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초토의 시 8, 구상 [현대시]

Jobs 9 2024. 6. 3. 09:36
반응형

초토의 시 8  - 적군 묘지 앞에서 -

구상

오호, 여기 줄지어 누웠는 넋들은
눈도 감지 못하였겠고나.
 
어제까지 너희의 목숨을 겨눠
방아쇠를 당기던 우리의 그 손으로
썩어 문드러진 살덩이와 뼈를 추려
그래도 양지바른 두메를 골라
고이 파묻어 떼마저 입혔거니
 
죽음은 이렇듯 미움보다, 사랑보다도
더 너그러운 것이로다.
 
이 곳서 나와 너희의 넋들이
돌아가야 할 고향 땅은 삼십 리면
가로 막히고,
무주공산(無主空山)의 적막만이
천만 근 나의 가슴을 억누르는데
 
살아서는 너희가 나와
미움으로 맺혔지만
이제는 오히려 너희의
풀지 못한 원한이 나의
바램 속에 깃들여 있도다.
 
손에 닿을 듯한 봄 하늘에
구름은 무심히도
북으로 흘러 가고
 
어디서 울려 오는 포성 몇 발
나는 그만 이 은원(恩怨)의 무덤 앞에

목놓아 버린다.
 

 

개관

- 성격 : 관념적, 윤리적, 인도주의적, 기독교적
- 표현
* 연작시(전15편), 전쟁시
* 독백적 기법과 직설적 어투
* 시적 기교나 표현보다 사상이나 관념이 앞서는 노래

- 주제 → 적군의 묘지 앞에서 느끼는 통한과 비극의 역사
              분단의 현실에 대한 통한과 통일에의 염원
- 제목 : 초토(불에 타서 검게 된 흙 = 전쟁의 상흔)에서 부르는 노래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눈도 감지 못한 이유 → 5연의 '너희의 풀지 못한 원한', 전쟁의 비극과 극도의 비통함.
* 죽음은 이렇듯 미움보다도 사랑보다도 / 더욱 신비로운 것이로다. → 미움과 사랑을 초월하게 만드는 죽음의 신비로움과 엄숙함, 경건함 / 이념적 대립의 허망함, 화해와 용서의 감정.
* 무주공산의 적막 → 비무장지대.  적막감과 허탈감 / 전투가 끝난 뒤 분단의 현실만 남겨 놓은 채 침묵하고 있는 답답한 현실
* 천만 근 나의 가슴을 억누르는데 → 답답한 심정
* 너희의 풀지 못한 원한 = 나의 바램 → 조국의 통일, 분단의 극복
* 손에 닿을 듯한 봄하늘 → 더없이 아름다운 자연 / 7연의 '포성 몇 발'과 대조
* 구름 → 감정이입의 대상(조국의 통일 염원) / 선망의 대상으로 화자와 대비되는 소재
* 포성 몇 발 → 전쟁의 위협과 파괴성, 남북 대치의 현실 상황을 보여줌.
* 은원의 무덤 → 사랑과 원한이라는 모순된 감정을 느끼게 하는 적군의 무덤(이율 배반적인 현장) / 원수였지만 이제는 사랑해야 할 동족이라는 인식이 바탕이 됨.
* 목놓아 버린다(통곡)의 의미 → 이념의 대립과 인간의 투쟁욕이 빚어낸 동족상잔과 분단의 비참한 현실에 대한 통곡 / 은혜로움과 원수를 잊은 채 오로지 인간적 교감만으로 하나가 된, 화해와 사랑의 지점에서 정작 사랑의 대상은 죽고 없음에 목놓아 통곡할 수밖에. / 시인의 기독교적 형제애 및 인간애 바탕 / 초역사적, 초월적 시각에서 바라본 현실관

시상의 흐름(짜임)
- 1∼3연 : 적군 병사의 죽음에 대한 애도(기독교적 윤리관에 입각한 인간애)
- 4∼5연 : 분단의 현실이 주는 비극과 통한(역사적 현실감각이 뚜렷한 부분)
- 6∼7연 : 분단의 아픔과 통일에의 염원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1956년에 발표된, 모두 15편의 연작시 중 8번째 해당되는 작품이다. 시인은 작품 후기에 "담뿍 나의 전쟁 문학이라 하겠습니다. 자랑도 아니지만 무등병으로 일선을 즐겨 치구(馳驅)하여 어용작가라는 지목까지 받으면서도 실상 군가 한 편, 소위 애국시 한 편 제대로 쓰지 못한 나의 전란 중의 소산입니다." 라고 적어 놓았다. 그의 언급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작품은 6·25를 겪은 그의 체험의 기록에 해당한다.  
'적군의 묘지 앞에서'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작품은, 이데올로기라는 허상 속에 감추어진 인간의 권력욕으로 인한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한편, 기독교적 윤리관에 바탕을 둔 사랑과 화해의 정신으로 민족 동질성의 회복과 평화 통일에 대해 염원하고 있다.  
생존의 극한 상황인 전쟁 중에는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싸우던 원수 사이었지만, 가로막힌 휴전선으로 인해 넋마저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그들은 이미 저주와 원한의 적(敵)이 아니라, 같은 겨레요, 형제일 뿐이다. 고향을 북에 둔 시인은 분단의 상징물인 휴전선을 바라보면서 민족의 고통을 절감하며, 적군 병사들의 '풀지 못한 원한'을 그들만의 것이 아닌 자신의 것으로 동일시하는 일체감을 보여 주게 된다. 그것은 다름아닌 분단으로 인해 돌아가지 못하는 그들의 죽음을 뜻하며, 그들의 죽음이 헛되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인의 뜨거운 열망을 반영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시는 적군에 대한 적대 의식이나 증오보다는 동포애로부터 우러나오는 관용과 연민의 태도로 인해 독자들의 공감을 확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