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현대 소설 정리 #02-현대 소설의 흐름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Jobs 9 2022. 11. 10. 09:51
반응형

● 현대 문학의 태동기

(1908년~1919년)

1. 시대 개관

(1) 기간 : 1910년 (1908~1919년 (3․1운동)) 의 문학으로, 이 시기를 『2인 문단 시대』라고도 한다.

 

(2) 배경 : 한일 합방(1910년)을 계기로 민족 의식의 제고가 요청되던 시기였고, 문학적 측면에서는 신문학의 흐름이 계속되면서도 서구 문학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기법과 의식을 담은 현대 문학이 출현한 때였다.

 

(3) 특성

① 최남선과 이광수의 문학활동이 두드러진 2인 문단 시대였다.

② 서구의 근대 의식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보수와 진보의 대립과 갈등이 있었으며, 전근대적 사회를 극복하고 우리 민족의 새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계몽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③ 최남선의『신체시』와 이광수의 최초의 현대 장편소설 『무정』이 등장함에 따라 현대 문학이 태동하였다.

④ 김억의 주도로 간행된 『태세 문예 신보』를 통하여 서구 문예 사조가 소개되기 시작하여 시에 있어서 상징주의 시가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2. 소 설

① 단편 소설 : 1910년 이광수에 의해「어린 희생」이「소년」지에 발표된 이래, 단편「무정」(1910), 「헌신자」(1910), 1917년에「소년의 비애」, 1918년에「방황」, 「윤광호」가 발표되었다.

② 장편 소설 : 최초의 현대 장편 소설인「무정」이 1917년 「매일 신보」에 연재되었고, 1917년부터 1918년까지「매일 신보」에「개척자(開拓者)」가 연재되었다.

 

 

현대 문학의 모색기

(1919~1920년대)

1. 시대 개관

⑴ 기간 : 1920년대(1919년 손 문예 동인지「창조(創造) 창간 이루 1920년대 말까지).

「문예 사조 도입기」, 「동인지 문단 시대」라고도 한다.

 

⑵ 배경 : 3․1운동의 실패, 좌익 이데올로기의 등장, 본격적인 서구 문예 사조가 유입된 시기였다.

 

⑶ 특성

① 문학적인 저변 확대 : 일제의 문화 정책으로 1920년대「조선 일보」와「동아 일보」가 창간되었고,「창조」를 비롯한 「백조」, 「폐허」, 「장미촌」등의 문학 동인지가 속촐하면서 전문적인 문인들이 등장하여 문학의 저변이 확대되었다.

 

② 서구 문예 사조의 혼류 : 이 시기에 서구의 문예 사조인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등이 한꺼번에 밀려들면서 우리 문학의 선구화․현대화를 촉진하였다.

 

③ 본격적 현대 문학의 대두 : 1910년대의 교훈주의적 문하게에 대한 반발로 서구 문학의 수용이 더욱 활발해지고, 이와 아울러 우리의 전통 문학의 계승 의지도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면서 예술로서의 문학의 본격적인 현대성이 추구되었다.

 

④ 계급 문학의 대두와 국민 문학파의 등장

㉠ 신경향파(新傾向派) : 1923년경 낭만주의에 반동하여 사회주의적 배경을 지니고 나타난 동인회 「염군사( 焰群社,1923)」와「파스큘라(1923)」가 그것이며, 이들의 작품 내용상 특징은, ⒜계급 사조의 문학 ⒝무산 계급의 문학으로서 빈곤, 반항, 투쟁등이다. 작가와 작품으로는, 서설 분야에 기진의 「붉은 쥐」,「젊은 이상주자의 죽음」, 박영희의 「전투(戰鬪)」, 「사냥개」, 「지옥 순례」, 최학송(崔鶴松)의 「고국」, 「탈출기」, 주요섭의 「인력거꾼」, 「살인」등과 시 분야에서는 김기진의 「백수의 탄식」등이있다.

