 이는 신라의 시대를 왕명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상고 시기의 왕들은 고유한 토착어로 왕명을 사용했으며, 중고에는 불교식 왕명을 사용했다. 하고 시기의 왕들은 중국식 시호를 사용한다.
[오답]
② 기전체 방식으로, 본기, 지, 열전으로 구성된 것은 김부식이 저술한 『삼국사기』이다.(1145) 『삼국유사』는 기사본말체 형식의 사서이다.
③ 기자 조선 – 마한 – 신라 정통론의 입장에서 강목법에 따라 서술한 것은 안정복의 『동사강목』이다.(1778, 정조)
④ 동명왕의 업적을 서사시로 표현한 것은 이규보의 『동명왕편』이다.
Q 다음 나라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꺼리는 것이 많아 사람이 병들어 죽으면 집을 버리고 새 집을 짓는다. ...(중략)... 낙랑단궁이라는 활, 바다표범 가죽[班魚皮], 무늬 있는 표범, 그리고 키가 작은 과하마가 난다. – 삼국지위서 동이전 –
① 신랑이 처가에서 지은 서옥에 머물렀다. ③ 범금팔조가 시행되어 살인, 상해, 절도 등을 처벌하였다.
② 은력 정월에 영고라는 국중대회가 열렸다. ④ 다른 읍락을 침범하면 책화라 하여 노비, 소, 말로 배상하였다.
【해설】 정답 ④
동예에 대한 내용이다. 사람이 병들어 죽으면 새 집을 짓는다는 내용과 단궁, 반어피 등의 특산물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동예는 씨족 사회의 전통이 남아 있어 족외혼이 엄격히 지켜졌고, 산천을 중시하여 산과 내마다 구분이 있어 함부로 들어가지 않았다. 만약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노비나 소, 말로 배상해야 하는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
[오답]
① 서옥제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이다.
② 영고(12월)는 부여의 제천행사이다. 동예는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지냈는데,
무천은 ‘하늘을 향해 춘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③ 범금팔조는 고조선의 법률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