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문화 Art, Culture/영화, 연극 Play, Film

고도를 기다리며, Waiting for Godot, 블라디미르, 에스트라공

Jobs9 2023. 9. 20. 07:22
반응형

원제는 'En attendant Godot'.
영문 'Waiting for Godot'.

사뮈엘 베케트의 희곡. 1953년 1월 5일 파리의 바빌론 극장(Théâtre de Babylone)에서 초연된 이래, 베케트의 대표작이자 부조리극의 대명사로 자리잡고 있다. 


부조리극의 '부조리'라는 낱말은 인간 존재의 의미와 무의미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부조리극이 이 문제의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부조리극 작품들은 깊은 나락의 염세주의와 기괴한 유머가 독특하게 뒤섞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요소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연극이 처음 상연되었을 때에는 일반 대중은 물론이고 연극 평론가들에게까지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 된다'는 혹평에 시달렸다. 반면에 캘리포니아 산 퀜틴 교도소의 죄수들은 이 연극을 보고 기립박수를 치며 눈물을 흘리는 등 그야말로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 한다. 당시 〈고도를 기다리며〉가 교도소에서 상연된 이유는 단지 여성 출연자가 없었기 때문이었는데, 연출자는 이런 힘빠지는 부조리극을 보여주면 죄수들이 열받아 폭동을 일으킬 것을 걱정했다고 한다.

이 작품이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혹은 고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는 수많은 견해들이 등장했다. 어떤 이는 고도가 바로 신(神)이라고 주장하기도 했고, 교도소에 수감된 이들에게는 '자유'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베케트는 자신조차도 고도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말했다. 고도라는 단어가 신을 의미하는 영어와 프랑스어 단어인 God과 Dieu의 합성어라는 주장도 널리 퍼져 있는데, 베케트는 "이 작품에서 신을 찾으려 하지 말라"는 부정에 가까운 뉘앙스의 발언을 남겼다.  

작가 사뮈엘 베케트는 이 작품 집필 이후, 196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김세영 글, 허영만 그림인 사랑해에서는 이 작품이 '별거 없이 고도를 기다렸더니 노벨문학상을 받았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본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에 대한 무지에 불과하다. 이 작품은 부조리극이라는, 과거에는 없었던 장르를 새로이 만들어낸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또한 노벨문학상은 작품이 아니라 작가에게 주는 상이므로 사뮈엘 베케트는 자신의 수많은 작품을 포함해 노벨상을 받은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도를 기다리며〉가 그의 대표작이라고는 할 수 있어도, 그가 이 작품 하나만으로 노벨상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다. 

 

 

줄거리
〈고도를 기다리며〉의 줄거리는 한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데, 바로 '기다림'이다. 이 작품은 희곡의 거의 모든 관습적인 기대를 깨버린다. 〈고도를 기다리며〉에서는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우스꽝스러운 인물들이 등장해 이해할 수 없는 허튼소리를 내뱉는 것이 전부이다. 심지어 두 주인공끼리 나누는 대화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쪽에서 밥은 먹었냐고 물어보면 다른 쪽은 난 술이 싫다고 동문서답하는 식이다.

두 남자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한 국도의 작은 나무 옆에서 '고도'라는 이름의 사람을 기다린다. 그들은 고도가 누구인지, 어떻게 생겼는지, 고도에게 뭘 원하는지도 모른 채 고도를 기다린다. 심지어 고도가 실존하는지도 확신하지 못한다. 둘은 이야기를 하지만 상호적인 대화로 이어지지 못한 채 마치 서로 벽에 외치는 것과 같이 피상적이 되어간다. 그러던 중 그들은 포조와 그의 짐꾼 럭키를 만나 대화를 나누지만, 역시 두서없고 무의미한 대화뿐이다. 밤이 되자 심부름을 하는 양치기 소년이 나타나 그들에게 '고도 씨는 내일 온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제2막(다음 날)도 비슷한 내용이 그대로 반복되는데, 등장인물들의 변화로 더 괴이한 느낌을 준다. 마지막엔 역시 양치기 소년이 등장하는데, 디디와 양치기 소년은 각자 하고 싶은 말만 할뿐 대화가 전혀 통하지 않는다. 결국 블라디미르는 양치기 소년에게 화를 내며 쫓아버리고, 잠을 자다 깬 에스트라공이 고도가 왔었는지 묻는다. 그는 차라리 멀리 떠나자고 하지만 블라디미르는 내일 고도를 만나러 여기 와야 한다고 상기시켜준다. 둘은 나무를 쳐다보며 목이나 맬까 하지만 끈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내일 끈을 챙겨와 고도가 안 오면 매자고 다짐한다. 말로는 떠나자고 하는 두 사람이지만, 그들은 여전히 움직이지 않는다. 

