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팔매
신석초
바다에, 끝없는
물ㅅ결 위으로,
내, 돌팔매질을 하다.
허무에 쏘는 화살셈 치고서.
돌알은 잠ㅅ간
물연기를 일고,
금빛으로 빛나다
그마, 자취도 없이 사라지다.
오오, 바다여!
내 화살을
어디다, 감추어 버렸나,
바다에,
끝없는 묻ㅅ결은,
그냥, 가마득할 뿐......
개관
- 제재 : 돌팔매질
- 주제 : 대자연 앞에서 느끼는 허무감
- 성격 : 허무적, 시각적
- 표현 : '허무'라는 추상적 개념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바다 → 대자연이자 '허무'의 표상.
* 허무에 쏘는 화살 → 원관념은 '돌'이며, 아무런 소용도 의미도 결과도 없는 행위를 의미함. / 바다라는 큰 존재에 대한 인간의 왜소함이 느껴지는 표현임.
* 돌알 → '유한한 존재'의 표상이다. 인간 존재의 유한성과 순간성을 상징함.
* 내 화살(돌)을 / 어디다, 감추어 버렸나 → 바다의 거대함에 놀라움과 숙연함을 느낌.
* 돌팔매질 → 바다를 향한 인간의 항거이다. 삶에 대한 의욕이나 의지를 상징하는 말이기도 하다. 절대 허무라는 우주적 질서에 대해 돌팔매질은 미약한 행동에 불과하지만, 그런 줄 알면서도 돌을 던지는 것이 또한 인간의 모습이기도 하다.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허무에 대한 도전
- 2연 : 인간 존재의 나약성
- 3연 : 대자연의 거대함에 대한 경이
- 4연 : 인간적 허무감의 증폭
이해와 감상
'돌팔매'라는 행위를 통해 존재의 순간성과 허무함을 보여주는 시이다. '돌알은 잠깐 / 물 연기를 일고 / 금빛으로 빛나다 / 그만, 자취도 없이 사라지다.'라고 노래한 제2연은 이런 주제를 형상화하여 보여 준 것이다. '돌'이 물 위에서 파문을 일으키다 '바다' 속으로 사라지는 것처럼 모든 존재들은 순간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었다가 대자연의 일부가 된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 '바다'는 허무를 의미하면서 동시에 대자연을 의미한다. 그리고 '돌팔매'는 대자연 앞에서는 나약하기 짝이 없는 인간의 삶에 대한 의욕이나 의지를 상징하는 말이다.
1연 : 시적 화자가 끝없는, 한없이 넓은 바다 앞에서 돌을 던지고 있다. '허무에 쏘는 화살'이라고 그 돌을 말하고 있다. 즉, 아무런 소용이 없음에도 돌팔매질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바다라는 큰 존재에 대한 한 인간의 왜소함이 느껴진다.
2연 : 내가 던진 돌알은 햇빛 때문에 금빛으로 빛나다가 잠깐 물보라를 일으키며 금세 바다 속으로 사라진다. 바다를 향해 인간이 아무리 많은 돌을 던지더라도, 끝없이 도전을 한다고 하더라도 바다는 꿈쩍하지도 않는 그런 모습을 보일 것이다.
3연 : 시적 화자가 아무리 돌팔매질을 하여도 전혀 요동하지 않는 바다 앞에서 물음을 던지고 있다. '내 화살을 어디다 감추어 버렸나.'하는 물음에서 바다의 거대함을 느끼게 한다.
4연 : 잠잠한 바다 앞에 화자가 서서 바라보고 있다. 멀고 가마득한 바다를 보며 바다라는 큰 존재(대자연)에 도전하는 인간과 그 도전을 하찮게 여기는 바다가 보인다. 대자연에 대한 인간의 무력감이 느껴진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