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현대시]

Jobs 9 2022. 3. 13. 19:54
반응형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사월(四月)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東學年)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 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개관

- 주제 → 순수한 민족적 삶이 보장되는, 민중 민주 통일 사회에 대한 갈망
- 성격 : 현실 참여적, 저항적, 직설적, 상징적
- 표현 * 단호한 명령투의 어조
* 반복과 대조적 시어를 통해 주제의식을 강조함
* 직설적 표현으로 부정적 인식을 표현함.

중요 시어 및 시구 풀이  
* 껍데기 → 거짓(가짜), 허세, 외세, 무력, 독재, 불의 등 상징
* 알맹이 → 순수, 정의, 바람직한 것, 한국적인 것 등
* 동학년 곰나루 → 1894년 외세에 맞서 민족 자주를 목표로 혁명을 일으켰던 동학혁명의 진원지 / 곰나루는 충남 공주의 옛이름
* 아우성 → 순수한 열정과 정신
* 그리하여, 다시 → 강조하기 위함.
* 이곳 → 가장 본질적이고 원초적인 민중의 세계
* 두 가슴과 그 곳까지 내논 → 허위와 가식이 전혀 없는
* 아사달 아사녀 → 껍데기에 전혀 물들지 않은 순수한 한국인(민중)의 표상 / 껍데기가 물러간 뒤에 이 땅의 주인공이 될 사람 
* 중립의 초례청 → 어느 한쪽으로의 치우침이 없는 민족의 대화합의 장(場) / 이념을 초월한 민족 대화합의 장소
* 맞절 → 민족의 화합과 통일을 의미함.
* 한라에서 백두까지 → 한반도 전체(조국)를 가리킴. / 4. 19의 자유와 평등 사상이 통일 사상으로까지 확대됨을 알 수 있음.
* 향그런 흙가슴 → 순수한 정신, 평화와 통일의 정신
* 쇠붙이 → 껍데기의 대표적 존재, 총알·전쟁·무력·폭력·군사 등을 상징 / 인간성의 상실과 외세에 의해 더럽혀지는 과학문명을 타고 들어온 독재 및 군사적 긴장

시상의 전개(짜임)
- 1연 : 4월 혁명의 순수성 염원
- 2연 : 동학혁명의 순수성 염원
- 3연 : 민중(민족)의 대화합
- 4연 : 통일 조국의 순수성 염원

 

이해와 감상
<껍데기는 가라>는 현실적 과제를 정면으로 문제 삼는 1960년대 참여문학의 대표작이며, 이 후 독재에 항거했던 민중 민족 문학의 지향성에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 시는 1960년대라는 구체적 시대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껍데기'와 '알맹이'라는 이분법적인 대비구도를 통해 순수에 대한 옹호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우리 현대사에 있어 중요한 사건들(4·19, 동학 농민운동)을 언급하면서 이러한 사건들이 민주·자유를 지향한 운동이었으며, 시인의 시세계 또한 이러한 것을 노래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세월이 지남에 따라 4월 혁명이 보여주었던 순수한 민주화의 열망은 점점 퇴색되어 가고, 동학혁명의 민중적 열망도 소멸되어가고 있는데다가, 현실은 그들의 바람과는 정반대의 군사 정권에 의해 이 강토가 짓밟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에 안타까움을 금하지 않는다. '껍데기는 가라'라는 말의 6번의 단순한 반복이 지루하지 않고 감동을 자아내는 것은, 현실을 그만큼 많이 차지하고 있는 '껍데기'라는 존재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공감대가 있기 때문인 듯하다.  시인이 원하는 것은 한마디로 '껍데기'는 이 땅에서 사라지라는 것이다. 그러면 '껍데기'가 무엇인가?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마지막 행에 나오는 '쇠붙이'뿐이다.  다만 '껍데기'와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것들이 바로 '4월혁명의 순수성, 동학혁명의 아우성, 아사달 아사녀의 맞절, 향그러운 흙가슴' 등인데, 이것들을 통해 껍데기의 의미를 유추해 보면 "가짜, 거짓(위선), 불의, 참된 민족의 발전을 가로막는 것, 민족과 국토의 통일을 방해하는 것, 민족을 파멸로 이끄는 외세와 전쟁 따위일 것이다. 
이 시는 '알맹이'로 표현되는 여러 시어들과 '껍데기'로 표현되는 시어를 대비시킴으로써 시인의 염원하는 세계를 강조하고 있으며, 추구하는 염원을 더욱 순수하게 승화시키고 있다. 
 
◆ '껍데기는 가라'의 명령적 어조
이 시는 힘찬 남성 화자의 목소리로 전개되고 있는데 대상에 대한 동사형의 명령적 어조를 통해 화자의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시적 화자는 세월의 흐름에 따라 동학 혁명의 함성과 4 · 19 혁명의 민주화 열망이 퇴색해 가고 소진되어 가는 현실적 여건에 대한 안타까움을, '~가라'와 같은 강한 명령적 표현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긴장감을 주어 공감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가라'라는 명령적 어조를 반복 사용함으로써, 리듬감의 형성 및 형식의 완결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동시에 주제를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효과를 얻고 있다. 
 
◆ 마지막 연의 상징적 의미
이 시에서 마지막 연은 상징적 의미를 가장 투명하게 보여 주는 부분이다. 즉, 우리의 국토를 '한라에서 백두까지'라고 말함으로써 분단의 비극적 현실 상황을 직접 다루고 있다. 이것은 분단의 비극이 동족 간의 전쟁을 거쳐 고착화되었음을 상기시켜 주는 한편, 반드시 극복해야 할 민족적 과제임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아울러 '모오든 쇠붙이'라는 표현을 통해 현실 상황을 힘의 논리를 앞세운 무력으로 규정함으로써 4월 혁명을 무너뜨리고 등장한 군사 독재 정권을 비판하는 한편,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은 참다운 의미의 세상이 도래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