 

 

등장인물


블라디미르 (디디)
극의 두 주인공 중 한 명. '디디'라고 불린다. '다리를 벌려 종종걸음으로 걷는다'고 한다. 작중에서 명확하게 명시되어있지는 않지만, 관습적으로 블라디미르는 키가 크고 홀쭉한 반면에 에스트라공은 땅딸막한 이미지로 연출된다. 지적이고 말이 많은 성격으로 종종 철학자에 비유되기도 한다. 고도가 올 것이라고 믿고 있는 낙천주의자다. 모자를 벗어 두드리는 행동을 반복한다. 웃는 와중에 멈추고 소변을 보러 가는 장면에서 성병이 있음을 짐작케 한다. 이 역할을 맡았던 유명 배우로는 스티브 마틴, 패트릭 스튜어트 등이 있다. 

 

에스트라공 (고고)
극의 두 주인공 중 한 명. '고고'라고 불린다. 작중에서 묘사되는 바에 따르면 누더기 옷에 모자를 쓰고 있다. 블라디미르와는 반대로 단순하고 감정적인 비관론자다. 기억력이 좋지 않은듯, 어제에 일어난 일이나 만났던 사람 등에 대해서조차 전혀 기억하지 못하며 블라디미르에게 물어보기 일쑤이다. 자신의 신발과 자주 씨름하는 모양인데, 그 때문인지 다리를 저는 것으로 연출되기도 한다. 명대사로는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어(Nothing to be done)."가 있다. 극의 가장 첫 대사이기도 하면서 극중에서 계속해서 반복된다. 이 역할을 맡았던 유명한 배우들로는 이안 맥켈런, 로빈 윌리엄스 등이 있다. 

 

포조
지주. 짐꾼 럭키와 함께 등장하여 고고, 디디와 함께 대화를 나눈다. 권위적이고 멋부리기 좋아하며 짐꾼 럭키를 노예 부리듯이 하는 잔인한 인물이다. 자신의 짐과 트렁크를 잔뜩 들고있는 럭키를 목줄로 끌고 다닌다. 주로 뚱뚱한 모습으로 묘사되는 듯 하다. 2막에서 다시 등장할 때는 장님이 되어서 돌아온다. 

 

럭키
포조의 짐꾼. 그러나 사실상 노예에 가깝다. 포조의 짐을 잔뜩 지고 목줄에 매여 끌려다닌다. 역시 모자를 쓰고 있으며 백발이다. 거의 백치인 것처럼 보이며, 포조의 명령에 무조건적으로 순응한다. 대사가 많지 않은데, 작중에서 딱 두 번만 대사를 한다. 가장 유명한 장면은 역시 1막에서의 '생각' 장면. 포조가 '생각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가히 충공깽스러운 연설을 늘어놓기 시작하는데, 흡사 다음 블로그 등지에서 매크로로 생성되어 있는, 무작위 단어로 이루어진 의미 없는 장문의 뻘글들을 연상케 한다. 이 장면의 대사가 앞서 말한 두 문장 중 하나인데, 단어수만 해도 700개에 이른다. 

 

소년
'고도'의 심부름꾼으로 양치기 소년이다. 1막과 2막 후반부에 등장하여 고도 씨가 오늘은 오지 않고 내일 올 것이라는 전갈을 전하고 간다. 1막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블라디미르에게 어제는 온 적이 없다고 말하는데, 2막에서도 지난 날 왔음에도 불구하고 똑같은 대답을 한다. 또한 고도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수염이 하얀 것 같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고도
두 주인공이 항상 기다리고 있는 사람. 실제로 등장하지 않지만, 작품 안에서 그를 기다려야한다는 말은 계속 언급되며 두 주인공에게 기다림의 당위성을 부여한다.