㉡ 카프(KAPF)의 결성 : 1925SUS 「염군사」와 「파스큘라」가 합동하여 보다 조직적인 진열을 갖춘 단체이다. 소위 「예술(藝術을 무기로 하려 조선 민족의 계급적 해방을 목적으로 한다」.는 행동 강령을 내세워 전투적인 태세를 갖추었다. 소설로는 이기영의 「가난한 사람들」등과 시인으로는 김창술, 임화를 들 수 있다.

 

⑤ 3․1운동 직후, 시에는 감상적 낭만주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소설에서는 패배적인 분위기와 인물 묘사가 나타났다.

 

 

2. 소 설

① 소설의 예술성 추구 : 계몽주의 경향을 극복하고, 문학에 있어서의 문학 본래의 순수성을 추구함으로써 문학의 독자적 가치를 확립하였다. 김동인, 염상엽, 현진건, 나도향 등이 대표적 작가들이다.

 

② 사실주의적 경향 : 당시의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려 하였다. 김동인(金東仁)은「배따리기」,「감자」등을 통하여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인간적 고뇌, 삶의 환경 결정론 등을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제시하였고, 염상섭(簾想涉)은 「표본실의 청개구리」르 통하여 암울한 시대의 지식인의 고뇌를 해부하였으며, 현진건(玄鎭健)은 「빈처」,「운수 좋은 날」등에서 서민들의 빈궁한 삶의 모습을 그리면서,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묘사하였다.

 

③ 경향 소설의 등장 : 카프 결성을 전후로 등장한 소설은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를 강조한 목적 문학이었다. 대표 작품으로는 최서해의 「탈출기」, 주요섭의 「인력거꾼」등이 있다.

 

④ 기법의 진전 : 기법상(技法上) 전대 소설과는 달리, 완전한 언문 일치제의 문장 구사, 구성상의 긴밀성, 묘사의 객관성과 치밀성, 결말의 비극성 등이 이루어졌다.

 

⑤ 동반자(同伴者) 작가의 활동 : 카프에 가담하지는 않았으나 프로 문학에 동조하는 작가들이 나타났다. 이효석(李孝石)은 「행진곡」,「도시와 유령」등을, 유진오(兪鎭午)는 「오월의 구직자」등을 발표함으로써 이런 경향을 보였다.

 

 

 현대 문학의 정립기

(1930년대초~8·15 광복)

1. 시대 개관

(1) 기간 : 1930년대 초부터 ‘일제 말까지로 본격적 현대 문학이 정립되는 시기이다.

 

(2) 배경 : 만주 사변,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등으로 일제의 탄압이 심해져 우리의 말과 글을 쓰지 못하게 함으로써 문화적 공백기를 갖게 되었다.

 

(3) 특성

① 목적 문학의 퇴조와 순수 문학의 지향 : 일제의 탄압이 가중됨에 따라 카프가 해제되고, 문학의 순수성과 예술성을 지향하는 세력이 문단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시문학파』, 『구인회(九人會)』등은 문학의 예술적 기능을 중시한 문인들의 모임이었다.

② 주지적 경향 : 이 시기에는 현실에 대한 지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주지적 경향이 나타났다.

 

󰏗 모더니즘(modernism) : 기성의 규준에 반대하고 나서는, 20세기의 여러 새로운 예술적, 사상적 사조들을 지칭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김기림, 김광균 등에 의해 주도된 영·미 주지주의의 영향을 받은 문학을 말하며, 시에 있어 시각적 이미지를 중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③ 저항 의식의 표현 : 일제의 탄압이 가중됨에 따라 표면적으로 순수 문학과 현실적 삶의 문제를 다룬 문학을 지향함으로써 일제에 대하여 소극적 저항을 보였으며, 브나로도 운동의 경향으로 농촌 계몽 문학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④ 문학의 소재와 형식이 다양해지며, 문학의 예술적 수준이 향상되었다.

 

⑤ 주지주의, 초현실주의 등 새로운 서구 문학을 수용함으로써 보다 성숙된 문학적 기교를 구사하였다.

 

⑥ 시문학파, 주지파, 생명파, 자연파 등 다양한 유파를 형성하였다.

