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후기 : 봉부수석
조선후기 : 금미 화각 법팔 논쌍 부개 안석
백제~익산미륵사지 탑,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적석목곽분, 황룡사 9층목탑, 분황사 모전 석탑, 첨성대
통일신라~횡혈식 석실분, 해중릉(문무왕릉), 높은 기단위에 3층탑(불국사 석가탑, 감은사지3층석탑, 다보탑,
고려~외관이 높고 웅장함(주심포➜다포), 봉정사 극락전(최고의 목조건축물),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사 조사당, 수덕사 대웅전, 석왕사 응진전(원의 영향을 받은 다포양식, 심원사 보광전(다포양식) 흥국사지 석탑(신라계통의 양식을 계승), 현화사 7층 석탑, 월정사 8각9층 석탑, 경천사10층 석탑(목조건축양식을 본뜸, 훵에 영향 받음)
조선 ~15C:궁궐·성곽·성문·학교 건축 중심
16C:서원건축 중심 17C:사원건축 중심 18C:수원성, 평양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19C:경복궁 근정전·경회루 원각사 10층 석탑(경천사 10층탑 영향, 원에 영향 받음), 법주사 팔상전(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목탑)
대한제국~독립문(프랑스의 개선문 모방), 덕수궁 석조전(르네상스 양식). 명동성당(중세의 고딕양식)
현존 목조건물 : 고려 중기 이후, 주심포 양식
- 13세기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현존 最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14세기(고려말)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덕산 수덕사 대웅전
- 조선초기 : 서울 남대문
탑
신라 : 신분 (분황사모전석탑)
백제 : 백익정 (익산미륵사지석탑, 정림사지석탑)
통신 : 통신불감 (불국사석가탑, 감은사지3층석탑)
고려 : 고려현경흥 (현화사, 경천사, 흥국사지, ~석탑)
조선 : 조선법원 (법주사팔상전(목탑), 원각사 10층석탑)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