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영시, Poem, English poetry

Tree at My Window, Robert Frost, 창가의 나무, 프로스트

Jobs 9 2024. 11. 9. 20:43
반응형

 

 

Tree At My Window


Tree at my window, window tree,
My sash is lowered when night comes on;
But let there never be curtain drawn
Between you and me.

Vague dream head lifted out of the ground,
And thing next most diffuse to cloud,
Not all your light tongues talking aloud
Could be profound.

But tree, I have seen you taken and tossed,
And if you have seen me when I slept,
You have seen me when I was taken and swept
And all but lost.

That day she put our heads together,
Fate had her imagination about her,
Your head so much concerned with outer,
Mine with inner, weather.

 

 

 

 

In "Tree At My Window," the speaker's connection with the tree outside their window is explored. The tree is a symbol of the natural world, while the speaker represents the human experience. The poem explores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worlds, as well as the similarities that unite them. 

The first stanza introduces the setting of the poem. The speaker is in their home, looking out their window at a tree. The time is night, and the speaker has lowered their sash. This suggests that the speaker is alone and seeking solitude. 

The second stanza describes the tree in more detail. The speaker's gaze is drawn to the tree's "lifted" head and its "talking" leaves. These details animate the tree, giving it a sense of agency. The speaker also notes that the tree's "light tongues" are "not all ... profound." This suggests that the natural world is not entirely comprehensible to humans. 

The third stanza of the poem takes a more introspective turn. The speaker reflects on a time when they were lost. They tell the tree, "You have seen me when I slept / And all but lost." These lines suggest that the tree has been a witness to the speaker's most vulnerable moments. 

The fourth and final stanza of the poem return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tree. The speaker tells the tree, "That day she put our heads together / Fate had her imagination about her." These lines suggest that the speaker sees the tree as a confidant. It is someone they can shar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Tree At My Window" is a poem about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world. The tree is a symbol of the beauty and power of the natural world, while the speaker represents the human experience. The poem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se two worlds are both connected and separate. 





창가의 나무

내 창가에 선 나무, 창가 나무야
밤이 오면 난 창틀을 내린단다
하지만 너와 나 사이에
커튼은 치지 말기로 하자꾸나

땅에서 들어올린 몽롱한 꿈의 머리
구름에 버금가게 산만한 것이여
가벼운 네 혀들이 지껄이는 소리
죄다 심각한 말들은 아니리라

허나 나무여 난 네가 요동치는 걸 보았다
자고 있는 내 모습을 네가 보았다면
나 역시 들썩이고 뒤척이는 걸 보았겠지
그리고 거의 절망에 빠진 것을

운명이 우리의 머리 맞대 놓은 그날
여신은 머리를 써서 그렇게 했던 것
외부의 날씨에 마음 쏟는 네 머리와
내부의 날씨에 마음 쏟는 내 머리를

 

 



인간은 고독한 존재이기에 무엇인가를 이야기할 상대가 절실하다. 그 상대가 때로는 창가의 나무일 수 있다. 창문을 사이에 두고 나무는 밖에 있고 인간은 안에 있지만, 잠을 잘 때도 투명한 유리창을 통해 무언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의 화자는 나무와의 교감을 갈망한다. 그가 밤에 새시를 내려도 커튼을 치고 싶지 않은 이유다.

잠자는 나무가 크고 작은 바람에 머리를 뒤척이듯이, 화자 역시 크고 작은 꿈으로 머리를 뒤척인다. 나무의 혀-나뭇잎-들이 말하는 것들이 모두 심오한 것일 수 없듯이, 화자가 꿈으로 말하거나 쓰는 것들 또한 모두 심오한 것일 수는 없을 것이다. 어쩌면 개꿈처럼 어수선하고 산만하리라.

꿈에 뒤척거리는 사람은 육체적 고통이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그것도 흔히 만성적이기에 망연자실한다. 사실 나무는 꿈을 꾸거나 말하지 않는다. 꿈에 시달리고 여러 “혀”로 말하는 것은 화자 자신이다. 나무는 바람에 흔들릴 뿐이다. 화자는 자신의 감정을 나무에 이입하는 것이다.

“큰소리로 말하는 당신의 가벼운 혀들이/ 죄다 심오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나무의 슬기 부족을 변명하는 것은 실은 화자―시인?―의 말이나 글이 심오하지 못함을 돌려 말하는 것이다. 나무는 시인의 상징으로 읽을 수 있다. 나무와 시인의 “머리”는 꿈과 지혜를 공유한다.

나무와 시인은 하나의 머리로 어우러진다. 하지만 나무는 “외적”-물리적-날씨에 시달리고 시인은 “내적”―심리적, 형이상학적―날씨에 시달린다. 나무는 키를 갖고 있지만, 시인은 깊이를 갖고 있다. 나무와 시인은 같으면서도 같지 않다. 같은 집의 일부이지만, 한쪽은 창 밖에서 서서 자고, 다른 한쪽은 방안에 누워서 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