 

 

해석
워낙에 모호하게 표현된데다가 멘붕 오는 내용 때문에 해석도 보는 제눈에 안경 식으로 백 명이 보면 백 명 다 다른 소리를 한다.

가령 포조와 럭키의 비참하리 만큼 잔인한 주종관계를 놓고, 영국을 등에 업고 지배하던 아일랜드의 상류층을 꼬집는 내용이라 하기도 하고, 프로이트적 해석으로 고고가 에고이고 디디가 이드라고 하는가 하면, 극중 많이 등장하는 성경 드립을 보고 이것은 본격 기독교 까는 내용이라 하기도 한다. 

물론 가장 다양한 건 고도의 정체다. 등장하지 않지만 하염없이 기다리는 고도는 보는 사람마다의 처지를 따라 여러가지로 갈린다. 


명대사
포조: 세상에는 눈물이 일정한 분량밖에 없어. 다른 데서 누가 또 울기 시작하면 울던 사람이 울음을 그치게 되는 거야. 웃음도 마찬가지지. 그러니까 우리 세대를 나쁘다고 하지 맙시다. 선배들보다 더 불행하지는 않으니까. 우리 세대를 좋다고도 말하지 맙시다. 그런 얘기는 꺼내지도 맙시다.
사람마다 조그만 십자가를 지지. 죽을 때까지. 그리고 기억에서 사라지네.

인간은 모두 태어났을 때부터 정신이 돌았어. 어떤 인간들은 그대로 돌아서 살지.

어느 날 나는 눈이 멀었고 어느 날 우리는 귀머거리가 될 것이오. 어느 날 우리는 태어났고 어느 날 우리는 죽을 것이오. 똑같은 날 똑같은 시각에 말이오.

태어날 때부터 무덤에 걸터앉게 되는 것이오. 눈 깜빡할 사이에 빛이 비치고는 또 다시 밤이 되는 것이오.
에스트라공: 나는 이런 짓을 계속할 수 없네.
블라디미르: 그것은 자네 생각이지.

블라디미르: 우린 여기서 할 수 있는 게 없네.
에스트라공: 어딜 가도 마찬가지지.
블라디미르: 고고, 그런 소리 말게. 내일이면 다 잘 될 거니까.
에스트라공: 잘 된다고? 왜?
블라디미르: 자네 그 꼬마가 하는 얘기 못 들었나?
에스트라공: 못 들었네.
블라디미르: 그 놈이 말하길 고도가 내일 온다는군. 그게 무슨 뜻이겠나?
에스트라공: 여기서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지, 뭐.

블라디미르: 내일 같이 목이나 매세. 고도가 안 온다면 말이야.
에스트라공: 고도가 오면?
블라디미르: 그럼 사는 거지.
럭키의 생각
포조: 그만 둬! (럭키 입을 다문다.) 뒤로! (럭키 물러선다.) 됐어! (럭키 멈춘다.) 돌아서! (럭키 관객을 향해 돌아선다.) 생각해!