 

 

2. 소 설

① 사실적 소설 : 유진오, 이효석, 김유정, 채만식 등이 한층 심화된 사실적 묘사로 일제치하 지식인의 문제와 농민의 삶을 작품화하였다.

㈀ 유진오의 『김 강사와 T교수』: 지식인의 부적응을 묘사함.

㈁ 이효석 : 서정적인 소설을 개척함.

㈂ 김유정 : 골계적(滑稽的)인 소설을 발표함.

㈃ 채만식의 『레디 메이드 인생』: 지식인의 문제를 풍자(諷刺)적으로 다룸.

 

② 지적인 실험 소설 : 지적인 실험 정신에 입각한 작가는 이상으로서, 그의 시 『오감도(烏瞰圖)』와 소설 『날개』 는 일체 치하의 우리 지식인들의 공포 의식과 좌절의식을 가장 잘 작품화한 예이다.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인물들은 자아의 분열상(分裂相)을 보였고, 이야기는 『의식의 흐름』에 따라 서술되고 있다.

 

③ 농촌 소설 : 브나로드 운동의 영향으로 농촌의 삶과 문제를 다룬 작품의 출현도 주목된다. 계몽적 성격이 강한 심훈의 『상록수』, 이광수의 『흙』, 농촌의 궁핍한 삶을 그린 이무영의 『제1과 제1장』, 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김정한의 『사하촌(寺下村)』, 향토색 짙은 농촌의 건강한 삶을 이룬 이효석, 김유정의 작품 등이 있다.

 

④ 역사 소설 : 일제의 탄압에 대응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역사 소설도 발표되었다. 이광수의 『이차돈의사』, 『이순신』, 김동인의 『젊은 그들』, 『운현궁의 봄』, 박종화의 『금삼의 피』, 『대춘부』, 현진건의 『무영탑』등이 있다.

 

⑤ 문학의 예술성 추구와 함께 인간의 근원적 삶의 문제를 천착한 작품들로는, 염상섭의 『삼대』,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정비석의 『성황당』, 그리고 김동리의 『무녀도』, 『바위』등이 있다.

 

⑥ 여류 작가인 강경애(姜敬愛), 최정희(崔貞熙), 백신애(白信愛)등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반응형

 

 현대 문학의 전환기

(8·15광복~6·25)

1. 시대 개관

⑴ 기간 : 8․15광복 이후부터 6․25 동란(1950)까지를 말한다.

 

⑵ 배경 : 8․15광복과 함께 우리 민족은 좌우익 사이의 극심한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갈등으로 내적 혼란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정부 수립으로 안정되는 모습이 보이다가 곧 6․25를 맞게 되었다.

 

⑶ 특성

① 문학에서의 이념 논쟁 : 8․15직후부터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일어나, 문단은 우익과 좌익으로 양분되었다.

㈀ 좌익 : 1945년 8월에 「문학 건설 본부」, 9월에 「전국 프롤레타리아 예술 동맹」, 12월에는 이 두 단체가 통합된 「문학가 동맹」을 발족시켰다.

㈁ 우익 : 민족주의 진영에서는 1945년에 「중앙 문학 협회」, 1946년 4월에 「조선 청년 문필가 협회」, 1947년에「전국 문화 단체 총연합회」를 조직하였다.

 

② 문학 논쟁 : 김동석의「순수 문학의 정체」와 김동리의「독조 문학의 본질」로 시작되었다. 민족 문학파의 입장은 당의 문학에 대하여 인간의 문학을 정치주의 문학에 대하여 순수 문학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③ 이 시기의 문학은 일제 치하에서의 절박한 삶의 체험, 고향을 잃은 자들의 귀향 의식을 주로 표현하였다.

 

⑵ 소 설

① 식민지 의식의 정리 : 일제 시대에 우리 민족이 겪었던 고통스러운 삶을 체험으로 승화시켜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 작품으로 채만식의 「논 이야기」, 계용묵의「바람은 그냥 불고」, 이봉구의「도정」등이 발표되었다.

