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세대라도 미혼 기혼 구분 없으면 가족 구분 안됨.
부부와 미혼 자녀 2세대 가구 - 핵가족
부부와 기혼 자녀 2세대 가구 - 확대 가족
1. 가족의 의미
-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회 제도
일반적 정의
- 결혼, 출산 또는 입양을 통해 맺어진 사람들의 집단
가족에 대한 정의의 변화
- 사회 변동에 따라 가족을 기준 짓는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
2. 가족의 기능
가족의 기본적 기능
- 사회 구성원의 재생산 : 자녀의 출산으로 새로운 사회 구성원을 충원, 사회 영속성 보장
- 양육과 보호 : 어린이와 노인 등 도움이 필요한 가족 구성원을 양육하거나 보호
- 1차적 사회화 :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 행동 양식 및 사회적 규범 습득
- 정서적 안정의 제공 :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만족감 제공, 가치관 형성
가족 기능의 변화
- 사회 변동 및 사회 제도의 분업과 전문화로 가족 기능이 축소·약화되고 있음
- 재생산과 사회화 기능, 정서적 안정의 기능은 여전히 가족의 중요한 기능으로 남아 있음
- 가족 기능의 약화 : 저출산 문제
전통 사회
- 생존 및 사회 유지에 필요한 생산, 교육, 부양, 양육 기능이 가족 중심으로 이루어짐
산업화 이후
- 생산 기능 : 기업 담당
- 교육 기능 : 학교, 전문 기관
- 사회 보장 기능 : 사회 복지 시설
확대 가족과 핵가족
구분 | 확대 가족 | 핵가족 |
정의 |
|
|
특징 |
|
|
장점 |
|
|
단점 |
|
|
산업화와 가족 형태의 변화
한국 사회의 가족은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어 왔다. 직장, 교육 여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사회 이동이 증대하면서, 가족 형태도 대가족, 확대 가족에서 이동이 쉬운 소가족, 핵가족으로 변화해 왔다. 또 인구 조절을 위해 시행된 산아 제한은 전체 인구는 물론이고 가족 규모를 줄이는 데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달리 의학 발달은 사망률을 감소시켜 한국 사회를 고령화 사회로 바꾸어 놓고 있다. |
- 1960년대 이후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우리 사회의 가족 형태는 확대 가족에서 핵가족 중심으로 변화하였음
- 이러한 변화는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변화 하면서 생기는 삶의 방식의 차이에 기인함
- 더 이상 대규모 노동력이 필요 없게 되었으며, 직장을 찾아 쉽게 이동하기 위해 가족 규모는 부부 중심의 소규모로 변화하게 되었음
- 최근 들어서는 독신자와 노인 가구의 증가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음
가족 형태의 다양화
- 사회 변동, 의식의 변화(개인주의, 양성평등), 세계화 등
- 노인 단독 가구(고령화 현상), 한부모 가족(이혼 증가), 다문화 가족(세계화) 등
가족 구조적인 측면 | 한 부모가족, 미혼모 가족, 무자녀 가족, 노인가족 |
가족 구성원의 특성 측면 | 재혼 가족, 입양 가족, 다문화가족 |
생활 양식 측면 | 부부취업가족, 분거 가족(주말부부가족, 기러기 가족) |
탈근대적 측면 | 미혼독신가족(1인가족), 동거 가족, 동성애 가족, 공동체지향가족 |
반응형
가족 형태의 변화
|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