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그 News-log

OTT(Over The Top),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Apple TV, 디즈니+

Jobs 9 2021. 11. 21. 10:48
반응형

OTT(Over The Top)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방송/프로그램 등의 미디어 컨텐츠를 시청(소비)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적인 서비스이다. 

Over the Top은 직역하면 "셋톱박스(Top)을 넘어"라는 뜻으로 셋톱박스(Top)라는 하나의 플랫폼에만 종속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콘솔 게임기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한다는 의미로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시청(소비)할 수 있는 실시간 방송과 VOD를 포함한 차세대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 디바이스가 진화되면서, 디바이스 간의 연동 서비스를 사용자가 쉽게 공유하고 실행하기 위한 기술적인 규격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넷플릭스의 대성공 이후 아마존닷컴, Apple, 디즈니 같은 전세계의 수많은 거대 기업들이 이를 미래 핵심서비스로 인식해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OTT 서비스의 경우 IPTV와 동일한 Internet Protocol을 사용하는 영상전송 방식이므로 IPTV 관련법을 수정하여 법적용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학계의 주장[1]이 있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는 OTT가 아직 시장형성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제를 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보이고 있다. 아마도 OTT 시장이 더욱 성장하면 방송 및 IPTV 관련 법을 수정하여 시청자보호 및 내용규제 등의 내용이 법령에 반영될 것이라고 예측이 된다. 

2021년 현재, 한국내에서는 넷플릭스가 압도적 1위이고 wavve와 TVING이 2위 싸움을 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2020년말 기준 유료가입자가 758만명까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디즈니+는 한국 통신사 3사와 물밑협상중인데 특히 KT나 SKT와는 달리 자체 OTT 서비스가 없다시피한 LG U+가 가장 적극적이라는 후문.

21년 9월 LG U+와 디즈니+가 IPTV와 모바일 제휴를 위한 계약을 완료했다. 

디즈니+는 21년 11월 12일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다.

Apple TV+와 Disney+가 각각 11월 4일,12일에 출시되었다. 해외 OTT가 계속되서 한국에 출시되고 있는 중이고, 동아시아 최초의 Apple TV+ 콘텐츠인 Dr. 브레인이 공개되었다. 추후에는 HBO 맥스 또한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넷플릭스의 한국 출시 이후 오리지널 컨텐츠의 세계적 인기와 K-드라마, KPOP 등의 인기 또한 버프받은것으로 풀이되었다. 


넷플릭스
프라임 비디오 (아마존닷컴)
디즈니+
ESPN+
스카이쇼타임(SkyShowtime)[6]
Hulu
파라마운트+
HBO 맥스
Apple TV+
피콕

wavve (SK텔레콤/SBS/MBC/KBS)
TVING (CJ ENM/JTBC)
U+모바일tv (LG U+/유플릭스)
쿠팡플레이 (쿠팡)
왓챠
Seezn (KT)
라프텔 (리디북스)
카카오TV (카카오)
카카오페이지 (카카오)
삼성 TV 플러스 (삼성전자)
SPOTV NOW (SPOTV)
곰TV (곰앤컴퍼니)
비플릭스
V LIVE
네이버TV (네이버)
네이버 시리즈온 (네이버)

Le.com
아이치이
요우쿠-투더우
텐센트 비디오
망고 TV
AbemaTV
VIKI
GYAO!
NHK+
FOD
Hulu(일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