 

② 귀향 의식 : 해방이 되면서 고향을 찾게 되는 의식을 그린 일련의 작품으로, 당시의 사회 현실을 담은 것이다. 김동리의 「혈거 부족」, 계용묵의「별을 헨다」, 정비석의「귀향」,엄홍섭의「귀환 일지」등이 있다.

 

③ 분단 의식 : 삼팔선의 분단 문제 및 미.소 양군의 진주와 군정을 그리는 작품이다. 염상섭의「삼팔선」, 「이합」, 계용묵의「별을헨다」등이 있다.

 

④ 순수 의식 : 문학의 기능이나 관계는 고려함이 없이 평범하거나 보편적인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염상섭의「두 파산, 임종, 양과자 집」, 김동리의「역마, 달」등이 있다.

 

⑤ 신인 등장 : 김성한, 오영수, 손창섭 등이 있다.

 

 

 현대 문학 발전기

(1950년대의 문학)

1. 시대 개관

⑴ 기간 : 6․25이후부터 1956년대 말까지 약 10년간의 시기를 말한다.

 

⑵ 배경 : 동족 상잔의 비극적 전쟁으로 인하여, 우리 민족은 수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와 함께 정신적으로도 심각한 상처를 받았고, 기존의 가치관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의 정립이 요구된 시기였다.

 

⑶ 특성

① 참여 문학과 순수 문학이 한국 문학에 커다란 두 가지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② 전후 문학이 등장하여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정신적 피폐상과 인간성 상실의 문제, 분단 현실의 아픔, 절망적인 시대 상황 등을 혁신적인 기법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③ 서구의 실존주의 문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하면서 인간의 본질 문제, 인간 존재의 해명 등을 담은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 전후 문학의 개념

세계 제 1. 2차 대전 후의 문학을 말하는데 최근에는 제2차 대전 후의 문학을 특히 전후 문학이라 한다. 전후의 비참한 현실, 사회의 부조리, 불안 의식을 형상화하는 데 본질적 특색이 있다. 한국의 전후 문학은 6․25이후에 본격화되고 한국 문학의 중요한 제재와 테마가 되었다.

 

⑵ 소 설

① 6․25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1950년대 후반 이후 많이 발표 되었다. 황순원의「학」,김동리의「귀환 장정」 등이 대표작이다.

 

② 전쟁의 상흔, 전후의 사회상, 민족 분단의 비극성, 전후의 가치관의 변동 등을 주제화하여 인간의 삶의 문제를 파헤친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김동리의「밀다원 시대」, 「실존무」,황순원의「카인의 후예」, 「인간 접목」, 안수길의「제3인간형」, 손창섭의「비 오는날」,「혈서」,「잉여 인간」,장용학의 「요한 시집」,「비인 탄생」, 김성한의 「5분간」,「방황」, 오상원의「유예」,「백지의 기록」, 이범선의「학마을 사람들」, 「오발탄」, 하근찬의「수난 이대」등이 있다.

 

③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 의식을 보인 작품들도 발표되었다. 대표작으로 김성한의「바비도」, 오상원의「모반」, 선우휘의「테러리스트」,「불꽃」, 서기원의「암사지도」, 송병수의「쑈리.킴」, 박경리의「불신 시대」, 김광석의「213호 주택」, 이호철의「파열구」등이 있다.

 

④ 인간의 본질적인 삶의 문제를 서정적 필치로 다룬 순수 소설들이 있었다. 오영수의 「갯마을」, 한무숙의「감정이 있는 심연」, 전광용의「흑산도」, 강신재의「절벽」등이 대표적이다.

 

 

 현대 문학의 성숙기

(1960년대 이후)

1. 시대 개관

⑴ 배경 : 4․19와 5․16이라는 정치적 격동기를 배경으로 1950년대의 문학을 계승, 발전시켜 보다 성숙된 현대 문학으로 발돋움한 때이다.

 

⑵ 특성

① 정치적 소용돌이를 거치는 동안 현실 참여적 성격의 문학이 강력하게 대두되었다.

