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대숲 아래서, 나태주 [현대시]

Jobs9 2022. 3. 17. 15:23
반응형

대숲 아래서

나태주

          1.
바람은 구름을 몰고
구름은 생각을 몰고
다시 생각은 대숲을 몰고
대숲 아래서 내 마음은 낙엽을 몬다.
 
            2.
밤새도록 댓잎에 별빛 어리듯
그을린 등피에는 네 얼굴이 어리고
밤 깊어 대숲에는 후둑이다 가는 밤 소나기 소리
그리고도 간간이 사운대다 가는 밤바람 소리
 
          3.
어제는 보고 싶다 편지 쓰고
어젯밤 꿈엔 너를 만나 쓰러져 울었다.
자고 나니 눈두덩엔 메마른 눈물 자죽,
문을 여니 산골엔 실비단 안개.
 
          4.
모두가 내 것만은 아닌 가을,
해 지는 서녘 구름만이 내 차지다.
동구 밖에 떠도는 애들의
소리만이 내 차지다.
또한 동구 밖에서부터 피어오르는
밤안개만이 내 차지다.
 
하기는 모두가 내 것만은 아닌 것도 아닌
이 가을,
저녁밥 일찍이 먹고
우물가에 산보 나온
달님만이 내 차지다.
물에 빠져 머리칼 헹구는
달님만이 내 차지다.
 

 

개관

- 주제 : 가을날 대숲에서의 상념과 임에 대한 그리움과 깨달음
- 성격 : 동양적, 서정적
- 표현 : 각 시에 번호를 붙여, 각 연의 독립성을 부각시킴. / 대숲의 풍경을 통해 그리움의 정서를 그려 냄. / 자연을 통해 그리움이 환기되고, 자연을 통해 상실감을 극복해 냄.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1 → 연쇄법에 따른 전개 방식
등피 → 등을 덮고 있는 덮개
사운대다 → 나뭇잎 등이 바람에 일렁거리면서 소리를 내는
밤 소나기 소리, 밤바람 소리 → 화자 자신의 외로움과  '너'를 향한 그리움을 고조시키고 자극하는 청각적 이미지
어젯밤 꿈엔 너를 만나 쓰러져 울었다. → 너에 대한 그리움과 이별로 인한 상실감
메마른 눈물 자죽 → 슬픔을 시각화함.
실비단 안개 → 안개의 물기가 '눈물'을 연상시키며, 슬픔을 시각화함.
모두가 내 것만은 아닌 가을 → 화자의 상실감을 체념적 말투로 보여줌.
서녘 구름, 떠드는 애들의 소리, 밤안개, 달님 → 화자를 위로해주는 대상
동구 밖에 떠드는 애들의 / 소리만이 내 차지다 → 행간걸림
하기는 모두가 내 것만은 아닌 것도 아닌 → 자연을 통한 위로와 새로운 깨달음 / 상실감과 슬픔과 그리움의 극복
물에 빠져 머리칼 헹구는 / 달님만이 내 차지다 → 달님의 머리칼은 '너'이며, 달을 소유하지는 못하더라도 그림자는 가질 수 있음.(대상을 의인화함)
4 → 각운의 사용
 
시상의 흐름(짜임)
- 1 : 상념을 불러일으키는 대숲 바람
- 2 : 너에 대한 그리움
- 3 : 너에 대한 그리움과 상실감으로 인한 슬픔
- 4 : 상실감과 그리움의 극복 → 자연을 통한 깨달음

 

이해와 감상
대숲의 바람소리를 들으며 상념에 잠기는 시적 화자는 그리운 임을 떠올리며 슬픔에 젖기도 하지만, 자연적 세계 속에서 모두가 내 것일 수도 내 것이 아닐 수도 있음을 깨닫고 있다.  대숲 바람 소리를 들으면서 화자는 임에 대한 그리움에 젖는다. 그리고 그 슬픔을 눈앞에 펼쳐지는 자연을 통해 극복하며 새로운 깨달음을 얻고 있다.  
짧은 4편의 시편이 모여 한 편의 시를 이루고 있다. 대숲을 가까이 두고 살아가고 있는 한 순박한 시골 사람이 떠오른다. 가을 날 대숲을 흔드는 바람 소리를 들으며 상념에 젖어 님을 떠올려도 보고, 그 상념을 막는 밤바람 소리에도 귀를 기울여보기도 하는 유유자적한 정경이 눈앞에 있는 듯 펼쳐진다.  
'자고 나니 눈두덩엔 메마른 눈물자죽'이라든지, '물에 빠져 머리칼 헹구는 달님' 등의 표현으로 시적 정취를 한껏 드높인다. 모두가 내 것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이 자족적인 공간은 꾸밈없이 살고(무위), 욕심이 없는(무욕) 조화와 순응의 세계로서, 동양적 세계관의 한 극치라 할 만하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