럭키: (단조로운 어조로) 프왕송과 와트만의 최근의 공동 사업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까까까 흰 수염이 달린 까까까까 인격신은 공간의 시간밖에 존재하고 있어 거룩한 무감각과 거룩한 실어증 위 높은 곳에서 일부의 예의를 제외하고는 우리를 사랑하는데 그 까닭은 모르지만 곧 알게 될 터이고 거룩한 미란다의 본을 따서 고뇌 속에 불 속에 있는 자들과 함께 그 고통의 겪는데 그 까닭은 모르지만 시간을 두고 생각해 보기로 하고,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는 정신을 바짝 차리고 듣는다. 포조는 낙담과 혐오의 표정) 그 불과 불길은 조금만 더 계속되면 의심할 여지없이 결국에는 대들보에 불을 지르게 되겠는데 다시 말하면 지옥을 하늘까지 들어올리게 되겠는데 그 하늘은 오늘까지도 때로는 파랗고 고요하고 너무나 고요해서 비록 단속적이긴 하지만 그래도 반 가운데 속단은 금물이고 보니, 또 한편으로는 미완성인데도 불구하고 브레스의 베르스와 테스튜와 코나르의 인체체체 측정학 아카카카데미 수상 연구결과 인간의 계산에서 나오는 오류 이외에는 다른 어떠한 오류의 공산도 없이 다음과 같은 것이 설설 설정되었으니 바꾸어 말하면 속단은 금물이나 그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프왕송과 와트만의 연구 결과 명백하게 아주 명백하게 다음과 같은 사실이 판명 되었으니,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처음으로 수군거리기 시작. 포조는 더욱 괴로운 표정) 왜 그런지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미완성의 미완성의 테스튜와 코나르의 브레스의 인간은, 요컨대 영양 섭취와 오물의 제거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계속 여위고 있고 또 이와 병행해서 왜 그런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육체 훈련의 발달, 스포츠 행사의 발달, 이를테면 이를테면 테니스, 축구, 도보, 자전거 경주, 수영, 마술, 비행하기, 총포, 테니스, 빙상 스케이트, 롤러 스케이트, 테니스, 항공, 겨울, 여름, 가을, 가을스포츠 잔디밭 위의 전나무 위의 땅바닥 위의 테니스 항공 테니스 땅바닥 위의 바다 위의 공중의 락키 페니실린과 그 대용 약품에도 불구하고 요컨대 다시 말하거니와,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다시 귀를 기울이고 포조의 흥분은 고조되어 신음 소리까지 낸다.) 테니스 항공 아홉 구멍 짜리와 열 여덟 구멍 짜리 골프 빙상 테니스 요컨데 왜 그런지 모르지만 세느현 세느와즈현, 세느에 마르느현 마르느에 와즈현 다시 말하면 동시에 병행해서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다시 와즈 마르를 들자면 볼테르가 죽은 후로 파아프의 골통만큼 바싹 마르고 오그라들어 두 손가락 백 그람 정도가 되고 평균치로는 약 파이프의 골통만큼 되니 어림해서 대개 노르망디의 벌거벗은 사람의 몸무게는 넉넉히 되는데 왜 그런지 모르지만 그것은 문제가 안되지만 그게 사실이고 보면 또 한편으로는 이게 더욱 중대한 문제지만 다음과 같은 사실이 드러나서 더욱 중대한 문제지만 스타인베그와 퍼터만이 진행중에 있는 실험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사실이 드러나니 더더욱 중대한 문제지만,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감탄의 소리. 포조는 벌떡 일어나서 끈을 잡아당긴다. 모두들 소리친다. 럭키가 끈을 잡아당기고 휘청거리며 으르렁거린다. 모두들 럭키에게 달려든다. 그래도 럭키는 몸부림을 치며 대사를 외쳐 댄다.) 스타인베그와 페터만이 포기한 실험에 비추어 볼 때 들에서 산에서 바닷가에서 물가에서 불가에서 공기는 똑같고 땅도 같고 다시 말해서 공기와 땅은 혹독한 추위 때문에 공기와 땅은 오호라 그 제7기원의 혹독한 추위 때문에 돌들을 위해서 이루어졌고 그것은 다시 말하거니와 왜 그런지 모르지만 테니스에도 불구하고 사실이 그러하며 다시 말하거니와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아무도 의심할 수 없지만 돌을 위해서 다시 말하지만 그러나 속단은 금물이니 다시 말하지만 머리가 동시에 병행해서 왜 그런지 모르지만 테니스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수염 불길 눈물 그토록 푸르고 고요한 돌들이 오호라 머리, 머리 노르망디에서는 머리가 테니스와 더욱 중대한 문제지만 포기된 미완성의 업적에도 불구하고 요컨대 돌은 다시 말하거니와 오호라 오호라 포기된 미완의 업적에도 불구하고 머리 노르망디에서는 머리가 테니스에가 불구하고 머리가 오호라 돌들이 코나르 코나르…… (난투, 럭키는 그래도 몇 마디 소리를 더 지른다.) 테니스! 돌들이!…… 그토록 고요한 …코나르!… 미완성!…   

