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바람의 집-겨울 판화 1, 기형도 [현대시]

Jobs 9 2022. 2. 25. 16:40
반응형

바람의 집-겨울 판화 1

기형도

 

내 유년 시절 바람이 문풍지를 더듬던 동지의 밤이면 어머니는 내 머리를 당신 무릎에 뉘고 무딘 칼끝으로 시퍼런 무우를 깎아 주시곤 하였다. 어머니 무서워요 저 울음소리, 어머니조차 무서워요. 얘야, 그것은 네 속에서 울리는 소리란다. 네가 크면 너는 이 겨울을 그리워하기 위해 더 큰 소리로 울어야 한다. 자정 지나 앞마당에 은빛 금속처럼 서리가 깔릴 때까지 어머니는 마른 손으로 종잇장 같은 내 배를 자꾸만 쓸어내렸다. 처마 밑 시래기 한 줌 부스러짐으로 천천히 등을 돌리던 바람의 한숨. 사위어 가는 호롱불 주위로 방 안 가득 풀풀 수십 장 입김이 날리던 밤, 그 작은 소년과 어머니는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할까?  
 

 

개관

- 부제 : 겨울 판화 → 유년시절이 화자의 머릿속에 각인된 과거임을 나타냄.
- 화자 : 마치 한 장의 판화처럼 시인의 머릿속에 각인되어 있는 가난했던 유년 시절의 상처를 어둡게 떠올림.
- 주제 : 불우했던 유년 시절의 기억 회상

- 성격 : 묘사적, 감각적, 산문적, 회고적
- 표현 * 산문적 운율
* 과거의 기억을 환기하여 정서를 드러냄.
* 촉각, 시각, 청각 등의 이미지를 통해 감각적으로 표현함.
* 차갑고 어두운 느낌의 시어를 주로 구사함(바람, 동지, 밤, 은빛 금속, 사위어가는 호롱불 등.)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바람이 문풍지를 더듬던 동지의 밤 → 동지의 추운 날씨와 가난으로 인한 화자의 가정의 어려움
* 시퍼런 무우 → 감각어를 통해 동짓날의 추위를 강조함.
* 어머니 무서워요 저 울음소리, 어머니조차 무서워요. → 가난 때문에 어머니조차 잘못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드러나 있음.
* 얘야, 그것은 네 속에서 울리는 소리란다. → 화자 내면의 불안과 공포
* 네가 크면 너는 이 겨울을 그리워하기 위해 더 큰 소리로 울어야 한다. → 더 무섭고 힘든 일을 겪으면서 성장해야 한다는 의미
* 은빛 금속 → 비생명성, 차가움, 가난의 이미지
* 종잇장 같은 내 배 → 굶주림으로 인해 홀쭉해진 화자의 배
* 시래기 한 줌 부스러짐 → 먹을 것이 넉넉하지 못한 화자의 처지
* 사위어 가는 호롱불 → 암울하고 어둡던 유년 시절을 상징
* 수십 장 입김 → 추위에 떨고 있는 화자의 처지
* 그 작은 소년 → 1인칭 화자를 객관화한 표현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바람 부는 어느 겨울밤의 '나'와 '어머니'를 회상함.

 

이해와 감상
작자의 가난하고 암울했던 유년 시절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작품으로, 시적 화자가 어느 겨울밤 무심게 듣던 '바람' 소리를 모티프로 하여 암울했던 그의 과거를 촉각, 시각, 청각의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하였다. 마치 화자의 마음속에 각인되어 있던 추억을 묘사해 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이 시는 시인의 다른 작품인 '엄마 걱정'과 마찬가지로 어린 시절 가난했던 추억을 떠올리며 쓴 시로, 마치 한 장의 판화처럼 화자의 머릿속에 각인되어 남아 있던 가난과 추위로 인해 떨며 지낸 어릴 적 겨울밤의 추억을 묘사해 놓은 시라는 느낌을 준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