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개봉동과 장미, 오규원 [현대시]

Jobs 9 2022. 2. 1. 19:37
반응형

개봉동과 장미

오규원

개봉동 입구의 길은
한 송이 장미 때문에 왼쪽으로 굽고,
굽은 길 어디에선가 빠져 나와
장미는
길을 제 혼자 가게 하고
아직 흔들리는 가지 그대로 길 밖에 선다.
 
보라 가끔 몸을 흔들며
잎들이 제 마음대로 시간의 바람을 일으키는 것을
장미는 이곳 주민이 아니어서
시간 밖의 서울의 일부이고,
그대와 나는
사촌들 얘기 속의 한 토막으로
비 오는 지상의 어느 발자국에나 고인다.
 
말해 보라.
무엇으로 장미와 닿을 수 있는가를.
저 불편한 의문, 저 불편한 비밀의 꽃
장미와 닿을 수 없을 때,
두드려 보라 개봉동의 집들의 문은
어느 곳이나 열리지 않는다.
 

 

개관
- 성격 : 문명 비판적, 상징적, 주지적
- 특성
① 구체적 지명을 사용하여 현장감을 부여함.
② 이질적인 소재를 대비시키면서 현대 문명을 비판함.
③ '개봉동'과 '장미'의 의미 대립 구조를 통해 현대 문명을 비판함.
- 주제 : 순수의 회복을 통한 현대 문명의 모순 극복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개봉동 → 도시 문명의 상징. 공장, 도시, 문명, 공해와 관련됨.
* 장미 → 순수한 생명의 상징. 순수, 신비, 생명, 아름다움과 관련됨.
* 아직 흔들리는 가지 그대로 길 밖에 선다. → 본연의 순수함 그대로 문명의 부정성에 휩쓸리지 않음.
* 잎들이 ~ 주민이 아니어서 → 장미가 지닌 위대한 힘
* 시간 밖의 서울의 일부이고 → 역설적 표현, 서울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서울과는 다른 삶을 사는 장미
* 그대와 나 → 문명 속의 사람
* 비 오는 지상의 어느 발자국에나 고인다. → 도시적 삶의 현실을 살고 있음.
* 무엇으로 장미와 닿을 수 있는가를 → 순수한 생명력과의 관계 회복을 소망함.
* 저 불편한 의문, 저 불편한 비밀의 꽃 → 생명의 의미를 알고자 하나 그것을 파악할 수 없는 안타까움이 드러남.
* 두드려 보라 → 생명의 본질에 닿으려는 노력
* 어느 곳이나 열리지 않는다. → 쉽게 본질을 드러내지 않음.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장미의 위대한 생명력
- 2연 : 같은 공간에서 다른 법칙으로 살아가는 모순된 삶의 법칙
- 3연 : 쉽게 파악되지 않는 순수의 세계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순수하고 진실된 생명을 상징하는 '장미'와 메마른 현대 문명의 비정함을 표상하는 '개봉동'의 대립적 의미 구조를 통해 순수한 삶을 훼손하는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질적인 두 존재인 '개봉동'과 '장미' 사이의 내적 긴장감을 통해 '개봉동'이 지니고 있는 '공장과 도시와 문명과 공해'의 표상으로서의 이미지와 '장미'가 지니고 있는 신비하고 순수한 아름다움을 가진 생명의 본질을 보여 주면서 순수한 삶을 훼손시키고 파괴하는 현대 문명을 비판하는 동시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삶의 무엇인지 알려주고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시에서 장미에 대한 접근은 생명의 본질적 의미와 순수성에 대한 탐구는 인간 존재의 근원을 향한 필연적인 지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인간 존재의 근원에 접근하려는 시적 자아의 노력은 실패하지만 그것을 단념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명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시적 화자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