② 사회 현실에 대한 통찰과 인식, 역사에 대한 반성과 비판 등은 사실주의 경향의 문학이 이 시기의 주류를 형성하도록 만들었다.

③ 여전히 문학의 순수성을 옹호하는 전통적 서정주의와 기교주의 문학이 발표되었다.

④ 많은 작가들이 다양한 경향의 작품은 발표되었으며, 기교적 측면도 보다 세련되고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 소 설

1950년대의 소설을 계승하면서 이를 보다 심화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현실 인식과 인간 존재에 대한 해명, 현실 참여적 성격 등을 보였으며, 사실주의적 기법을 폭 넓게 수용하였다.

 

① 전쟁의 상흔과 민족의 비극을 조명한 작품 : 황순원의「나무들 비탈에 서다」, 오상원의「황선 지대」, 강용준의「철조망」,「밤으로의 긴 여로」 등이 있다.

 

② 현실 참여주의적 작품 :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인간 단지」, 손창섭의「부부」,「길」, 이호철의「판문점」,「소시민」,「닳아지는 살들」, 선우휘의 「망향」, 전광용의「나신」,「꺼삐딴 리」, 한근찬의「야호」,「왕릉과 주둔군」, 이문구의「장한몽」, 방영웅의「분례기」, 유현종의「불만의 도시」,「섬진강」 등이 있다.

 

③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작품 : 안수길의 「북간도」,김정한의「수라도」, 김성한의「이성계」, 서기원의「혁명」,유주현의「조선 총독부」, 한근찬의「족제비」,「일본도」등이 있다.

 

④ 순수 지향의 작품 : 김동리의「등신불」,「늪」,「윤사월」,오영수의「머루」,「후조」,「메아리」, 박영준의「오늘의 신화」,「종각」,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강신재의「임진강의 민들레」, 김승옥의「서울, 1964년 겨울」, 서정인의 「후송」,「강」,「원무」, 이청준의「퇴원」,「병신과 머저리」,박태순의「연애」등이 있다.

 

 

 

현대 문학상의 최초의 작품

 

1. 국한문 혼용체

① 서적 : 서유견문 (1887, 유길준) → 언문 일치의 선구

② 신문 : 한성주보 (1886, 김윤식)

 

2. 신문

① 순한문 : 한성순보 (1883, 민영목)

② 순한글 : 독립신문 (1896, 서재필)

 

3. 신극 : 은세계 (1908, 이인직) → 원각사에서 상연

 

4. 희곡 : 병자 3인 (1912, 조중환)

 

5. 극장 : 원각사 (1909, 이인직)

 

6. 현대극 : 토막 (1931, 유치진) → 극예술 연구회에서 공연

 

7. 종합 잡지 : 소년 (1908, 최남선)

 

8. 시 전문지 : 장미촌 (1921, 황석우. 노자영. 변영로 등) → 낭만주의 표방

 

9. 순 문예지 : 창조 (1919, 주요한. 김동인 등) → 사실주의 표방

 

10. 문예 주간지 : 태서 문예 신보 (1918, 장두철) → 김억이 프랑스의 상징시 소개

 

11. 추천제 : 조선 문단 (1924, 이광수) → 민족주의 표방

 

12. 신소설 : 혈의 누 (1906, 이인직) → 만세보 연재

 

13. 현대 단편 소설 : 어린 희생 (1910, 이광수)

 

14. 현대 장편 소설 : 무정 (1917, 이광수) → 매일 신보에 연재

 

15. 신체시 : 해에게서 소년에게 (1908, 최남선) → 「소년」창간호에 게재

 

16. 현대적 자유시 : 불놀이 (1926, 주요한) →「창조」창간호에 게재

 

17. 창작 시조집 : 백팔 번뇌 (1926, 최남선) → 시조 108수 수록

 

18. 근대 번역 시집 : 오뇌의 무도 (1921, 김억)

 

19. 개인 창작 시집 : 해파리의 노래 (1923, 김억)

 

20. 현대 서사시 : 국경의 밤 (1925, 김동환)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