포조: 이놈의 모자를! (블라디미르가 럭키의 모자를 잡아 재낀다. 럭키는 입을 다물고 쓰러진다. 무거운 침묵. 승리자들은 헐떡인다.)
블라디미르의 독백
블라디미르: 남들이 괴로워 하는 동안에 나는 자고 있었을까? 지금도 나는 자고 있는 걸까? 내일 잠에서 깨어나면, 혹은 그걸 인식하게 될 때, 오늘 일을 어떻게 말하게 될까? 내 친구 에스트라공과 이곳에서 밤이 올 때까지 고도를 기다렸다 말하게 될까? 포조가 짐꾼을 데리고 우리에게 말을 걸었다고 말하게 될까? 아마 그렇겠지. 하지만 이것들 중 진실이 있긴 할까? (에스트라공은 신발을 벗으려고 힘쓰지만 실패하고 자버린다. 블라디미르는 그를 바라본다.) 저 친구는 아무 것도 모르겠지. 저 친군 또 어디선가 맞은 얘기를 하고 나는 당근을 주겠지. (사이) 무서운 산로와. 일꾼들은 구덩이 아래서 끊임없이 땅을 파며. 우리는 나이를 먹고. 하늘은 우리의 외침으로 가득하구나. (듣는다) 하지만 습관은 우리의 귀를 닫아버리지. (그는 에스트라공을 바라본다) 누군가는 나를 바라보고 이렇게 말하겠지. 저 친구는 자고 있다고. 아무 것도 모른다고. 그러니 계속 자게 두라고. (사이) 더 이상은 버틸 수 없을 것 같구나! (사이) 내가 뭐라 떠들어댔지?   

 

마지막 장면
블라디미르: 자, 그럼 갈까?
에스트라공: 그래, 가세.
(그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Waiting for Godot


Waiting for Godot, tragicomedy in two acts by Irish writer Samuel Beckett, published in 1952 in French as En attendant Godot and first produced in 1953. Waiting for Godot was a true innovation in drama and the Theatre of the Absurd’s first theatrical success. 

The play consists of conversations between Vladimir and Estragon, who are waiting for the arrival of the mysterious Godot, who continually sends word that he will appear but who never does. They encounter Lucky and Pozzo, they discuss their miseries and their lots in life, they consider hanging themselves, and yet they wait. Often perceived as being tramps, Vladimir and Estragon are a pair of human beings who do not know why they were put on earth; they make the tenuous assumption that there must be some point to their existence, and they look to Godot for enlightenment. Because they hold out hope for meaning and direction, they acquire a kind of nobility that enables them to rise above their futile existence.  


Theatre of the Absurd, dramatic works of certain European and American dramatists of the 1950s and early ’60s who agreed with the Existentialist philosopher Albert Camus’s assessment, in his essay “The Myth of Sisyphus” (1942), that the human situation is essentially absurd, devoid of purpose. The term is also loosely applied to those dramatists and the production of those works. Though no formal Absurdist movement existed as such, dramatists as diverse as Samuel Beckett, Eugène Ionesco, Jean Genet, Arthur Adamov, Harold Pinter, and a few others shared a pessimistic vision of humanity struggling vainly to find a purpose and to control its fate. Humankind in this view is left feeling hopeless, bewildered, and anxious. 

The ideas that inform the plays also dictate their structure. Absurdist playwrights, therefore, did away with most of the logical structures of traditional theatre. There is little dramatic action as conventionally understood; however frantically the characters perform, their busyness serves to underscore the fact that nothing happens to change their existence. In Beckett’s Waiting for Godot (1952), plot is eliminated, and a timeless, circular quality emerges as two lost creatures, usually played as tramps, spend their days waiting—but without any certainty of whom they are waiting for or of whether he, or it, will ever come.  


Language in an Absurdist play is often dislocated, full of cliches, puns, repetitions, and non sequiturs. The characters in Ionesco’s The Bald Soprano (1950) sit and talk, repeating the obvious until it sounds like nonsense, thus revealing the inadequacies of verbal communication. The ridiculous, purposeless behaviour and talk give the plays a sometimes dazzling comic surface, but there is an underlying serious message of metaphysical distress. This reflects the influence of comic tradition drawn from such sources as commedia dell’arte, vaudeville, and music hall combined with such theatre arts as mime and acrobatics. At the same time, the impact of ideas as expressed by the Surrealist, Existentialist, and Expressionist schools and the writings of Franz Kafka is evident.  

Originally shocking in its flouting of theatrical convention while popular for its apt expression of the preoccupations of the mid-20th century, the Theatre of the Absurd declined somewhat by the mid-1960s; some of its innovations had been absorbed into the mainstream of theatre even while serving to inspire further experiments. Some of the chief authors of the Absurd have sought new directions in their art, while others continue to work in the same vei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